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7/11 [미국] 뉴스 및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7.12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11(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3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는 소식은 최근 무역 이슈에 둔감해진 시장의 투자 심리를 다소 위축시켰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9.13포인트(0.63%) 하락한 44371.51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0.71포인트(0.33%) 내린 6259.75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45.14포인트(0.22%) 밀린 2585.53으로 집계됐다.

이날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방국인 캐나다에 내달 1일부터 3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하락 출발했다. 나머지 국가에 15%20%의 일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 역시 관세에 대한 우려를 부각했다.

국제 유가는 단기적인 공급 부족 속에서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배럴당 1.88달러(2.8%) 상승한 68.45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9월물은 1.72달러(2.5%) 오른 70.36달러를 기록했다. 한 주간 WTI2.2%, 브렌트유는 3.0% 각각 상승했다.

금값은 안전자산 선호 강화로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8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1.4% 상승한 3371.20달러를 기록했다.

 

■ 엔비디아(NVDA)

- 지속적인 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엔비디아 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생성형 AI 모델 수요가 증가하는 흐름이 지속되면서 GPU 수요 역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 애플(AAPL): 씨티는 단기적으로 애플은 중국 프로모션 효과나 관세 시행을 전후한 수요 발생으로 우수한 실적을 발표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통합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의 장기 실적은 견고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 아마존닷컴(AMZN)

- 올해 프라임데이는 기존 이틀에서 나흘로 연장됐지만 초반 성과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다. 마케팅업체 모멘텀커머스는 올해 첫날 판매량이 전년 대비 41% 감소했다고 밝혔다. 소비자 데이터업체 뉴머레이터도 주문당 평균 지출액이 57.12달러로, 지난해 60.03달러보다 줄었다고 분석했다.

- 행사 기간이 길어진 점과 경쟁 업체의 할인행사가 겹치며 소비자 수요가 분산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아마존닷컴의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사업 진출

▲ 버티브(VRT) -6.0% ▲ 엔벤트 일렉트릭(NVT) -0.7%

- 바클레이즈는 아마존이 자체적으로 열교환기(in-row heat exchanger) 하드웨어를 제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씨티 역시 아마존이 자체적으로 냉각 시스템을 제조할지, 아니면 제휴를 통해 시스템을 공급받을지는 불분명하다. 이번에 버티브와 엔벤트의 주가 하락은 과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 아마존(AMZN) 

- 모간스탠리는 아마존닷컴 클라우드 사업 전망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50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아마존은 AWS와 Anthropic 투자를 통해 AI 기반 및 일반 클라우드 사업 모두에서 우수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 CIO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AWS 성장 가속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많았다.

-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 AWS는 경쟁사인 ▲ 마이크로소프트(MSFT) ▲ 알파벳(GOOGL) ▲ 오라클(ORCL)보다 큰 점유율을 확보할 것이다.

 

■ 넷플릭스(NFLX) - 7월 17일에 ‘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 니덤은 넷플릭스 노동생산성이 높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126달러에서 1,5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넷플릭스의 ‘24년 풀타임 직원 1인당 매출은 27.8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당사가 커버리지하는 9개 컨텐츠 대형주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 ▲ 애플(AAPL) ▲ 메타 플랫폼스(META) ▲ 알파벳(GOOGL) 등 선도 IT 기업들을 웃도는 노동생산성은 넷플릭스의 수익성 전망을 낙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XN) - 7월 22일에 ‘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 TD 코웬은 견고한 수요 전망을 근거로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주가 상승여력이 크다며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200달러에서 24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영위하는 시장은 공급과 수요의 연계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수요 회복에 따라 실적 성장이 가속될 수 있다. 특히 비용효율성이 우수한 300mm 제조 설비, 임베디드 포트폴리오 개편을 통해 산업용 반도체,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 가능성도 크다.

 

▲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씨티는 하반기에 걸쳐 실적 컨센서스 상향 조정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Positive Catalyst Watch 종목으로 선정했다.

 

■ 테슬라(TSLA) - 7월 23일에 ‘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 웰스파고는 전기차 세제혜택 폐지를 앞두고, 단기적으로 테슬라 차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비중축소와 목표주가를 120달러를 유지했다.

- 테슬라의 ‘25년 전체 인도대수 전망치를 기존 140만 대에서 148만 대로 상향 조정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Big Beautiful Bill을 통해 전기차 세제혜택 폐지가 결정되었고, 이에 따라 세제혜택이 완전히 폐지되기 전에 전기차 구매를 서두르는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이에 따라 2분기와 3분기, 특히 3분기에 테슬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당사는 3분기 인도대수가 40만 대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반면 “4분기 인도대수는 급감할 가능성이 높다.

- 테슬라는 이러한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인하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테슬라 이익률이 유의미하게 하락할 것임을 시사한다.

