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의 투자포인트 (feat.미세플라스틱)
메르xOB
2023.12.19
※ 메르님의 글을 투자로 확장하기 위해 오렌지보드에서 제공하는 정보입니다. 하워드 막스가 말하는 2차 사고의 개념입니다.
※ 필자와 저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댓글 남겨 주시면, 메르님께서 답변을 주시기로 하셨습니다.
※ 하술한 내용은 투자를 권유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 원문링크: 미세 플라스틱 근황 업데이트 (feat 유엔 국제협약, 바이든vs트럼프)
환경 관련 산업이 유망한 산업으로 간주된 지는 25년도 넘은 듯 합니다. 환경 산업은 경제 논리에 따라 시각이 달라질 수 있는 영역인 듯 합니다. 의사결정 시, 참고해야 겠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의 해결 방안으로 시장에서 회자되었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바이오플라스틱입니다.
바이오플라스틱
1. 바이오플라스틱은 생분해성(biodegradable) 또는 바이오 베이스(bio-based) 플라스틱을 말함.
2. 폐기 후에 빠르게 분해되어 친환경적임. 석유 베이스 제품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절반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소 효과가 있음.
*아래처럼 분해되려면 퇴비화 시설이 필요함.
3. 바이오매스 함량이 50%만 되어도 석유기반 플라스틱 대비 80% CO2 저감 효과가 있다고 함.
4. 화석 연료를 사용한 플라스틱의 경우, 1)생산시 탄소배출 문제와 2)폐기시 자원순환 문제가 심각함. 플라스틱 사용량의 79% 정도가 매립/투기됨.
5.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s)은 생물공학 기반 기술을 통해 생산되는 생분해성 또는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을 의미함.
주) 생분해플라스틱에는 PLA(Polylactic Acid), PHA 등이 있고,
주)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에 바이오매스(썩는 물질)을 섞은 것으로, 이름 앞에 ‘Bio-’ 가 붙는 방식임. Bio-PE, Bio-PET 등.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바이오플라스틱 (2022.8)’>
6. 제 3회 2023년 국제 생분해성 플라스틱*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를 9월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함. 관심이 죽지는 않은 듯함.
https://www.etnews.com/20230906000063
7.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2021년 76억 4,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4.8%로 증가하여, 2026년에는 231억 8,2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이런 건 숫자가 아니라 방향만 보면 됨.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뜻임.
<2021년 기준임>
8. 비생분해성(난분해성) 바이오기반 플라스틱은 2021년 30억 1,160만 달러에서 연평균 16.5%로 증가하여, 2026년에는 64억 7,64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9. 유럽플라스틱협회에서는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능력이 2021년 약 241만톤에서 2026년 759만톤으로 254.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European Bioplastics, 2021).
10. 2021년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능력 기준으로,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점유율이 64%임. Starch blends(전분계), PLA, PBAT, PHA가 점유율이 가장 높음. 각 플라스틱별로 10%~20% 사이임.
주) Starch blends는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해 섞은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PLA, PBAT, PHA 가 중요한 플라스틱임.
11. European Bioplastics (한국말로는 유럽 바이오플라스틱 협회 정도 될 듯)는 난분해성보다 생분해성 소재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함.
<2021년 기준임>
생분해성 플라스틱 (Biodegradable plastics)
12.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셀룰로스 대비 36주 이내에 90% 이상 분해되는 경우에 해당함. 분해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함. 바이오매스 함유량이 50%이상임.
13. 천연물 합성계(Starch blends, PLA 등), 화학 합성계(PBAT 등), 미생물 합성계(PHA 등) 세 종류가 있음. 괄혼안이 대표적인 것들임. 단일 소재보다는 생분해성 소재를 혼합하여 사용함.
14. PLA(Polylactic Acid)는 천연물 합성계임.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에서 얻은 전분을 발효시켜 젖산(lactic acid)을 만들고 그 젖산을 중합(Poly)하여 제조함.
15. starch blends는 전분과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카프로락톤(PCL) 등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조됨. 전분이 주원료라 한국어로 전분계라고 표현함.
16. PLA, starch blends 두 종류가 현재 시장점유율이 대략 40% 정도임.
17. 스타벅스 바나나·샌드위치 포장재는 SKC 친환경 생분해 필름임. PLA를 사용함.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28428
18. PLA가 생분해되려면 퇴비화가 돼야 하는데 국내에는 퇴비시설이 없음. 다른 일반쓰레기들과 같이 폐기되고 있음. 제도적인 서포트가 부족한 듯함.
19. PHA (Polyhydroxyalkanoate)는 미생물 합성계 플라스틱임. 미생물이 생산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플라스틱임. 미생물이 있으면 분해될 수 있으므로 생분해성이 높음.
