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지도로 보는 세계사 제0장 - 문명의 탄생

by 메르xOB

2025.04.14 오후 12:46

 

투자는 다학제적 지식(multi-inter disciplinary)을 필요로 합니다. 사회, 문화, 정치, 경제, 역사, 과학 등의 지식을 책을 통해 소개해 보면 어떨까 합니다. 

 

첫 번째 시리즈는 ‘지도로 보는 세계사’ 입니다.  2004년에 출판된 책입니다.

 

단어나 지명에에 대한 설명이 좋고, 국제정치가 엮이지 않아 가볍게 읽을만 합니다. 

‘총,균,쇠’ 나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와 같은 책보다 더 쉽게 읽힙니다. 



‘총,균,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항해시대’, ‘내일의 금맥’, ‘팔로알토’ 등을 두루 섭렵하면 투자에 꽤 유용한 지식이 쌓이지 않을까요.




요약하더라도, 책한권 읽은 느낌이 나게 작성합니다.






목차 



들어가는 장 - 인류사의  무대는 이렇게  탄생했다

 

01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인류의  머나먼 여행  

02 사막에서 초원으로 이동하는 인류의 자취」

03 4대문명의탄생  

Column  동서 문명을 연결한 실크로드의 지형과 지명

 

제1장 - 서아시아와  지중해세계의  움직임

 

01  최고문명의 발상지  ‘메소포타미아’ -  5000년 전

02 이집트문명이 가능했던 이유 -  5000년 전

03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였던 시 리아와 팔레스타인 -  기원전 14세기~기원전 6세기

04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를 통합한 이란인의 제국  -  기원전 6세기~기원전 4세기

05 지중해세계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기원전 27세기  -  기원전 12세기

06 지명으로 읽는고대 지중해의 페니키아 세력권  -  기원전 12세기경

07 뒤늦게 바다에 진출한 그리스인  -  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

08 지중해에 기원을 두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  기원전 12세기~기원전 2세기

09 지중해는 세계 최대의 ‘내해’ 였다  -  기원전20세기~

10 광대한 세계를 향한 알렉산더의 도전  -  기원전 4세기

11 지중해의 패자로 급부상한 로마  -  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

12 지배지역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혼란에 빠진 로마제국  -  기원전 1세기~기원후3세기

13 유라시아와 서쪽세계를 연결한 페르시아 제국  -  기원전 3세기~기원후7세기

14 고대 ‘바닷길’  의 중심은 홍해와 인도양의 접점에 있었다 -  기원전 10세기~기원후 1세기



제2장 - 이슬람 세계를 하나로 뭉치게 한 유라시아

 

01 거대화된 이슬람 세력  -  7세기

02 지중해에 불어닥친 이슬람의 바다 -  7세기~8세기 

03넓은 공간에뿌리를 내린이슬람 제국  -  8세기 후반 

04 유라시아는 어떻게 하나가 되었나?  -  8세기

05 기마 유목인이 유라시아 제국을 뒤혼들 수 있었던 이유 -  11세기~14세기

06 천호제(千戶制)를 통해 모습을 드러낸 몽골 제국  -  13세기 초반

07 4개의  입구를 통해 단기간에 확대된 몽골 제국  -  13세기



제3장 - 이슬람에 대항해 자립하는 유럽

 

제4장 -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유법

 

제5장 - 유럽 세계에  편입된 러시아와  유라시아 북방권

 

제6장 - 제2의 유럽으로 개조된 남북아메리카

 

제7장 - 세계사에 뒤늦게 등장한 오세아니아와 아프리카

 

제8장 - 이슬람 세계의 변모와 변치 않는 고뇌

 

제9장 - 바다로 연결된 인도 세계와 동남아

 

제10장 - 순환하면서 팽창해나가는 중화세계



 


 



서문



1. 지도는 인류 사회의 확대를 지리적, 공간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줌.



2. 이 책은 지도와 지명을 활용하여 세계사를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함.



3. 지명의 유래와 당시의 역사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세계사를 더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음.



4. 저자는 지도 하나만 들고 지중해를 여행한 경험을 통해 역사와 지리의 깊은 상관관계를 고민함.



5. 이 책은 지도와 지명을 중심으로 역사를 보며, 인류 사회의 확대를 지리적, 공간적으로 크게 나누어 해설함.



6. 세계사 전개를 4단계로 구분함.



7. 1단계는 4대 문명 탄생과 지중해로 확대되는 문명임. 



8. 나일강 유역의 ‘이집트 문명’ 은 지중해 동부로 파급됨.



