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4/12/03 미국 특징주 - M7, 반도체 상승 / 자동차, 암호화폐 하락

머니프리웨이

2024.12.03

[특징주]

◇ M7

 

◇ 전기차 및 완성차

▶ 테슬라(TSLA)

- 스티펠, 전기차 외에 AI모멘텀에 주목해야한다는 분석.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287달러에서 411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로스MKM은 테슬라(TSLA)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85달러에서 380달러로 대폭 높였다.

- 2025년 예상 매출 기준으로 10.5배의 매출 배수를 반영하며, 향후 약 10% 이상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스텔란티스(STLA)

- 갑작스러운 CEO 사임소식에 개장 전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 샤오펑(XPEV)의 11월 인도량은 전년대비 54% 늘어난 3만895대를 기록하며 최초로 3만대를 돌파했다. 4분기에는 이보다 많은 약 3만4000대를 인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 니오(NIO) : 11월 전년대비 29% 증가한 2만575대를 인도했다고 밝혔다. 3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한 최근 지침에 따르면 니오는 12월 3만2000대를 인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대비 약 77% 증가한 수치다.

- 리오토(LI)는 11월 전년대비 19% 증가한 4만8740대를 인도했다. 12월에는 전년대비 29% 증가한 약 6만5000대를 인도할 전망이다.

 

◇ 반도체 및 기술주

■ 글로벌 종합 반도체 기업 인텔(INTC)

- 팻 겔싱어 CEO가 공식 사임했다고 발표했다. 개장 전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

■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 제공 기업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 회계 문제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으며 경영진의 사기나 부정 행위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 암호화폐

■ e비즈니스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 약 15억달러에 1만5400개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했다고 발표한 후 2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모바일 결제 플랫폼 캐시앱·스퀘어 등을 운영하는 블록(SQ)

- 번스타인은 2일블록(SQ)을 2025년 최선호주로 꼽았다.

- 블록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로 제시하고 목표가를 90달러에서 120달러로 높였다.

- 블록의 자회사인 캐시앱과 에프터페이가 최근 규제 당국의 조사를 받았지만 내년에는 규제 완화로 인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항공 및 크루즈

■ 크루즈株, 트루이스트 부정적 요소 찾을 수 없어

- 르웨이지안 크루즈에 대한 목표가를 25달러에서 35달러로, 카니발은 20달러에서 29달러로,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RCL)는 204달러에서 272달러로, 바이킹 홀딩스(VIK)는 38달러에서 49달러로 각각 조정했다.

 

◇ 중국ADR

 

◇ 원전 및 에너지

 

◇ 거래량 상위 상승 종목

▶ 갭(GAP)

- JP모건은 갭(GAP)이 몇 달 내로 추가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30달러로 높였다.

 

◇ 거래량 상위 하락 종목

▶ 업스타트홀딩스(UPST)

- JP모건은 업스타트홀딩스(UPST)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축소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목표주가는 45달러에서 57달러로 높였다.

기타 뉴스

■ 추수감사절 박스오피스 흥행…디즈니 ↑·컴캐스트 ↓

- 디즈니 애니메이션 모아나2는 개봉 당시 예상치보다 이미 두 배 넘는 흥행 수익을 기록 중이며, 위키드도 미국내 박스오피스에서 역대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품 중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디즈니(DIS), 위키드 제작사인 유니버셜픽처스 모기업인 컴캐스트(CMCSA)

■ 릿지워터는 엔비디아(NVDA)의 주식 보유량을 축소, 슈파마이크로컴퓨터(SMCI), 팔란티어테크놀로지스(PLTR), AMD(AMD) 주식은 추가로 매수

- 브릿지워터는 엔비디아 주식 180만주를 매도해 지난 3분기 말 기준으로 총 480만주의 엔비디아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브릿지워터는 지난 3분기동안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주식 145만3270주를 추가로 매수해 총 161만1040주를 보유하게 됐다.

- 팔란티어 역시 지난 3분기에 43만7268주를 추가로 매입해 총 52만3548주를 보유하게 됐다.

■ 온라인 데이팅 플랫폼 기업 범블(BMBL)

- 아누 수브라마니안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내년 사임하면서 경영진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항암제 개발 기업 퍼플 바이오테크(PPBT)

- 췌장암 치료제에 대한 2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후 2일 주가가 급등했다.

▶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선도 기업 넷플릭스(NFLX)

- 에버코어ISI는 넷플릭스(NFLX)에 대해 강력한 콘텐츠와 구독 성장 가능성을 근거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며 목표가를 기존 775달러에서 950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실시간 콘텐츠가 고객 유지율을 높일 핵심 요인이라며 크리스마스 NFL 경기, 오징어 게임 시즌2, WWE Raw와 예정된 구독료 인상을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 장난감 및 게임 제조사 해즈브로(HAS)

- 지난주 일론 머스크의 인수 가능성 언급과 블랙프라이데이 판매 결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속에서 주가 변동을 보였다.