20. CJ제일제당이 세계적인 수준의 PHA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미국 대니머 사이언티픽 Danimer Scientific, 일본 카네카가 PHA를 상업화 생산할 수 있는 회사임.
21. PHACT가 CJ의 PHA (Polyhydroxyalkanoate)제품 브랜드임.
https://www.cjbio.net/kr/products/cjPha.do
22. CJ는 자체 제품에 PHA를 적용하고 있고, 확대 적용하려고 함.
https://www.cj.net/cj_now/view.asp?bs_seq=15392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이번 FDA의 식품접촉물질 승인을 통해 미래 소재인 PHA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PHA의 유용성을 널리 알리는 한편, 소비자와 밀접한 다양한 분야로 활용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J제일제당은 바이오 소재 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PHA와 PLA를 혼합한 화장품 용기를 개발, 이를 CJ올리브영의 자체 브랜드(PB)인 ‘웨이크메이크’ 쿠션 제품에 적용한 바 있으며, 이 밖에도 유한킴벌리, 호텔 체인 아코르(ACCOR), 메이크업 브랜드 바닐라코(BANILACO) 등 여러 기업과 협업해 PHA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23. SKC는 PLA와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석유계 생분해성 플라스틱)를 모두 생산함. PBAT 생산시설을 확장하고 있음. 년 7만톤이 생산 목표라고 함.
PBAT 소개 (SKC 홈페이지) https://www.skc.kr/m/kor/creation/detailView.do?menuCd=002007&lang=kor&cate1=259&cate2=356&cate3=&cate4=
2021-11-23 https://www.ajunews.com/view/20211123142801342
SKC, 세계 2위 PBAT 생산시설 짓는다...대상·LX인터와 합작사 설립
2023/09/25 https://zdnet.co.kr/view/?no=20230925084129
24.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종류는 20가지 넘게 있지만, 현재 산업화 단계에 진입한 제품들에는 Starch blends, PLA, PHA, PBS, PBAT 정도인 듯함.
25.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PE, PP등으로 만드는 플라스틱 대비 좀 비싼 듯함. 종이컵 하나에 1000원이 넘음.
26. 가장 상업화에 성공한 것은 PLA (상품명 Ingeo)임. 2020년 기준 미국의 NatureWorks사로 연간 14만톤을 생산하여 전 세계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음. 비상장사임. 미국의 농업 회사인 Cargill 자회사임. 2023년 기준 년간 생산능력 네브라스카 공장 15만 톤, 태국공장 7.5만 톤, 그 외 합쳐서 28 만톤 수준인 듯.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s)
27.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은 식물체 기반 바이오매스(분해되는 물질)를 20~25% 이상 함유한 플라스틱을 말함.
28. 석유계 플라스틱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음. 분해되지 않므로 재활용 가능함.
29.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은 생분해성 플라스틱보다 생산성이 우수함.
30.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은 유통기한이 길며, Bio-PE, Bio-PET, Bio-PP 등이 산업화되어 있음. 일반 석유화학 플락스틱 앞에 Bio-가 붙음. 롯데케미칼에서 Bio-PET를 만들고 있음.
생분해성 플라스틱 상장사
상장사#1: CJ제일제당 (097950)
31. PHA를 상업생산하는 곳은 전 세계에서 3곳임. 미국의 Danimer Scientific, 일본의 Kaneka, 그리고 동사임.
32. PHACT가 CJ의 PHA (Polyhydroxyalkanoate)제품 브랜드임. CJ제일제당의 바이오사업부분에서 담당함.
https://www.cjbio.net/kr/products/cjPha.do
주) 자회사인 CJ바이오사이언스는 마이크로바이오옴이나 감연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회사임.
33. CJ제일제당의 주가는 2023년 16%하락함. 시가총액은 4조 7948억 원임. 최근 주가가 상승함.
34. 주가는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 수준임.
35. 잠김물량 (대주주 45.5%, 자사주 2.4%)를 제외한 분기기준 거래량회전일수가 470일임. 거래가 작은 편임.
주) 거래량 회전일수에서 국민연금이 보유한 11%는 제외하지 않음. 소액 주주들의 회전일수는 470일보다 길 듯 함.
36. 사업보고서에서 바이오플라스틱 매출을 별도로 공개하지 않음. 2022년 기준 바이오 사업부 매출은 전체 매출 약 30조 중, 4.8조원임.