▲ 테슬라(TSLA): 골드만삭스는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이것이 테슬라에 상당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315달러에서 28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미국 완성차 제조업체 포드(F)

-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 데이터를 인용, 포드가 올해들어 89건의 리콜을 기록해 자동차 제조업체로서는 연간 기준 역대 최다 리콜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 포드는 오랜 기간 품질 문제에 시달려왔다. 지난해 7월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800만달러의 추가 보증 비용이 발생하면서 실적이 예상치를 하회했고 주가는 하루만에 18.4% 급락했다. 해당 분기 총 보증 비용은 약 20억달러로, 매출 대비 4% 수준에 달했다. 이는 업계 평균인 1.6%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 지난해 중반까지만 해도 14달러를 웃돌던 포드 주가는 여전히 그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 델타 에어라인스(DAL)

- 골드만삭스는 델타 에어라인스의 호실적 발표를 반영하여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67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델타 에어라인스는 2분기에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고, 3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높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관세 리스크로 인해 철회했던 ‘25년 전체 가이던스도 다시 발표했다

- 종합적으로, 델타 에어라인스는 투자자들의 실적 기대치가 낮아진 상황에서 기대치를 웃도는 성장 전망을 제시했다. 가을철에도 대서양 노선 수요가 강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특히 강조되었다.

■ 페이팔(PYPL)

- JP모간은 최근 데이터 집계 업체들에 고객 데이터 접근에 대해 수억원 규모의 사용료를 신규로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이들 업체들은 은행과 핀테크 기업들을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곳들이다.

- 해당 사용료는 정보활용 방식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특히 결제 중심의 핀테크 기업들일수록 더 높은 비용이 부과되며, 올해 말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 구체적인 금액과 적용방식까지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JP모간은 업계와 협의를 통해 조율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둔 것으로 전해졌다.

-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간이 이같은 결정을 하면서 지금까지 별도의 비용없이 은행 데이터를 활용해왔던 핀테크 업계 전반의 비즈니스 모델에 변화가 예상된다.

- 특히 앞으로 데이터 접근에 대한 비용이 현실화된다면 이들 핀테크 기업들의 수익성에도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인 118000달러를 돌파하면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현재 약 597000개의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며 평균 매입가는 약 7만달러다. 비트코인 상승에 따라 보유 자산 평가액이 약 7000억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비트코인을 일관되게 매입해온 전략이 현재까지는 유효한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로빈후드(HOOD)

- 플로리다 법무장관은 로빈후드의 암호화폐 거래 자회사인 로빈후드 크립토가 최저 수수료를 앞세운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기만했다며 주 소비자보호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개시했다.

- 비트코인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암호화폐 관련 종목 전반의 강세가 로빈후드 주가를 다시 끌어올렸다. 그러나 하락마감 했다.

 

■ 에너지 대기업 BP(BP)

- BP는 이번 2분기 중 원유 트레이딩 부문 실적이 강하게 나올 것으로 내다봤으며 미국 내 사업을 중심으로 업스트림 생산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태양광 에너지업체 선런(SRUN)

- 최근 급등락을 반복한 끝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고 있다.

- 최근 주가 급등락에 따른 피로감과 함께 실적이나 뚜렷한 재료 없이 움직였다는 점에서 단기 조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 업계에서는 단기 반등보다는 실적 개선 등 펀더멘털 변화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는 신중론이 나온다.

 

■ 의류 브랜드 리바이스트라우스(LEVI)

-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주가가 급등했다. 특히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었다. 기존에는 연간 매출이 1~2% 감소할 것으로 봤지만 이번 발표에서는 오히려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실적이 견조했고 전반적인 소비 회복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고관세 부담에도 브랜드 회복력과 수익성 개선이 부각되며 상승 마감했다.

 

■ 식품 유통업체 퍼포먼스푸드그룹(PFGC)

- 강한 실적 성장세와 함께 동종업체 US푸드홀딩(USFD)의 인수 관심 보도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회사는 2025회계연도 매출을 635억달러로 제시했으며 2028년까지 750억달러로 확대하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또한 회사는 2029년까지 5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도 밝혔다.

 

■ 크래프트하인즈(KHC)

- 크래프트하인즈가 주주가치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사업 일부 분리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허니웰, 컴캐스트 등 최근 대형 기업들이 잇따라 분할 전략을 추진한 점이 투자자 기대를 자극했다.

- 시장에서는 다각화된 사업구조를 가진 대형 소비재 기업들이 각 사업부의 가치가 시장에서 과소평가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 이에 따라 특정 부문을 독립시켜 상장하거나 매각할 경우, 전체 기업가치가 재평가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크래프트하인즈는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며 다음 분기 실적 발표는 8월 초로 예정돼 있다.

 

■ 스타벅스(SBUX)

- 스티펄은 중국 사업부 매각 가능성이 스타벅스에 호재가 될 수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92달러에서 10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스타벅스는 아직 미국에서 확실한 턴어라운드를 보이지 못하고 있지만, 중국 사업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 확보는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중국의 커피 시장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고, 제휴 전략은 스타벅스의 중국 내 입지 강화를 이끌 수 있다.

