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1/14 미국주식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1.14

[특징주]

■ 엔비디아(NVDA)

- TD코웬은 엔비디아가 올해에도 AI순풍을 이어갈 것이라며 탑픽으로 선정했다.

- 엔비디아가 올해 3월 예정인 GTC컨퍼런스에서 블랙웰 울트라 AI에 대한 라인업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바이든 행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과 관련된 새로운 수출 통제를 발표하면서 엔비디아(NVDA) 주가가 13일(현지시간)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한 반발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에게 해당 정책을 거부해 줄 것을 요청했다.

■ 애플(AAPL)

- 영국에서 애플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자사 앱스토어를 강제로 사용하도록 하면서 시장을 독점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해당 반독점 관련 소송은 15억파운드(약 18억2000만 달러) 규모로 2000명에 달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사용자들을 대리한 집단소송 형태로 이날 시작되는 것이다.

- 애플은 중국에서 여전히 아이폰에 대한 시장 점유율 하락이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지난 5거래일동안 주가도 5% 넘게 뻐진 상태다.

■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AMZN)

- HSBC 플랫폼 및 인터넷 서비스 담당 애널리스트는 아마존에 대해 강력한 실적과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감이 아마존 주가를 상승세로 전환시킬 것이며,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월가에서는 아마존이 주당순이익(EPS) 1.48달러, 매출 1873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가를 225달러에서 27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글로벌 전기차 및 AI 기술 선도 기업 테슬라(TSLA)

- 모건스탠리는 자율주행 기술과 인공지능(AI)의 긍정적 영향을 이유로 목표가를 기존 400달러에서 430달러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 테슬라의 데이터 수집 능력, 로봇 공학, 에너지 저장, 제조 및 지원 인프라에서의 경쟁력을 강조하며, 일론 머스크의 다른 기업들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업 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모건스탠리의 로보택시 모델 재설계로 테슬라의 독보적인 기술력이 기업 가치에 더 명확히 반영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우려로 인한 기술주 약세로 다른 전기차는 일제히 하락했다.

리비안은 2.60% 하락한 13.49달러를, 루시드는 0.33% 하락한 3.01달러를, 니콜라는 3.39% 급락한 1.14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 글로벌 스트리밍 선도 기업 넷플릭스(NFLX)

- 구겐하임은 글로벌 스트리밍 선도 기업 넷플릭스(NFLX)의 2025년 핵심 성장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가를 기존 825달러에서 950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넷플릭스의 스트리밍 시장 내 지배적 위치와 글로벌 회원 수 증가와 구독료 조정 가능성, 그리고 광고 수익 확대 등을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특히 라이브 이벤트 및 인기 프랜차이즈 콘텐츠의 높은 이용률이 회원 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 암호화폐

- 주 초반부터 9만 달러 지지 테스트에 들어갔다.

-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는 개장 전 거래에서 4% 넘게 빠지고 있으며 코인베이스(COIN)역시 3.9% 넘게 밀리며 출발을 준비 중이다.

 

 

 

■ 대형 은행주

- 15일 JP모건(JPM)과 골드만삭스(GS), 시티그룹(C) 등이 분기 실적 발표 예정

- 16일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BAC)와 모건스탠리(MS)

 

 

 

 

■ 존슨앤드존슨(JNJ)

- 우울증 치료제 등 정신과 및 신경계 질환을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인 인트라 셀룰라 테라퓨틱스를 주당 132달러에 전액 현금으로 인수하기로 했다. 총 금액은 146억 달러에 달한다.

■ 모더나(MRNA)

-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 컨센서스인 29억2000만달러를 크게 하회하는 수준으로 실망스러운 매출 가이던스를 제시하고 올해 30억달러 이상의 현금을 소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 모더나는 2025 회계연도 연간 매출 전망치를 15억달러~25억달러로 예상했다.