9.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 의 ‘메소포타미아 문명’ 은 강의 북부지방, 소아시아, 시리아, 이란 고원으로 파급됨.



10. 인더스강 유역의 ‘인더스 문명’ 은 갠지스 강과 남인도, 동아시아로 파급됨.



11. 황허강 유역의 ‘황하 문명’ 은 창장 강 유역과 몽골 고원, 한반도, 일본열도, 베트남으로 파급됨.



12. 인더스 문명과 황하 문명은 주변이 산맥, 사막 초원 등으로 막혀 고립성이 강했음.



13. 이집트 문명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상호 교류하며 지중해 주변에 2차 문명 (로마 제국)을 탄생시킴.



14. 서아시아 지역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공간에서 세계사가 최초로 시작됨.



15. 2단계는 이슬람이 주도하는 세계임. 



16. 7세기 이후 이슬람교도의 대정복운동으로 서아시아와 지중해 남부는 이슬람 세계가 됨.



17. 이슬람 제국은 상인의 사회적인 지위가 높은 상업제국이었음.



18. 이슬람 세계는 투르크인, 이슬람 상인, 베르베르인 등에 의해 중앙아시아, 북인도,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확대됨.



19. 이슬람 상인이 형성한 유라시아 규모의 대 상업 네트워크는 세계사의 기반을 구축함.



20. 3단계는 세계를 압도한 유럽 팽창 시대임.



21. 유럽 세계는 대항해시대 이후 미 대륙을 '제2의 유럽'으로 만들고 대양 네트워크를 구축함.



22. 18세기 산업혁명으로 만든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사회 시스템, 철도/증기선, 강력한 무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으로 팽창함.



22. 4단계는 변화를 강요받은 ‘전통세계’ 임.



23. 중국, 인도 등 전통세계는 유럽 세력의 영향으로 큰 변혁기를 거쳐 재편됨.



24. 현대 세계화가 '광의의 유럽'의 지구화인지, '미국 문명'의 세계화인지, 아니면 '전통세계'의 새로운 전개 과정인지 단정하기 어려움.



25. 과도기이기 때문임.



26. 이라크 전쟁, 중국의 경이적 경제 성장 등 현대 사회는 복잡성과 과도기적 성격을 보이고 있음.



27. 다양한 문제의 세계 문제의 본질적 원인을 세계사 속에서 읽어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함.





들어가는 장 - 인류사의 무대는 이렇게 탄생했다




28. 인류의 고향은 동아프리카의 '아프리카 대지구대(大地溝帶, Rift Valley)' 지역임.

 



29. 에티오피아와 탄자니아에서 500만 년 전의 가장 오래된 인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 인골이 발굴됨.



30.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 남쪽의 원숭이)는 척추, 골반, 하지(下肢, 몸통 아래 양쪽 다리) 형태로 보아 직립보행을 했음.



31. 아프리카 대지구대는 폭 30~60km, 고저차 1000m에 달하며 남북 약 6400km 길이로 이어지는 '지구의 갈라진 곳'임. 지금도 조금씩 폭이 늘어나고 있음.



32. 이곳에는 빅토리아 호, 탕가니카 호 등 깊은 호수들이 산재해 있음. 탕기니카호 의 수심은 1471미터임. 러시아 바이칼 호 다음으로 깊은 호수임.

 




33. 기후 건조로 열대우림이 사라지자, 나무 위 생활을 하던 원숭이들이 땅 위에서 두 발로 서서 생활하게 됨.



34. 직립보행으로 자유로워진 앞다리는 다양한 도구를 만드는 '손'으로 진화함.



35. 1974년 에티오피아 아파르 지구에서 발굴된 여성 화석은 '루시'라고 명명됨. 당시 발굴대가 즐 겨듣던 비틀즈의 노래  ‘루시 인 더 스카이 위드 다이아몬드(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에서 따와 '루시’  라고 명명되었음.



36. 4년 뒤, 탄자니아 라에트리에서 발견된 350만 년 전 발자국 화석은 직립보행의 확실한 증거를 제공함.

 



37. 260만 년 전의 화석 인골의 치아와 턱의 특색,뇌의 크기를 보면 최초의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 네 종류로 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음. DNA를 비교 연구한 결과 유인원(침팬지, 고릴라) 과 인간의 조상이 분리되는 시기를 약 200만 년 전으로 추정됨.



38. 약 180만 년 전, 큰 뇌와 작은 치아를 가진 호모 에렉투스(직립인간)가 출현함.



