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수급 서비스가 잠시 쉬어갑니다.
해외 · 기타
[HSX : DGC] Duc Giang [득쟝] 케미컬 2023년 반기 실적 점검
후니찌니
2023.09.12
※ 감수인 ★★★★★ ‘오렌지보드 독점’ 보고서입니다 ★★★★★
- 시가총액 36조 4888억 동, 23년 상승 63%함. - 베트남에서 작은 회사가 아닌 듯.
- 직원 1인당 영업이익이 약 18억 동임. 작은 수준이 아닌 듯.
- 2021년 ~ 2022년이 황금기 같은 느낌이 듬. - 실적이 줄었지만 비싼 수준이 아닌 듯함.
주의) 위 의견은 세부 내용을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재무적/정황적으로만 판단한 감수인의 대략적인 의견입니다. * 보고서 검토 우선순위 : '속보 -> 보유 -> 독점 -> 요청시기 ' 순입니다 (절대적이지 않음). ** 앱을 설치하시면, 구독하시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새글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베트남 주식하는 남자 ‘후니찌니’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번 소개했던 득쟝 케미컬 (DGC)의 반기 실적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필자가 과거에 작성했던 DGC의 기업 소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DGC는 지난 23년 8월 15일 감사 재무제표와 함께 실적을 공시하였습니다.
먼저 개별 실적 공시 내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개별 실적 공시 원문]
[개별 실적 공시 내용 요약 표]
DGC는 공시의 발표를 문자로만 전달하고 있기에 나와있는 설명을 토대로 쉬운 이해를 돕고자 필자가 위와 같이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리된 표의 실적을 상펴보면 매출액은 전년 동기비 22.5% 증가하였고, 세후 순이익은 36.7% 감소하였습니다.
DGC는 매출에 대한 사유를 살펴보면 생산량과 판매 가격의 인상이 요인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개별 손익 계산서]
[금융 수익 주석]
순 이익은 전년 동기비 36.7%가 감소한 가운데 이에 대한 사유로는 2개의 자회사인 득쟝 케미컬 라오 까이 일인 유한책임회사와 득쟝 케미컬 딘부 일인유한책임회사로 부터 전년도에는 1,508.6십억 동의 수익을 이전 받았으나 올해는 868.7십억 동의 수익뿐이 이전 받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이 부분을 제외하고 본다면 세후 순이익은 2023년 120.7십억 동으로 전년 동기 55.5십억 동 보다는 117% 증가했다고 공시에 밝히고 있습니다.
[연결 실적 공시 원문]
연결 기준으로 살펴보면 세후 순이익은 전년 동기비 50%가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순 이익은 전년 동기비 35%나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주요 사유로 DGC는 소비량과 일부 제품의 판매 가격 하락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황인: 소비량 감소 44%, 매출 57% 감소
- WPA: 생산량 증가 43%, 매출 8% 감소
- 각종 비료 제품: 생산량 감소 2.26%, 매출 0.28% 감소
국내 및 해외의 소비량과 가격의 감소 영향이 이번 DGC 실적 하락의 원인입니다.
실적의 공시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별 기준으로 모사의 실적은 좋았으나 자사의 실적이 좋지 못했다.
연결 기준으로는 DGC의 주요 제품인 황인의 국내외 구매 감소가 매출 부진으로 이어졌다.