- 백신 회의론자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차기 트럼프 행정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내정된 것도 모더나 등 백신 개발사에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양자컴퓨팅

- 마크 저커버그 메타(META) CEO가 양자컴퓨팅이 실용적인 패러다임이 되기까지는 아직 멀었다고 언급

- D-웨이브퀀텀(QBTS)의 주가는 29.2% 하락한 4.09달러를 기록했다. 리게티컴퓨팅(RGTI) 주가는 22.82% 하락한 6.89달러에, 아이온큐(IONQ)는 10.4% 하락한 28.9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글로벌 바이오텍 기업 브릿지바이오파머(BBIO)

- 자사의 심근병증 치료제 아코라미디스의 상용화와 3상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충분한 자금을 확보했다고 발표

- 회사는 지난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이후 아코라미디스가 248명의 의사를 통해 430명의 환자에게 처방되었다고 밝혔다.

- 2024년 상반기 유럽과 일본에서 아코라미디스 승인을 통해 1억 5백만 달러의 규제 마일스톤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 의류 소매업체 애버크롬비 & 피치(ANF)

- 애버크롬비는 1월로 끝나는 4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7~8%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회사측이 제시한 가이던스 5~7% 증가를 넘어서는 수치이며 월가 예상치 7% 증가와도 부합한다. 연간 매출 증가 가이던스를 기존 14~15%에서 15%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월가에서는 15%를 예상하고 있다.

- 프랜 호로위치 애버크롬비 CEO는 지난해 12월까지 기존에 제시된 가이던스를 초과 달성해 역대 최고 분기 순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으나, 애버크롬비는 4분기 영업 이익률은 16%, 연간 영업 이익률은 15%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해 투자자들의 반응은 다소 냉랭했다.

■ 전기 및 가스 공급업체 에디슨 인터내셔널(EIX)

-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허스트 및 이튼 산불 발생 원인으로 자회사인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SCE)의 장비가 관련됐을 가능성이 제기

■ 미국의 대표적 백화점 기업인 메이시스(M)

-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 사이 3개월간의 순매출액이 이전 제시한 전망치 78억달러~80억 달러를 소폭 밑돌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 47억 달러보다는 두 배 가깝게 늘어난 수준이다.

- 월가는 해당 기간 매출액이 78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같은기간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는 1.57달러로 직전분기 0.04달러에서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다.

 

[기타 뉴스]

■ 룰루레몬(LULU)

- 4분기 이익 및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한다.

- 룰루레몬은 4분기 순매출 전망치를 기존 34억7500만달러~35억1000만달러에서 35억6000만달러~35억8000만달러로 상향 조정했다고 전했다. 또한 4분기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는 기존 5.56달러~5.64달러에서 5.81달러~5.85달러로 높였다.

■ 3M(MMM)

- 도이체방크는 3M(MMM)의 오는 2월 26일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다년간의 운영 마진 개선을 위한 매력적인 계획과 상향된 유기적 성장 전망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상황이 개선되고 있으며 지금이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시점이라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56달러로 제시했다.

■ WD-40(WDFC)

- WD-40의 지난 회계 1분기 순매출은 전년 대비 9% 성장한 1억5350만달러를 기록해 월가 컨센서스인 1억4740만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총이익은 54.8%를 기록했다. 또한 월가 예상치인 1.31달러를 상회했다.

- 같은 기간 순이익은 1890만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했으며, 희석 주당순이익(EPS)은 1.39달러로 이 역시 9% 성장했다.

- WD-40는 지난 분기에 주당 0.94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며, 자사주 1만3750주를 약 360만달러에 매입했다

■ 로봇청소기 제조업체 아이로봇(IRBT)

- 아이로봇은 4분기 매출을 1억7100만달러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3억750만달러와 비교해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며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1억8780만달러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 아이로봇은 또 4분기 영업 손실이 5900만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조정 손실은 4700만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 츄이(CHWY)

- 에버코어ISI는 미국 반려동물 산업이 정상화됨에 따라 츄이(CHWY)가 향후 몇 년 동안 매출 성장, 활성 사용자 증가, 마진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능력이 있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34달러에서 47달러로 높였다.

