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희토류 수출금지를 시작했다. 미국은 답을 찾을까? - 링크 요약 - 1. 희토류 개요 및 분류
2. 네오디뮴 자석의 개발
3. 중국의 희토류 기술 확보 및 생산 독점
4. 디스프로슘
5. 미국의 안보
6. 디스프로슘 공급
7. 그린란드
8. 환경 문제
9. 심해 채굴
10. 제련 문제와 해결 방안 모색
한줄 코멘트.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는 디스프로슘을 집중해서 봐야 제대로된 분석이 가능함. 경희토류는 세계 각국에 폭넓게 분포되어 한국에도 매장이 확인되고 있음. 중희토류인 디스프로슘은 매장지가 몇군데 없고,제련에 환경오염이 심해서 중국 독점상품이 되고 있음. 그린란드 광산 또는 심해채굴로 확보한 디스프로슘을 우크라이나에서 제련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음. |
관련글 (희토류)
250416 중국이 희토류 수출금지를 시작했다. 미국은 답을 찾을까?
250224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희토류에 집착하는 숨겨진 이유
241027 희토류 전쟁 근황 업데이트 1 (feat 미얀마, 군부 쿠데타, 로힝야족)
241027 희토류 전쟁 근황 업데이트 2 (feat 미얀마, 디스프로슘)
241027 희토류 전쟁 근황 업데이트 3 (feat 머스크, 중국, 분리독립)
자원은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상품 투자와 같아서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슬쩍 훑어만 봅니다.
중국
1. 북방희토고과기유한공사 (北方稀土, China Northern Rare Earth (Group) High-Tech Co., Ltd.)
-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 (600111)
- 경희토류 기반임. 세계 최대 규모.
2. 성허자원홀딩스 (盛和资源, Shenghe Resources Holding Co., Ltd.)
-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 (600392.SS).
- 희토류 채굴, 제련, 분리 사업 영위. 그린란드 광산 지분 보유.
3. 샤먼텅스텐 (厦门钨业, Xiamen Tungsten Co., Ltd.)
-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 (티커: 600549.SS)
- 주력 사업은 텅스텐임. 희토류 제련, 가공도 함.
4. 중국희토그룹(China Rare Earth Group) ★★★
- 여러 기업의 희토류 자산을 통합해 2021년 설립한 기업임. 국유기업임. 비상장사임. 중국 희토류 공급의 핵심 역할을 수행함.
- 특히 중희토류 시장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
호주
5. 라이너스 희토류 (Lynas Rare Earths Ltd)
- 호주 ASX (LYC), 미국 OTC (LYSDY) 상장함.
- 현재 중국 외 최대 희토류 생산 기업.
6. 일루카 리소시스 (Iluka Resources Limited)
- 호주 ASX (ILU) 상장
- 지르콘, 티타늄 전문. 희토류 분리/정제 사업 추진 중.
미국
7. MP 머티리얼스 (MP Materials Corp.)
- 뉴욕 NYSE (MP) 상장.
- 캘리포니아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 운영. 희토류 정광 판매함.
에너지 퓨얼스(Energy Fuels Inc.)가 희토류 사업을 시작하는 듯함.
8. 크리티컬 메탈스(Critical Metals Corp., NASDAQ: CRML)
- 나스닥 NASDAQ(CRML) 상장.
- 그린란드의 탄브리즈(Tanbriiiz) 중희토류 프로젝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캐나다
9. 네오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Neo Performance Materials Inc.)
- 토론토 TSX (NEO) 상장.
- 희토류 채굴은 하지 않음. 희토류 분리, 가공, 자석 등 응용 소재 생산.
밸류체인에서 대표적인 기업을 알아 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기업리스트보다 아래 밸류체인이 더 의미가 있을 듯 합니다.
1. 희토류 생산 (채굴, 분리, 제련)
-
중국 북방희토 (China Northern Rare Earth) / 중국희토그룹 (China Rare Earth Group) (중국):
-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 자원 통제력이 있음. 국가 차원에서 관리함. -
라이너스 희토류 (Lynas Rare Earths) (호주):
- 중국을 제외 세계 최대의 희토류 생산 기업. -
MP 머티리얼스 (MP Materials) (미국):
- 북미 유일의 대규모 희토류 광산(마운틴 패스)을 운영하고 있음. 채굴부터 분리, 제련, 자석 생산까지 수직 통합을 추진하고 있음.
2. 희토류 응용 소재 (영구자석 등)
-
신에츠화학 (Shin-Etsu Chemical) (일본):
- 반도체 소재,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NdFeB)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Proterial (구 히타치 금속) (일본):
- 고성능 자석 및 관련 소재 분야 생산. (히타치 그룹에서 분사 후 사명 변경, 상폐) -
네오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Neo Performance Materials) (캐나다):
- 세계 여러 거점(에스토니아, 중국, 태국 등)에서 희토류를 가공하여 산업용 특수 소재 및 자석 등 생산. -
Vacuumschmelze (독일):
- 유럽을 기반, 희토류 영구자석 및 특수 합금 소재 생산. 비상장.
3. 희토류 응용 산업 (수요처)
-
테슬라 (Tesla) (미국) / BYD (중국):
- 전기차는 전기 모터용 희토류 자석의 주요 수요처임. -
베스타스 (Vestas Wind Systems) (덴마크) / 지멘스 가메사 (Siemens Gamesa) (독일/스페인):
- 세계 풍력 터빈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들임. 특히 대형 해상풍력 터빈에 고효율 영구자석이 사용됨. 지멘스 가메사는 비상장사임. -
화낙 (FANUC) (일본), ABB (스위스/스웨덴), KUKA (독일/중국):
- 산업용 로봇 분야의 강자들임. 정밀 제어에 필요한 고성능 서보 모터에 희토류 자석이 사용됨.
- KUKA는 독일 기업이나 중국 기업이 메이디 그룹(Midea Group)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4. 환경 기술 / 서비스 (광업)
-
베올리아 (Veolia) (프랑스):
- 수처리 및 폐기물 관리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 광산 개발 및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처리, 광미 관리 등을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함.
- 미국, 프랑스 모두 상장됨. -
이콜랩 (Ecolab) (미국):
- 산업 전반에 걸쳐 물, 위생, 에너지 관련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함. 광업 분야의 용수 관리 서비스도 제공함.
5. 비교 (달러, 시총 내림차순, 2024년 기준)
중국 기업은 밸류가 상당히 높습니다. 패쓰~
위의 일본 기업은 관련 분야에서 경쟁력 만랩인 기업이라 싸지 않습니다.
네오 퍼포먼스 머티리얼은 POR은 준수한데, 적자입니다. 이유가 궁금하긴 합니다.
단순 지표 상으로 금리 내리면 베올리아가 좋긴 하겠네요 (재무 레버리지가 높음).
경쟁력 있는 기업은 (살기 좋은 나라와 상관없이) 싸지 않다!!!
투자는 이런 선택의 연속인데 늘 어렵습니다.
왕도가 없습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