DGC 손익 계산서 | 2023 반기 | 2022 반기 | 증감액 |
1. 매출 | 4,907,561,809,212 | 7,637,613,455,884 | (2,730,051,646,672) |
2. 수익 공제 | 10,870,468,841 | 884,943,825 | 10,870,468,841 |
3. 순 매출 | 4,896,691,340,371 | 7,636,728,512,059 | (2,740,922,115,513) |
4. 매출원가 | 3,066,249,706,841 | 3,802,493,784,524 | 3,066,249,706,841 |
5. 매출 총이익 | 1,830,441,633,530 | 3,834,234,727,535 | (5,807,171,822,354) |
6. 금융 수익 | 345,445,383,059 | 192,091,143,102 | 345,445,383,059 |
7. 금융 비용 | 44,762,625,459 | 59,795,993,099 | 44,762,625,459 |
ㄴ 이자 비용 | 15,671,128,234 | 6,133,659,430 | 15,671,128,234 |
8. 합작회사 또는 제휴사의 손익 지분 | 0 | 0 | 0 |
9. 판매 비용 | 222,581,443,672 | 322,665,847,662 | 222,581,443,672 |
10. 기업 관리 비용 | 73,105,676,996 | 59,370,876,935 | 73,105,676,996 |
11. 영업 이익 | 1,835,437,270,462 | 3,584,493,152,941 | (5,802,176,185,422) |
12. 기타 소득 | 1,648,239,791 | 3,093,060,542 | 1,648,239,791 |
13. 기타 비용 | 2,266,060,881 | 2,462,653,047 | 2,266,060,881 |
14. 기타 이익 | (617,821,090) | 630,407,495 | (617,821,090) |
합작 회사의 손익 지분 | 0 | 0 | 0 |
15. 세전 총 회계 이익 | 1,834,819,449,372 | 3,585,123,560,436 | (5,802,794,006,512) |
16. 현재 법인세 비용 | 134,926,223,465 | 188,980,073,576 | 134,926,223,465 |
17. 이연 법인세 비용 | (1,966,867,080) | (6,868,341,254) | (1,966,867,080) |
18. 법인 소득세 후 이익 | 1,701,860,092,987 | 3,403,011,828,114 | (5,935,753,362,897) |
소액주주 이익 | 0 | 0 | 0 |
모회사 주주의 세후 이익 | 1,627,874,916,726 | 3,121,332,114,349 | (6,009,738,539,158) |
비지배주주 세후 이익 | 73,985,176,261 | 281,679,713,765 | 73,985,176,261 |
기간 평균 주식 수 | 379,778,413 | 371,241,200 | 379,778,413 |
19. 주당 순이익 (EPS) | 4,029 | 7,903 | (16,082) |
20. 주식에 대한 이자 감소(*) | |||
매출 총 이익률 | 37.30% | 50.20% | -31.26% |
영업 이익률 | 37.40% | 46.93% | -271.08% |
순 이익률 | 33.17% | 40.87% | -270.01% |
[반기 연결 손익 계산서]
기업에서 공시로 밝힌 부분 외에 연결 재무제표를 살펴보면서 증감이 큰 숫자들을 하나씩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2023년과 2022년의 숫자들을 서로 비교했을때 눈에 띄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매출 다음으로 나오는 수익 공제 항목입니다.
2022년 반기에 비해서 2023년 반기에 수익 공제 항목은 약 12배나 증가하였습니다.
[수익 공제 주석]
수익 공제 항목에는 제품 할인과 품질 불량 시 발생하는 반품 항목이 있습니다.
DGC가 공시에 이야기 했던것과 같이 일부 제품의 시장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서 DGC도 제품 가격을 할인하여 판매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총액은 10.9십억 동 입니다.
[금융 수익]
다음으로는 금융 수익의 증가입니다.
금융 수익은 전년 동기비 약 80%가 증가했습니다.
타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DGC 은행 예금 이자를 통해서 금융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반대로 고금리에 이자 비용도 155%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손익 계산서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익 공제 항목의 증가는 1,128% 증가하였고, 제품 가격 할인의 요인이다.
- 예금 이자로 인한 금융 수익의 증가가 80% 발생했지만 이자 비용도 155% 증가하였다.
[십억 동]
[재무 상태표]
재무 상태표를 살펴보면 22년 기말대비 23년 반기에는 전체 자산이 2.7% 증가하였습니다.
DGC는 현금을 대폭 줄여서 단기 금융투자를 늘렸습니다.
그리고 크게 늘어난 것은 단기 미수금과 기타 유동 자산입니다.
