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원의 팜
뷰티 시장의 트렌드는 지속될까?
델타원
2025.05.08
K뷰티는 현재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증권가 및 투자자들의 뷰티 섹터에 대한 전망은 밝습니다.
최근 중국 시장에서도 다시 한국 화장품의 입지가 다져지고 있으며, 수출 부분도 지속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의 K뷰티 성장의 중심에는 인디브랜드의 성장이 있습니다.
이에 간략하게 리뷰형태로 뷰티쪽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돌파]
글로벌 코스메틱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5,830억 달러(약 750조 원) 규모에 달하며,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출처: Statista, 2023).
이는 소비자들의 자기 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에 기인합니다.
한국의 화장품 시장은 K-뷰티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2024년 기준 11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출처: 한국화장품산업연구원, 2023),2024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화장품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인 2021년 92억 달러보다 10.9% 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표 1]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액(단위:억달러)
|
[제조사들의 경쟁력]
K-뷰티의 혁신적인 제품과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 성분의 독창성과 우수성 등은 그동안 국내 화장품제조사들이 축적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쟁력을 갖춘 이러한 ODM 기업들로 인해 제품력은 상향 평준화가 되었으며, 세련된 감각과 마케팅 아이디어만 있으면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젊은 창업자들의 뷰티 산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국내 주요 OEM/ODM 기업은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4년에는 전년대비 평균 20% 성장하였습니다. (한국콜마,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표 2] 국내 주요 OEM/ODM 기업의 매출액 추이 (단위: 억원)
출처: 각 회사 공시 자료
[글로벌 이커머스 및 유통사의 성장]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의 성장은 인디브랜들이 소자본과 인력으로 마케팅에 집중해서 성공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주었으며,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아마존의 사업 부문별 성장세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표 3] 아마존 영업 부문별 매출액 현황 (단위: 백만달러, %)
매출액 부분 |
2021 |
2022 |
2023 |
|||
매출액 |
성장률 (YoY) |
매출액 |
성장률 (YoY) |
매출액 |
성장률 |
|
온라인 직매입(1P) |
222,075 |
12.5 |
220,004 |
(0.9) |
231,872 |
5.4 |
오프라인매장 |
17,075 |
5.2 |
18,963 |
11.1 |
20,030 |
5.6 |
3자판매 서비스(3P) |
103,366 |
28.5 |
117,716 |
13.9 |
140,053 |
19.0 |
구독서비스(프라임멤버십) |
31,768 |
26.0 |
35,218 |
10.9 |
40,209 |
14.2 |
AWS |
62,202 |
37.1 |
80,096 |
28.8 |
90,757 |
13.3 |
광고 및 기타 |
33,336 |
55.2 |
41,986 |
25.9 |
51,864 |
23.5 |
출처: 회사 공시자료, 삼성증권
이런 비즈니스 환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인디브랜드의 젊은 창업자들은 기존 전통 대기업에 비해 플랫폼들을 통한 마케팅에 탁월한 재능을 보여주었고, 성공적으로 브랜드를 런칭하고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도 K-뷰티 브랜드 제품을 전세계 약 160여개의 국가에 E-Commerce 역 직구 판매 및 기업 고객에게 수출하는 유통사 실리콘투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