<2022년 사업보고서>
37. 식품 첨가제와 사료 첨가제가 매출에 포함되어 있어, 바이오플라스틱 매출을 알기 어려움 (비중이 상당히 작을 것으로 추정함).
38. PHACT 관련 기사임.
2022.05.11 CJ제일제당,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PHA’ 본생산 개시…전문브랜드 선보여
CJ제일제당은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바이오공장의 전용 생산라인에서 PHA 양산을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곳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용화에 성공한 비결정(非結晶)형 aPHA(amorphous PHA)를 연간 5천톤 규모로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반결정(半結晶)형 scPHA(semi crystalline PHA) 생산 라인 착공에 돌입, 2025년에는 PHA 생산규모를 연간 6만 5천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2025.05.12 CJ제일제당, 생분해 소재 PHA 美 FDA 승인…식품 포장재로 활용
CJ제일제당은 PHA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식품접촉물질(FCS, Food Contact Substances)로 승인됐다고 4일 밝혔다.
PHA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먹고 세포 안에 쌓아놓는 고분자 물질로, 토양과 해양을 비롯한 대부분 환경에서 분해되는 특성이 있다. 생활용품 포장재, 화장품 용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소재로, 세계적으로 ‘탈(脫) 석유계 플라스틱’ 움직임이 커지며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39. 사업보고서에 PHACT의 가격을 공개하고 있지 않아 알기 어렵지만, 검색으로 찾은 결과 톤당 1500~3000 달러 정도 된다고 함 (확실치 않음). 1000톤에 1.5~3백만 달러 매출 규모임. 5000톤이면 7.5~15 백만 달러 매출 규모임. 동사의 사이즈에서는 (매우) 작은 수준임.
주) PE (폴리에틸렌)의 가격은 톤당 1300 달러 선임.
40.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동사에 의미는 가지려면 정책적 지원, 생산량 증대가 필요할 듯 함.
상장사#2: Danimer Scientific Inc (DNMR)
41. 2003년 10월에 설립된 미국의 바이오플라스틱 회사임. 2020년 12월에 SPAC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에 상장됨.
42. 식물성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는 바이오 발효공정을 통해 PHA를 생산하고 있음.
43. Nodax™ PHA와 Marlex™ PHA를 상용화하였음. 네슬레에 PHA를 공급하고 있고, 월마트, 코카콜라 등과 파트너십을 발표함. 코카콜라는 203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포장재의 최소 25%를 재사용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겠다고 발표함.
43. 네슬레의 커피 캡슐과 콜라의 포장을 모두 PHA로 만들면 좋겠지만, 최근 상황이 좋지 않음.
44. 2021년 4월에 펩시가 보유지분을 전량 매각하고, 같은 년도 5월에 공매도 보고서가 나오면서 주가가 2년 이상 흘러내리고 있음.
45. 시가총액 1.1억 달러임. 23년 주가하락 38%임.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46. 매출총이익 단에서도 적자임. 최근 4분기 합계는 2023년 9월 기준임.
47. 재무레버리지가 상승하고 있음. 현금회전일수가 점점 나빠지고 있음. 원가율이 100%를 초과함. 매출액 대비 감가상각비 비중이 매우 높고, 차입으로 운영비용을 충당하는 듯함.
48. 매출이 올라오면 점점 장부가 좋아지겠지만, 당장 (매우) 좋지 않으므로, 단기 전망이 상당히 밝아야 할 듯함.
상장사#3: Corbion NV ADR (CSNVY)
49. Corbion NV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둔 네덜란드 식품 및 생화학 회사임. 1919년에 설립됨. Corbion은 1)젖산 및 그 유도체(48%), 2)첨가제, 3)기능성 성분을 생산함.
50. 네덜란드 회사임. 미국 OTC 마켓에 ADR이 상장되어 있음.
주) ADR은 American Depositary Receipt의 약자로, 미국의 예탁 증권을 의미함. 미국의 은행이 외국 기업의 주식을 예탁받아 담보로 발행하는 증권임.
51. 동사는 1960년대 후반, 발효 설탕으로부터 젖산을 생산함. 식품, 화장품, 용제, 생분해성 플라스틱, 의약품 및 의료 응용 분야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성분 및 보충제와 같은 젖산 및 젖산 유도체 분야의 시장 선두주자임.
주) 젖산을 영어로 Lactic Acid라고 함. 락트산 이라고도 함.
