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델타원의 팜

엔터 산업의 간단 시장의 개요 2 (Review)

델타원

2024.11.27

엔터 산업과 관련한 시장개요에 대한 간단 스터디 2번째 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개요 1

엔터 산업의 간단 시장의 개요 (Review) | 오렌지보드 리포트

----------------------------------------------------------------------------------

 

[주요 수출 품목과 비교하여도 고성장을 보이는 K팝]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들의 수출액과 비교하여도 K팝의 해외 매출액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확한 비교화를 위해 매출액과 수출액을 지수화 하여(2018년, 지수를100으로 산정함.)하여 살펴보면, 2023년 기준 K팝 해외 매출액 중 음반류 상품 수출액 지수는 451.4, 해외 스트리밍서비스 매출액 추정치 지수는 273.3로 추정됩니다.

 

2023년 기준 비교 품목들의 수출액 지수를 살펴보면 반도체 77.8, 자동차 173.3, 이차전지 136.0, 농산품 130.7, 화장품 135.0으로 추정됩니다.

 

[표 1] K팝 해외 매출액 지수와 구갠 주요 품목 수출액 지수의 비교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연간 수출입 동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음악저작권협회, 6개 엔터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IR자료

 

특히, 음반류 상품 수출액 지수와 해외 스트리밍서비스 매출액 추정치 지수는 우리나라 주요 품목 수출액과 비교하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주요 수출 품목의 매출액 지수는 다소 증가 또는 감소를 경험하며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음반류 상품 수출액과 해외 스트리밍서비스 매출액 추정치의 지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점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코로나 19이후 성장세를 다시 보여주는 해외공연 매출]

해외 공연 매출액의 경우 2023년도에 전년대비 급격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19 상황이 진정되면서 해외 공연이 다시 활발해진 영향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HYBE의 경우 2022년 공연횟수 60회, 2023년 공연횟수는 93회로 증가하였으며, 월드투어 사이트 기준(서울 공연 제외) 블랙핑크의 공연은 2022년 24회에서 2023년 38회 진행하였습니다.

 

6개 엔터사 (RBW, YG, SM, 큐브엔터, JYP Ent., HYBE) 기준으로 해외 공연 매출액 추정치는 2018년 ~ 2023년 연평균 성장률은 35.0% 수준을 보여줍니다.

 

[표 2] 해외 공연 매출액 추정치 (단위: 억원)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글로벌 시장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

2023년 기준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 매출액은 2,603억원 수준으로 이는 2017년 추정 매출액인 768억의 3.4배 수준이며, 피지컬 음반과 공연 등의 경로를 제외하더라도 K팝 해외매출액은 4년만에 2배가 넘는 초고속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8년~2023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을 계산하면 K팝의 해외 스트리밍 매출액 추정치는 2018년도부터 매년 약 22% 증가폭으로 꾸준하게 성장해온 것으로 파악됩니다.

 

K팝 해외 매출의 고속 성장 및 다각화가 가능하게 한 이유는 유튜브 및 SNS의 영향이 가장 큽니다.

이는 글로벌 플랫폼이 예전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속도의 문화 전파력과 환경을 조성하였기 때문입니다.

 

[표 3] 해외 스트리밍서비스 매출액 추정치 (단위:억원)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표 4] 해외 지역별 스트리밍서비스 매출액 추정치 (단위: 억원)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