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4/12/04 미국 특징주 - M7 상승 / 원전, 한국ADR 하락
머니프리웨이
2024.12.04
[특징주]
◇ M7
■ 애플(AAPL)
-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보고서를 통해 앱스토어에서 회계기준 2025년 1분기 매출은 56억 달러로 늘었으며 같은기간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합산한 총 다운로드 수는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7.4% 증가한 61억 달러를 기록했다
■ 마이크로소프트(MSFT)
-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경쟁기업인 아마존(AMZN)과 알파벳(GOOGL), 알리바바의 고객사에게 부당하게 과다청구한 혐의로 영국에서 기소되었다.
■ 엔비디아
- 엔비디아는 한국의 계엄령 선포 소식으로 2% 이상 급락했었다.
- 엔비디아가 한국의 SK하이닉스에서 위탁생산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정치적 리스크가 고조될 경우,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 것. 그러나 한국 국회가 계엄령을 무력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저가 매수가 유입되며 1% 이상 상승 마감했다.
◇ 전기차 및 완성차
테슬라는 1.59% 하락한 351.42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머스크의 임금안이 기각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고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루시드는 0.47% 하락한 2.12달러를, 니콜라는 9.24% 폭락한 1.6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에 비해 리비안은 소폭이나마 상승, 마감에 성공했다. 리비안은 0.08% 상승한 11.8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반도체 및 기술주
■ 미국의 반도체 제조업체 인텔(INTC)
- CEO 팻 겔싱어 퇴진 소식과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우려로 하락했다. 경영난에도 겔싱어 CEO의 퇴직금이 터무니없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경제 포털 '야후 파이낸스'는 분석했다.
다른 반도체주는 대부분 상승했다. 브로드컴은 0.96%, 마이크론은 1.31%, 대만의 TSMC는 2.31% 각각 상승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지수가 0.38% 하락하는 데 그쳤다.
◇ 암호화폐
■ e비즈니스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 약 15억달러에 1만5400개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했다고 발표한 후 2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비트코인 채굴 및 에너지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클린스파크(CLSK)
- 2024 회계연도 매출이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예상보다 큰 손실을 기록
- 클린스파크의 연간 주당순이익(EPS)은 -0.69달러로 예상치 -0.49달러를 하회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125% 증가한 3억789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예상치 3억9490만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 중국 ADR
◇ 에너지
◇ 거래량 상위 상승 종목
■ 데이터센터용 하드웨어 공급업체 크레도 테크놀로지 그룹(CRDO)
- 인공지능(AI) 기술 성장이 데이터센터 투자 붐으로 이어지면서 2분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한 후 3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7센트로 예상치 5센트를 넘어섰다. 매출은 전년대비 64% 급증한 7200만달러로 예상치 6680만달러를 웃돌았다.
- 크레도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억1500만~1억25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1억46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다.
- 미즈호는 크레도에 대해 AI 주도 성장의 수혜자라며 목표가를 49달러에서 70달러로 높이고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을 유지했다.
■ 수자원 인프라 유통업체 코어&메인(CNM)
- 예상보다 나은 3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3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코어&메인의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69센트로 예상치 65센트를 넘어섰다. 매출은 12% 증가한 20억4000만달러로 예상치 19억9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코어&메인은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73억~74억달러에서 73억5000만~74억달러 범위로 상향 조정했다.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 가이던스는 9억~9억3000만달러에서 9억1500만~9억3500만달러 범위로 높였다. 월가에서는 매출 73억4000만달러, 조정 EBITDA 9억1820만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 인공지능(AI) 대출 플랫폼 기업 업스타트홀딩스(UPST)
- 레드번애틀랜틱은 업스타트홀딩스(UPST) 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며 목표가를 기존 37달러에서 95달러로 대폭 상향했다.
- 업스타트가 최근 2분기 연속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으며 긍정적인 향후 가이던스를 발표한 점을 평가해 투자의견을 상향했다고 밝혔다.
- 회사는 자동차 대출과 주택 자산 신용대출(HELOC) 부문에서 각각 46%와 두배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며 빠른 성과를 보였다. 또한 블루아울과 최대 20억달러 규모의 대출 구매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하며 성장 가능성을 강화했다.
■ 미국 유무선 통신 서비스 기업 AT&T(T)
- 투자자의 날을 앞두고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고 향후 3년간 400억달러 규모의 배당금 지급 및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히면서 3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미국 바이오 제약기업 제넉스테라퓨틱스(JANX)
- 새로운 전립선암 치료제에 대한 임상 1상 성공 소식을 발표하며 주가가 급등했다.
- 제넉스는 진행성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 JANX007의 임상 1상에서 참가 환자 16명 모두에서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가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 거래량 상위 하락 종목
■ 미국 최대 종합 철강회사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스틸(X)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닛폰제철로의 매각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히면서 3일(현지시간) 주가가 하락했다.