52. 프랑스 Total사와 협력하여 Total Corbion PLA라는 회사를 50/50 합작 투자 법인으로 설립함. 2016년부터 PLA 생산을 일관화한 기업임. LA를 생산해 왔기에 가능한 구조인 듯함.
53. 미국의 NatureWorks 사 다음으로 PLA 생산능력을 보유함. 2022년 기준 75,000톤/년이고 10만톤으로 증설하고 있음.
54. 동사의 젖산의 생산능력은 2022년 기준 20만톤/년 임. 2025년까지 30만 톤으로 증설하려고 함.
55. 시가총액 12.3억 달러임. 23년 38% 하락함.
56. 주가는 자본기준, 이익기준 모두 밴드 하단 수준임. 업의 전망이 밝으면, 주가가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닌 듯함.
57. 최근 재무레버리지(자산/자본=1+부채비율)가 상승하고 있음.
58. 최근 4분기 합계는 2023년 6월 기준임. 매출은 나름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음. 최근 4분기 합계 기준 15.9억 달러임. 영업이익 대비 순금융비용이 22% 수준임.
59. 동사의 PLA 매출은 2022년 기준 약 2억 유로임. 2.2억 달러 정도 됨. 매출비중 약 14% 정도임.
60. 기존 캐파에서 50% 정도 증설하고 있으므로, 동사의 PLA 매출 증가는 기업가치 증가에 유의미할 듯.
상장사#4: Kaneka Corp (4118)
61. Kaneka社는 Polymer Green Planet ™(PHBH)을 생산하고 있음. 도쿄 시장에 상장되어 있음. 코드는 4118임.
62. 현재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능력은 년간 5000톤임. 규모가 크지 않고, 홈페이지에서 신사업으로 보고 있음. 카네카는 각종 석유화학 제품을 두루두루 생산하고 있음.
https://www.kaneka.co.jp/en/business/material/nbd_001.htm l
63. 15,000톤을 증설할 예정임. 완공은 2024년 1월 예정으로 진행중인 듯.
Kaneka has plans to invest 130 million dollars to expand the production capacity of its biodegradable biopolymers at its Kaneka Takasago manufacturing site in Japan. With this move, the company plans to achieve a total production capacity of 20,000 tons every year at the site.
64. 톤당 판가 2000~3000 달러 가정하면, 2만톤의 매출규모는 40~60 백만 달러 수준임.
주) 정확한 가격을 찾지 못함. 검색으로 대략 추정한 가격임. 크게 틀리지 않을 듯함.
65. 시가총액 2296억엔, 23년 8% 상승함. 주당 배당금이 꽤 안정적임.
66. 자본대비 멀티플은 밴드 하단 수준. 이익대비 멀티플은 과거 대비 비싼 수준은 아닌 듯함.
67. 최근 4분기 합계는 2023년 9월 기준임. 7453억 엔임. 대개 석화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높지 않음. 거의 예외가 없는 듯.
68. Polymer Green Planet 의 가동률이 100%일 경우, 동사 매출의 1%가 조금 넘는 수준임.
69. 매출기여도는 크지 않고, 비용은 많이 들 것 같아, 없는 것보다 나은지 낫지 않은지 판단이 잘 안됨.
상장사#5: BASF SE ADR (BASFY)
70. BASF는 1865년에 설립된 독일의 화학 기업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화학 기업임. 직원수가 112,085 명임.
주) SE는 Societas Europaea의 약자로, 유럽 회사를 의미함. BASF는 2007년에 독일 법인인 BASF AG에서 유럽 회사인 BASF SE로 전환함.
71. 미국 OTC 마켓에 ADR이 상장되어 있음. 심볼은 BASFY임.
72. 시가총액 465억 달러임. 23년 8% 상승함.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시가배당 수익률이 4.9%로 양호한 편임.
주) 주식수는 4 ADRs = 1 Ordinary Share* 이므로 미국에 상장된 주식수에 x4 한 것임. https://www.basf.com/global/en/investors/share-and-adrs/adrs-for-us-investors.html
73. 최근 4분기 합계는 2023년 9월 기준임. 바스프의 최근 매출은 779억 달러임 (환율 1300원 기준, 101조 2700억 원).
74. 주가는 밴드 하단 수준임.
75. PBAT 기준 약 6만 톤 생산규모임. 판가 2000/톤 기준 1억 2000만 달러 매출 규모임.
주) 한 번 더 알려 드립니다. 판가는 정확한 정보가 아닙니다.
https://www.basf.com/global/en/media/news-releases/2020/05/p-20-205.html
76. 기존 매출에 비해 비중이 작은 편임. 현재 수준에서 바이오플라스틱은 바스프의 투자아이디어가 되기는 어려워 보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상장사
시장은 생분해 플라스틱보다 작지만, 공부하는 김에 대표적인 기업 추가합니다.