39. 그루지야(러시아명 그루지야, 한국명 조지아)에서 발견된 17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은 이들이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했음을 시사함.

 






40.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 피테칸트로푸스(Java猿人: 자바원인)이 발견됨. 120만 년 전부터 70만 년 전까지 생존했을 것으로 추정됨. 원은 원숭이 원임.

 



41. 북경 주구점에서 시난트로푸스(북경원인) 화석이 발견됨. 50만 년 전 생존했을 것으로 추정됨.

 




41. 이로써 인류는 약 100만 년 전 유라시아 열대/아열대, 50만 년 전에는 온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42. 30만~20만 년 전에는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구인(舊人)이 등장함. 독일 뒤셀도르프 근교의 네안데르탈 협곡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네안데르탈인 (Neanderthal man)  이라고도 부름.



43. 네안데르탈인은 10만 년 전부터 4만 년 전까지 서아시아와 유럽에 널리 분포함. 



44. 약 4만 년 전, 크로마뇽인 등 현생 인류의 직접 조상인 신인(新人,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이 각지에 출현해서 다양한 인종으로 분화됨.

 



45. 신인은 뇌 발달, 후두부 팽창, 얼굴/치아 축소, 언어 능력 발달 등의 특징을 가짐.



46. 인류는 약 5만 년 전 호주, 약 1만 년 전 남미 신대륙 남단에 도달하며 전 지구로 확산됨.



47. 약 1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 종료 후, 기후 건조화로 인해 사막이 형성되는 위기가 닥침.



48. 지구 자전에 의한 대기 대순환 과정에서 남북회귀선 부근에 건조한 공기가 하강하며 광대한 사막 지대가 형성됨.



49.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아라비아 반도의 룸알할리 사막, 시리아 사막이 대표적임.

 



50. 인도 북서부에는 타르 사막, 중국 북부 고위도 대륙성 기후 지역에는 타클라마칸 사막과 고비 사막이 있음.



51. 인류는 사막 주변의 스텝(초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야생 보리 등 벼과 식물을 재배하기 시작함. 약 1만 년 전으로 추정함.

 

주) 스텝이란 연간 강수량이 350미리리터~400미리리터 이고 길이가 50센티미터 이하의 풀로 뒤 덮인 초원을 말함.




52. 초원을 불태워 재를 비료로 삼는 화전 농업 방식을 사용함.



53. 좁은 면적에서 많은 식량을 얻고, 곡물이 단단하여 토기에 끓여 먹는 요리법을 개발함.



54. 농사를 위해 밭을 개간하고, 신석기와 같은 새로운 도구를 만들며, 새로운 사회 조직을 출현시킴.



55. 농업이 시작되면서 일어난 다양한 사회 변화를 통틀어  ‘식량생산혁명’ 이라고 함.



56. 농업 시작 이후 수천 년간 인구가 증가하며 사람들은 물을 찾아 큰 하천 유역의 충적평야로 모여듦.

 

주) 충적 평야는 하천이 운반한 토사가 쌓여 이루어진 평야로, 지면이 평평하여 농업에 적합함.



57. 충적평야는 홍수 위험과 습지 문제가 있었기에, 제방, 수로 건설 등 공동의 관개 농업이 필요했음.



58. 인류는 토지를 개척하여 자신들에게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개발을 시작했음.



59. 체계적으로 개발을 하려면 이를 지휘할 수 있는 중심지(센터)가 필요했는데, 이 가운데 특수한 취락이  ‘도시’ 로 성장함. 



60. 많은 사람들은 조직을 만들어 ‘밭’ 을 넓혔고, 동과 청동기, 도구와 문자를 만들었으며 이 외에 취락을 지배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음.



61. ‘도시혁명’ 임. 도시가 출현한 이후에 생긴 복잡한 ‘문화(culture)’ 를 ‘문명 (civilization)' 이라고도 함.



62. 도시는 개발, 치안, 교역 등의 대가로 주변 취락에 세금을 요구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식량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함.



63. 도시는 종교와 법률, 군대, 관료제 등을 통해 지방을 지배하는 질서를 창출했고,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받게 됨. 이렇게 완성된 것이 ‘국가’ 임.



64. 최초의 4대 문명은 유라시아 5대 하천 유역의 네 곳 충적평야에서 탄생함.

 



65. 이집트 문명은 나일 강 (나일은 큰 하천이란 뜻임) 유역에서 발달했음. 이집트인은 비옥토를 '타케무트(검은 흙)'라 불었음. 주변의 쓸모없는 사막을 ‘데 셰레트(붉

은 흙)’ 이라고 불렀음.