[단기 미수금]
단기 미수금들의 항목에서 살펴보면 기타 단기 미수금이 홀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단기 미수금 주석]
단기 미수금의 주석을 살펴보면 DGC가 Phốt Pho 6 주식회사 [폿포 6 주식회사] 지분을 전량 취득하며 발생한 미수금입니다.
[출처: 위키페디아]
참고로 폿포는 인을 의미합니다.
[폿포 6 주식회사 공장]
현재는 지분 매수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처리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반기의 기간인 6월 말이 아닌 7월 10일 자회사에 편입되었기에 3분기 재무제표에서 이 숫자는 사라질 예정입니다.
DGC가 여전히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해 나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모습이며, 이로 인해 앞으로 매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외의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보면 자산과 자본의 증가 속에 부채는 감소하는 좋은 모습이 지속 이어지고 있는 DGC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십억 동]
[현금 흐름표]
DGC는 간접법의 현금 흐름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순 이익의 감소로 인한 현금 흐름 자체의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지속된 현금 창출, 투자 활동, 배당 지급등을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결론
DGC는 현재 시장의 영향을 받아서 실적이 잠시 주춤하고 있습니다.
실적과는 별개로 투자는 지속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재무관리 또한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DGC의 2023년 경영 계획은 매출 10,775십억 동, 세후 순이익은 3,000십억 동입니다.
실직적으로는 신규 자회사의 편입이 있기에 앞으로 더 큰 매출과 순이익이 기대되지만 현재의 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기에 상반기 실적을 하반기에 그대로 적용해 가정해 보면 예상 실적은 매출 9,815십억 동, 순 이익은 3,256십억 동입니다.
매출은 계획보다 감소했으나 순 이익은 오히려 초과 달성이 예상됩니다.
지난 소개글의 작성 시점과 현재의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일단 베트남 정부의 금리 인하도 있었고, 과거와 현재 DGC의 추가 투자로 인한 사업 규모도 고려했을때 21년부터 23년까지 예상 실적을 반영하여 EPS 평균을 재 산출, 가치 평가를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EPS 산출 표]
순 이익에서 공제되는 약 6%의 포상 및 복지 기금까지 고려하여 순 이익을 조정 후 현재의 3년 평균 EPS를 산출해 보면 9,318동입니다.
회사채 발행의 평균 금리가 10%이기에 이를 대입하여 가치 평가를 진행하면 DGC의 적정 주가는 93,200동 수준입니다.
- 계산 공식: (1/0.10)*9,318동
8월 말 마감 기준으로 DGC의 현재 주가는 87,500동이며, 약 6.5% 저평가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Disclaimer
- 저자는 보고서 제공 시점 기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는 오렌지 보드에 독점 기고합니다.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 노기범 / Steven (KR) · 12일 전
지난번 DGC적정주가보다 상당히 많이 올랐네요
- 후니찌니크리에이터· 10일 전
넵... 당시와 지금의 몇 가지 평가 기준이 달라졌는데 할인율을 회사채 금리로 적용했는데요. 금리가 인하되면서 15% 적용 했던 할인율을 10%로 조정하였습니다. DGC를 자세히 보면 21년부터 급격하게 M&A를 진행하며 기업의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그래서 규모에 맞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기 위해서 2021년부터 2023년 예상 실적까지를 반영 했을때는 그렇습니다. 투자자마다 투자 스타일이 다르지만 만약 제가 DGC를 보유하게 된다면 이렇게 접근을 할 것 같습니다. 9만 동을 기준으로 두고 지켜보다가 9만 동에서 많이 저렴해 진다 싶은 주가가 온다면 조금씩 매수해 나가고, 그 이상이 넘어간다면 추가 매수 없이 대기하고 다시 지켜보고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폿포 6 공장 매수 건은 아직 실적에 반영되지도 않았고, 이 부분은 밸류에이션에서 빠져있습니다. DGC의 매출에 얼마나 기여할지 모르겠지만 현재 시장 상황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라고 하니 이 부분은 감안해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런 글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