상장사#1: Braskem SA Class A (BAK)
77. 브라질 최대의 석유화학 회사 (2002년 설립)임. 뉴욕 시장에 상장되어 있음. 라틴아메리카의 가장 큰 석유화학 회사임.
주) SA는 Sociedad Anónima의 약자로, 주식회사를 의미함. Class A 주식은 Braskem SA의 보통주임. Class A와 B가 있음.
78. Braskem는 바이오에탄올로부터 탈수 반응을 통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생산하여 100% 바이오매스 기반 PE(Polyethylene) 상용화함.
79. Braskem社는 26만톤/년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2030년 말까지 바이오폴리머 생산량을 100만 톤으로 늘릴 거라고 함.
주) 열가소성 수지 및 기타 석유화학 제품은 년 1600만톤 이상 생산하고 있음. 작은 회사가 아님.
80. 시가총액 28억 달러임. 23년 22% 하락함. 배당수익률 36.8%임 (배당 지출이 너무 과하므로 추가 조사가 필요함).
81. 자본 대비 멀티플은 밴드 하단 수준임. 이익 대비 멀티플은 최근 적자로 인해 의미가 없음.
82. 재무레버리지(=1+부채비율)가 매우 높은 수준임. 영업이익 대비 순금융비용이 상당히 높은 수준임. 최근 4분기 합계 매출은 144억 달러임. 배당을 왜 주는지 …
83. 동사의 발표대로 진행된다면, 바이오폴리머가 동사의 매출에 꽤 큰 기여를 할 듯함. 국가 특성도 있어, 투자하기에는 안전하지 않을 듯함.
상장사#2: Avantium Holding BV (AVTX)
84. Avantium社는PET 대체 100% 바이오매스 유래 PEF (Polyethylene 2,5-furandicarboxylic acid)를 개발함.
85. 매년 적자이므로 재무적으로 말할 수준은 아닌 듯함. 현재 시가총액은 1.59 억 유로임.
결론
86. 작성하면서 전기차 타이어가 생각났음. 전기차는 더 무겁고, 코너링이 더 유연하고, 더 급가속할 수 있음. 타이어 마모가 더 쉽게 일어나고 수명이 줄어듬. 타이어사 입장에서는 기존 제품이 더 판가가 높은 제품으로 교체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음.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장사하기 괜찮은 시기라고 생각했음.
87. 다른 점은 설비투자를 새로 해야 함.
88. 석유화학은 대규모 장치산업임. 한화토탈이 2017년 폴리에틸렌 40만톤 증산을 위해 투자한 금액이 3620억임. 톤당 90만원이 조금 넘는 수준임.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93987
89. 카네카가 PHPH 15,000톤 증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1.3 억 달러임. 톤당 8667불이 들어감.
90. CJ제일제당은 240억 원을 들여서 연간 11,000톤의 PHA를 생산한다고 함. 톤당 220만원 수준임.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10694435
91. 뭐가 더 정확한지는 알 수 없으나, 기존 석유화학 설비 대비 투자 비용이 만만치 않은 듯함. 현재 판가가 받쳐줘야 하고, 자본력이 꽤 있어야 할 듯. 경쟁이 매우 치열해 지면 승자의 저주에 걸릴 수도 있음.
92. 바이오플라스틱 회사는 2~3개의 유망한 기업을 선정하되, 바이오플라스틱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다른 먹거리가 있는 기업이 좋을 듯함. CJ제일제당, 코비온, 카네카 등이 바이오플라스틱을 투자하는데 비교적 더 안전한 투자 대상인 듯함.
93. 이리저리 보험을 들어놔도 성장산업에 대한 투자는 쉽지 않음. 경쟁이 심하고, 승자를 맞추기도 어려움. 그럼에도 구미가 당기면, 바스켓으로 사는게 좋은 듯함.
(참고)
자료조사하면서 느낀 점은 석유화학 기업의 투심이 글로벌리 상당히 하락한 듯 합니다. ‘옥석을 가리기 좋은 시기일 수도 있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상으로 메르의 투자포인트 4편을 마칩니다. 상술한 내용은 메르님의 글을 투자자의 시각으로 부연설명하기 위함입니다. 필자의 능력이 부족하여, 투자포인트를 잘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 드리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Disclaime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이런 글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