66.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티그리스 강 ('창처럼 빨리 흐르는 하천' 이라는 뜻)과 유프라테스 강('큰 하천' 이라는 뜻) 하류에서 시작되었음. 강 상류에서 비옥한 흙이 운반되어 이 지방에 퇴적됨. 비옥토를 '사와드(검은 토지)'라 칭함.

 

주) 메소포타미아에서 메소는 중간, 포타미아는 강이란 뜻임. 메소포타미아는 강 사이의 넓은 지역을 말함.



67. 인더스 문명은 인더스 강 유역에서 성립됨. 



68. 산스크리트어 로 강을 '신도프' 라고 함. 이 강 유역에 발달한 지역을 신도라고 불렀음. ‘인도’ 라는 국명의 어원임.



69.  페르시아(이란)인은 여기에 ‘h’ 발음을 추가해 ‘힌두’ 라고 불었음. 힌두교의 어원임.



70. 황하 문명은 황허 강 유역 화베이 대 충적평원에서 발달함.



71. 황허 강은 '직각으로 꺾인 강' 이라는 뜻임. 물이 노한 색이어서 황하('누런 강') 라고도 부름. 



72. 황허강은 잦은 홍수가 발생하고 때때로 물길이 바뀌었음. 



73. 중국은 여러 차례에 걸쳐 대 치수 사업을 실시함. 덕분에 중국은 중앙집권적 관료 시스템 이 발달함.






추가) 동서 문명을 연결한 실크로드의 지형과 지명

 



74. 중앙아시아는 거대한 산맥과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음. 



75. 평균 고도 4500~5000미터 산으로 이루어진 파미르 고원(Pamir Plat). 페르시아어로 ‘산들의 기슭’ 이라는 뜻임.



76. 동북쪽으로 2500킬로미터인 거대한 산 덩어리인 톈산산맥. 타타르어로 ‘킬로만(하늘 산)’ 이라는 뜻임.



77. 남으로는 티베트 고원 가장자리를 따라 5500~6000미터 산들이 솟은 쿤룬산맥. ‘머리를 말아 올린 검은 몸의 백성’ 이라는 뜻.



78. 그 사이에 감싸인 타림분지. 위구르어로 ‘하천의 흐름이 모인 곳’ 이라는 뜻.



79. 타림 분지 중앙에는 20~90미터 사구가 이어진 타클라마칸 사막. 위구르어로 ‘일단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 는 뜻.



80. 파미르 고원 서쪽 지역은 북쪽의 시르강, 남쪽의 아무(Amu) 강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강 저편의 땅’이라고 불림.

 

*시르강은 소금 호수 아랄 해로 흘러듬. 시르(Syr)는 시르다리야, 페르시아어로 ‘노란색’ 이라는 뜻.



81. 언급한 이 땅이 모두 동서 문명을 연결하는 실크로드임. 

 

 

82. 실크로드는 타클라마칸 사막 북변을 통과하는 길과 남쪽을 통과하는 길로 나눠짐. 서쪽으로 서투크키스탄 시장, 동쪽으로 간쑤성 둔황에서 합쳐서 황허 강까지 이어짐.

 







다음: 

 

지도로 보는 세계사 제1장 - 서아시아와  지중해세계의  움직임

 

01  최고문명의 발상지  ‘메소포타미아’ (5000년 전)

02 이집트문명이 가능했던 이유 (5000년 전)

03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였던 시 리아와 팔레스타인 (기원전 14세기~기원전 6세기)

04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를 통합한 이란인의 제국  (기원전 6세기~기원전 4세기)

05 지중해세계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기원전 27세기  (기원전 12세기)

06 지명으로 읽는고대 지중해의 페니키아 세력권  (기원전 12세기경)

07 뒤늦게 바다에 진출한 그리스인  (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

08 지중해에 기원을 두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기원전 12세기~기원전 2세기)

09 지중해는 세계 최대의 ‘내해’ 였다 (기원전20세기~)

10 광대한 세계를 향한 알렉산더의 도전  (기원전 4세기)

11 지중해의 패자로 급부상한 로마  (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

12 지배지역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혼란에 빠진 로마제국  (기원전 1세기~기원후3세기)

13 유라시아와 서쪽세계를 연결한 페르시아 제국  (기원전 3세기~기원후7세기)

14 고대 ‘바닷길’  의 중심은 홍해와 인도양의 접점에 있었다 (기원전 10세기~기원후 1세기)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xOB

고수

콘텐츠 38

팔로워 1074

메르님의 이야기를 투자자의 시각에서 풀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