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3분기 실적 단타 노려보자!! wemade

머니프리웨이
2024.10.07

■ 기업개요



최대주주는 2000년 2월 위메이드를 설립한 창립자이자이자 오너인 박관호 회장
▶ 연결대상 종속회사 - 상장(2) :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 플레이 / 비상장(39)
■ 사업 및 매출구조 (2분기 기준)
위메이드 및 주요종속회사는 PC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의 개발, 유통, 판매 사업,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활용 사업 및 블록체인 사업을 주된 사업


▶ '라이선스' 매출은 당사 게임 '미르의 전설' IP 및 '이카루스'IP 라이선스 계약에 의해 발생되는 매출
(미르의 전설2,3'의 해외매출 포함)
▶ '기타' 매출은 '라이선스', '모바일', 'PC 온라인', '블록체인' 주요 제품 매출을 제외한 임대 수익 등
■ 재무제표 및 실적 분석
◆ 재무제표


▶ 아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을 보면, 22년부터 전환사채 발행으로 인한 부채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향후 주식전환될 경우 부채비율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실적분석

▶ 24년 매출액은 증가가 예상이 되며,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전년동기 대비 급감할 것으로 보입니다.
▶ 25년 매출액은 사상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이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되며, 사상최대 실적 달성이 예상됩니다.

▶ 2분기 매출은 게임'나이트크로우' 글로벌과 국내 서비스에서 역성장하며 실적 예상치 하회
▶ 24년 3분기 실적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이 예상되며, 주당순이익(EPS)는 15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 1회차 전환사채 / 대상 - Microsoft Corporation
▶ 2회차 전환사채 / 대상 - 하나은행
▶ 3회차 전환사채 / 대상 - 키움증권
▶ 4회차 전환사채 / 대상 - 에스케이플래닛
=> 전환사채는 모두 주식 전환이 가능합니다.
■ 리포트 및 모멘텀

▶ 중국 대규모 경기 부양책
- 2015년부터 중국에서의 '미르의 전설' IP를 활용하여 현지 개발사 및 퍼블리셔와 협조하여 사업을 진행
- 액토즈소프트와 '미르의 전설2,3'에 대한 중국 라이선스 계약(계약금 연간 1,000억원, 계약기간 5년 총 5,000억원)을 체결
▶ 중국 판호 이슈
- 2023년 12월 '미르M'의 중국 판호를 발급받고 연내 중국 출시를 목표로 현지 서비스를 준비 중
펄어비스-엔씨-위메이드, MMORPG로 中 시장 공략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국내 게임사들이 자사의 대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를 가지고 하반기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펄어비스, 엔씨소프트, 위메이드는 현재 각사의 MMORPG의 중국 시장 출시를 위해 담금질을 진행 중이다. 먼저 펄어비스는 PC MMORPG '검은사막'의 중국 공개 테스트(OBT)를 오는 10월 24일 시작한다. 중국 이용자들은 오는 10월 14일 가문명 사전 생성을 시작으로 18일 사전 다운로드 및 캐릭터 사전 생성을 할 수 있다. 이에 앞서 펄어비스는 지난 19일 현지 퍼블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 '미르4'는 판호를 받기 전이나 '37게임즈'를 퍼블리셔로 확정
▶ 신규게임 이슈
- 미르IP 활용 모바일 신작 MMORPG '레전드 오브 이미르'가 개발 막바지 작업중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 2025년 초 출시 예상
- 신작 '미드나잇 워커스' 출시도 가시화 (PC·콘솔 좀비 익스트랙션 슈터 게임)
▶ 장현국 부회장 '위믹스 유통량 조작' 이슈
- 11월 12일 공판 기일
=> 불확실성 해소시 게임 및 블록체인 사업 가치가 주목될 듯..

■ 차트분석

▶ 23년 당기순이익이 -2005억으로 최악의 실적일 때 주가는 최저 주가는 30100원, 최대 주가는 77800원으로 24년 영억손실과 당기순손실에도 적자폭은 축소되나 주가는 23년 저점 부근에서 반등!

▶ 올해 게임 출시가 내년으로 딜레이가 될 것으로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매수가 진행된다는 점과 3분기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된다는 기대감으로 목표가는 올해 최대 45000원까지는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 단 매수타이밍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분할 매수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39200원 돌파 / 36500원 전후 이며, 손절가는 최근의 저점인 32000원으로 잡고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집니다.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