■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 보안 플랫폼 공급업체 지스케일러(ZS)
- 회계연도 1분기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기대보다 약한 가이던스와 장기간 재임해온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은퇴 소식에 3일(현지시간) 주가가 하락했다.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 한국 이커머스 기업 쿠팡(CPNG) -3.74%, 웹툰엔터테인먼트(WBTN) -1.03%, KT(KT), 포스코(PKX), 포스코홀딩스(-4.32%), KB금융(-1.67%), SK텔레콤(-1.63%), KT(-0.39%), LG디스플레이(-1.33%), 한국전력(-2.1%), 우리금융지주(-1.48%)
[기타 뉴스]
■ 페덱스(FDX)
- 번스타인, 투자의견을 시장 평균수익률에서 시장 수익률 하회로 내려잡았다. 또 목표주가도 337달러에서 316달러로 하향조정했다.
■ 대표적인 소매업체인 달러트리(DLTR)와 달러제너럴(DG)
- 금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완화 수혜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저가 제품들을 판매하는 이들 업체들의 경우 수년간 지속된 고물가시대에 저소득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
■ 체인 크로거(KR)
- 제프리스는 3일(현지시간) 미국의 대형 슈퍼마켓(식료품 및 의약품 중심) 체인 크로거(KR)에 대해 경쟁사 앨버트슨(ACI) 인수가 무산되더라도 여전히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제프리스는 크로거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가는 54달러에서 73달러로 높였다.
■ 다국적 산업재 복합 기업 허니웰(HON)
- 봄바디어와 항공기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허니웰은 이 계약의 가치가 약 170억달러라고 밝혔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전망보다는 이 계약이 연간 실적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하면서 허니웰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허니웰은 2024 회계연도 매출 가이던스를 4억달러 하향 조정하고 주당순이익 가이던스는 47센트 낮췄다.
■ 미국의 대형 약국 체인 및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인 CVS헬스(CVS)
- 도이치뱅크는 CVS헬스(CVS)의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해당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가를 66달러로 유지했다.
■ 미국의 소비자 금융 전문 기업 싱크로니파이낸셜(SYF)
- 웰스파고는 싱크로니파이낸셜(SYF)에 대해 디지털 소비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시장 지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해당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 미국의 할인 소매업체 올리스바겐아웃렛홀딩스(OLLI)
- 웰스파고는 올리스바겐아웃렛홀딩스(OLLI) 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하며 목표가를 100달러에서 95달러로 낮췄다.
■ 미국의 경찰 장비 및 기술 전문기업인 액손엔터프라이즈(AXON)
- 모건스탠리는 액손엔터프라이즈(AXON)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가는 700달러로 설정했다.
■ 제약 업체 텔로미르 파마슈티컬스(TELO)
- 텔로미르는 이번 연구 결과 공복 혈장 포도당 수치가 기저 수치로 감소하고 경구 포도당 항상성이 개선됐으며 인슐린 저항성이 당뇨 전 수준에 가깝게 회복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텔로미르는 이러한 효과와 함께 치료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도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퍼클릭스퀘어를 소유한 PSQ 홀딩스(PSQH)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이사회에 합류한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후 3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 신선식품 및 음료 포장 전문업체 팩티브 에버그린(PTVE)
- 자산관리업체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 소유 포장 업체가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에 주가가 상승했다
[시간 외 거래]
■ 마벨 테크놀로지 (NASDAQ:MRVL)
- 3분기 실적과 가이던스가 강세를 보이면서 9% 상승했습니다. 2025 회계연도 3분기 순매출은 15억 1,600만 달러로, 2024년 8월 29일 제시한 회사 가이던스의 중간값보다 6,600만 달러 높았습니다.
■ 세일즈포스 (NYSE:CRM)
- 3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했고 경영진이 AI 이니셔티브에 대해 긍정적인 톤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EPS가 소폭 하회하고 혼조된 가이던스를 제시한 후 7% 상승했습니다.
■ 옥타 (NASDAQ:OKTA)는
- 3분기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21% 급등했습니다. 2025 회계연도 4분기에 대해 회사는 총 매출이 6억 6,700만 달러에서 6억 6,900만 달러 사이일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전년 대비 10%에서 11% 성장률을 나타냅니다.
■ Intuitive Machines (LUNR)
- 6,500만 달러 규모의 Class A 보통주 공모를 시작한 후 6% 하락했습니다.
■ Pure Storage, Inc. (NYSE:PSTG)
- 3분기 실적이 전반적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하면서 22% 상승했습니다.
■ 유나이티드헬스그룹 (NYSE:UNH)
- 투자자 컨퍼런스를 앞두고 2025년 가이던스를 발표한 후 1% 하락했습니다. 유나이티드헬스는 2025년 매출을 4,500억 달러에서 4,550억 달러로 예상하며, 주당 순이익은 28.15달러에서 28.65달러, 조정 후 주당 순이익은 29.50달러에서 30.00달러로 전망했습니다.
■ Box (BOX)
- 3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지만 가이던스가 부진하면서 2% 하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