 

▲ 치폴레 멕시칸 그릴(CMG): 모간스탠리는 ‘25년 하반기에 걸쳐 펀더멘털 개선이 확인되며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기회가 있다고 전망했다.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RTX(RTX) - 7월 22일에 ‘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 번스타인은 트럼프 행정부 안보 정책에서 RTX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을 marketperform으로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는 136달러에서 154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RTX는 트럼프 행정부 안보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보인다. Big Beautiful Bill의 군수 산업 관련 조항들, NATO 회의에서 합의된 국방비 증액, ‘골든 돔’ 프로젝트 등은 모두 RTX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 RTX의 2분기 수주, DSCA 발표 등도 RTX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사일 및 미사일 방어 시스템 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수주잔고는 지난 12개월간 매출의 2.3배에 달하는 규모로 확대됐다.

 

■ 드론 관련주

- 피트 해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드론의 신속한 생산과 배치를 지시

- 드론 제조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AVAV), 고급 무인 항공기 및 방산 기술을 개발·제작하는 크라토스 디펜스 & 시큐리티 솔(KTOS), 드론용 부품을 공급하는 아스트로닉스(ATRO)

기타특징주

■ 영화관 체인업체 AMC엔터테인먼트홀딩스(AMC)

- 웨드부시는 AMC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며 “앞으로 몇 분기 동안 안정적인 신작 개봉 일정이 이어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 또한 AMC가 단기간 내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큰 대규모 유상증자를 마무리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캐나다 기업들

-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 3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카메코(CCJ) -1.4% 등을 기록하고 있다.

■ 밈주식

- 아에바테크놀로지스(AEVA)와 에이비스버짓그룹(CAR), 로빈후드(HOOD), 코인베이스(COIN) 등이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세에 힘입어 급등세를 연출하고 있다.

- JP모건에 따르면 올해 들어 개인들은 2700억달러 규모의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하반기에도 최대 5000억달러까지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카지노 및 스포츠베팅 업체 펜엔터테인먼트(PENN)

- 아이오와와 인디애나 주정부는 6월 주 전역의 게임 수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14%, 3.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펜엔터가 운영하는 카지노의 실적부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 올 들어 주가는 ESPN과 협업한 스포츠베팅 플랫폼 ‘ESPN Bet’이 뉴욕주에서 운영 허가를 받으며 반등했으나 이후 주요 주주인 헤지펀드 HG보라캐피털과의 경영권 분쟁 이슈 등으로 등락을 반복했다. 최근엔 HG보라가 추천한 이사 후보 2명이 이사회에 선임되며 변화 기대감이 일었지만 여전히 실적 불확실성이 투자자 우려를 키우고 있다.

■ 일루미나(ILMN) - 7월 31일에 ‘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 스코샤뱅크는 중국 수출 제한 등 매크로 리스크를 반영하여 일루미나 투자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을 outperform에서 sectorperform으로, 목표주가를 164달러에서 12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일루미나는 중국으로부터 수입 금지 조치가 내려지는 등, 특유의 매크로 불확실성 요인을 안고 있다. 당사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경계하여 일루미나 투자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 중국 리스크를 반영하여 일루미나 ‘26년 실적 전망치를 보수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미국 학술 부문과 정부에 대한 익스포저가 크다는 점도 성장 정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 S&P 500 리밸런싱 후보 - 분기 마지막 달 셋째 금요일에 진행

- S&P 500에 신규 편입되는 기업은 펀드들의 대량 매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실제로 신규 편입 발표 다음날 평균 6~9%의 초과수익을 기록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코인베이스가 편입 발표 이후 거래일에 24% 급등하면서 수혜를 누린 바 있다.

- 금융주 :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BKR)

- 산업 섹터 : 엠코 그룹(EME), 버티브 홀딩스(VRT), 퍼거슨 엔터프라이즈(FERG),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 : 트레이드 데스크(TTD), 레딧(RDDT), 핀터레스트(PINS),

- 소비재 섹터 : 카바나(CVNA), 플러터 엔터테인먼트(FLUT)

- 에너지 섹터 : 셰니어 에너지(CQP)

■ 버라이존(VZ)

- 모간스탠리는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의 성장 전략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25년 중 점유율 하락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며, 투자의견 시장비중과 목표주가 47달러를 제시했다.

- 버라이존은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고 보너스 감가상각 혜택에 따라 잉여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EBITDA 증가세는 제한적이고, 모바일 고객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 버라이존은 모바일 사업 개선을 위한 전략들을 전개하고 있고, 이것이 향후 수년간 점유율 하락 속도를 완화시킬 것이다. 하지만 ‘25년에는 점유율 하락이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 프런티어 커뮤니케이션스(FYBR)

- 모간스탠리는 투자의견 시장비중과 목표주가 38.50달러를 제시했다.

- 2030년까지 3,500만 개 장소에 광섬유망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 프런티어 커뮤니케이션스(FYBR) 인수와 관련된 광섬유망 투자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버라이존은 3,500만~4,000만 개 장소 가이던스의 상단을 목표로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다.

▲ 로블록스(RBLX): 씨티는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을 분석했을 때 주가 상승여력이 더 있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00달러에서 123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