- 일론 머스크가 던전앤드래곤(D&D)의 판권 확보를 위해 해즈브로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투자자들의 기대를 높인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의료 기술 선도 기업 스트라이커(SYK)

- 모건스탠리는 스트라이커(SYK)의 제품 주기와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했으며, 목표가는 기존 370달러에서 445달러로 올렸다.

■ 재생에너지 인프라 운영사 넥스트에라에너지파트너스(NEP)

- 모건스탠리는 넥스트에라에너지파트너스(NEP)의 견조한 재생에너지 산업 성장 가능성을 근거로 해당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축소’에서 ‘비중확대(매수)’로 두단계 상향조정했다.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개정안의 세부 내용이 확정되기 전까지 관련 산업의 투자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넥스트에라에너지파트너스가 재생에너지 인프라의 핵심 기업으로서 안정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 퍼스트솔라(FSLR)

- 파이퍼샌들러는 퍼스트솔라(FSLR)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10달러에서 250달러로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 지난달 29일 미국 상무부(DoC)는 특정 국가들로부터 수입하는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해 반덤핑 예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 글로벌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 기업 클라우드플레어(NET)

- 모건스탠리는 클라우드플레어(NET)에 대해 인공지능(AI) 제품 주기와 매출 성장 가능성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가는 기존 92달러에서 130달러로 올렸다.

- 클라우드플레어의 다수의 제품 주기와 에지AI(Edge AI) 기여 확대, 강화된 기업 영업 조직이 향후 매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사는 최근 12개월 동안 30%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다나(DAN)

- 바클레이스는 다나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유지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가를 12달러에서 18달러로 높였다.

- 오프 하이웨이(중장비) 사업 매각 계획에 따른 주가 상승 잠재력을 투자의견 상향의 이유로 제시했다. 이는 운영을 간소화하고 상용 차량 시장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시장에서는 매각이 완료되면 다나의 재무 상태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토스트(TOST)

- 골드만삭스는 토스트(TOST)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34달러에서 45달러로 높였다.

■ 3D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기업 오토데스크(ADSK)

- JP모건은 오토데스크(ADSK)가 고객 중심의 새로운 거래 모델인 ‘플렉스’를 도입해 소프트웨어 사용 방식에 변화를 주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목표가를 기존 245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바이오 제약 기업 키메라 테라퓨틱스(KYMR)

- 웰스파고는 키메라 테라퓨틱스(KYMR)의 새로운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제 KT-621의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기존 46달러에서 57달러로 상향했다.

■ 철강 산업, 트럼프 무역 정책 수혜 기대

- 골드만삭스 - 뉴코(NUE), 커머셜메탈스(CMC), 클리블랜드-클리프스(CLF)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

■ 미국 철강기업 클리브랜드클리프스(CLF)

- 골드만삭스는 클리브랜드클리프스(CLF)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새롭게 제시하며 목표주가를 16달러로 설정했다.

- 글로벌 공급 과잉과 철강 가격 약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철강 업계는 경기 및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수익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시간 외 거래]

■ 에너지 기업 바이퍼에너지(VNOM)

- 골드만삭스는 바이퍼에너지(VNOM)의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신규 제시하고 12개월 목표가를 70달러로 설정했다.

- 바이퍼에너지의 비즈니스 모델이 기존 탐사·생산 방식보다 효율적인 배당 전환율을 제공하며, 유기적·비유기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최상급 모회사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 바이퍼에너지는 생산 시설을 직접 운영하지 않고 석유 및 가스 채굴 권리에 주력하는 사업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 클라우드 기반 사이버보안 플랫폼 기업 지스케일러(ZS)

- 2025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했으나 가이던스가 일부 부진해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하락했다.

- 지스케일러는 1분기 EPS은 0.77달러로 시장 예상치 0.63달러를 22% 상회했다. 매출은 6억2800만달러로 예상치 6억543만달러를 웃돌았으며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 지스케일러는 2분기 매출 전망치를 6억3300만달러~6억3500만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는 시장 기대치인 6억3380만달러를 소폭 웃돌았다. 그러나 EPS 가이던스는 0.68달러0.69달러로 예상치 0.70달러를 밑돌았다. 연간 가이던스는 매출 26억2000만달러~26억4000만달어 주당순이익 2.94달러2.99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 Honeywell (NASDAQ:HON)

- Bombardier와의 계약 영향으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후 3% 하락했습니다. 이 상업적 계약이 단기적으로 Honeywell의 재무에 영향을 미치지만, 회사는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주주들에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 Microchip Technology (NASDAQ:MCHP)

- 턴스 주문이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히며 3.3% 하락했습니다. 회사는 2024년 12월 매출이 당초 가이던스의 하한선인 10억 2,500만 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TransMedics Group (NASDAQ:TMDX)

- Gerardo Hernandez 씨를 새로운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임명했다고 발표한 후 9% 하락했습니다. TransMedics는 이제 2024년 연간 매출이 4억 2,800만 달러에서 4억 3,200만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추정치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 Credo Technology Group Holding (NASDAQ:CRDO)

- 견고한 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예상보다 강한 가이던스를 제시한 후 30% 상승했습니다.

■ Janux Therapeutics (JANX)

- JANX007 임상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최신 중간 임상 데이터를 발표한 후 30% 상승했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