■ 캐피털원파이낸셜(COF)

- UBS는 캐피털원파이낸셜(COF)의 디스커버파이낸셜서비스(DFS) 인수가 향후 몇 달 동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235달러로 높였다.

■ 미국의 철강생산기업 클리블랜드-클리프스(CLF)

- 클리블랜드-클리프스가 라이벌 기업 뉴코(NUE)와 파트너십을 통해 최근 피인수가 막힌 US스틸에 대해 인수를 시도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 세계적인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CAT)

- 에버코어ISI는 캐터필러에 대해 딜러의 수요가 우려했던 것보다는 나았다며, 투자의견을 매도에서 보유로 상향하고 목표가를 365달러로 유지했다.

- 시티는 기계 제조업체들의 단기 펀더멘털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캐터필러는 주가 하락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다만 목표가는 기존 460달러에서 420달러로 낮췄다.

■ 럭셔리 가구 업체 RH(RH)

- 모건스탠리는 업체 RH(RH)가 올해 강력한 한 해를 보낼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동일비중에서 비중확대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530달러로 높였다.

■ 미국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T-모바일 US(TMUS)

- 광고 역량 강화를 위해 약 6억달러에 옥외광고 플랫폼 제작사 비스타미디어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 스마트 스피커 제조업체 소노스(SONO)

- 트릭 스펜스 CEO가 8년간의 리더십을 마무리하며 자리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 소노스는 지난해 5월 앱의 대대적인 개편 이후 문제에 노출됐다. 해당 업데이트로 인해 많은 고객이 스피커를 연결하거나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소노스는 이후 8월 재무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앱 문제 해결을 위해 신제품 출시를 연기했다.

- 이후 같은 달 직원의 6%를 해고하고 부동산 자산 축소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11월 발표된 4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유닛 판매가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 온라인 패션 브랜드 운영업체 AKA브랜즈 홀딩스(AKA)

- 회사는 4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6.8% 증가한 1억5900만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억540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다. 매출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미국 시장 매출이 22% 급증한 점을 꼽았다.

- 회사는 임시 CEO로 재직 중이던 최고재무책임자(CFO) 키어런 롱이 정식 CEO로 임명되었으며 재무팀의 케빈 그랜트가 신임 CFO로 임명되었다고 발표했다.

■ 미국의 의류 및 신발 유통업체 주미에즈(ZUMZ)

- 4분기 매출이 2억7500만~2억7700만달러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가이던스인 2억8400만~2억8800만달러와 분석가 예상치인 2억8550만달러를 밑도는 수치다. 또한 EPS는 기존 전망치인 0.83~0.93달러에서 0.72~0.77달러로 하향조정됐다.

■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운영업체 엘프뷰티(ELF)

- 모건스탠리는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확대, 국제시장 성장, 내추리움 사업 확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평가했으며, 최근 주가 조정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확인하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조정했다. 목표가는 기존 139달러에서 153달러로 올렸다.

- 지난 11일 트루이스트증권도 엘프 뷰티에 대해 매수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 150달러를 제시한 상태다.

■ 온라인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는 리걸줌(LZ)

- JP모건은 리걸줌(LZ)의 사업체 걸립 데이터 개선과 경영진의 가이던스 예상치 발표 기대감으로 2025 회계연도 실적이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비중축소에서 비중확대로 두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8달러에서 9달러로 높였다.

■ 핀터레스트(PINS)

- 제프리스는 핀터레스트(PINS)의 새로운 광고 제품 도입 속도가 느리며, 지난 2년간의 인프라 비용 최적화로 마진 확장이 둔화하고 있고, 광고주의 실험적인 브랜드 캠페인에서 지속적인 성과로 전환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며, 성장 및 수익성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40달러에서 32달러로 낮췄다.

■ 불임, 난임 등 출산 관련 보험 서비스 제공업체 프로지니(PGNY)

- 프로지니는 지난 12월 31일 종료된 3분기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11월에 제시한 가이던스를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 프로지니는 4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2억6620만~2억812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제시된 가이던스의 상단인 2억8120만달러는 전년대비 4%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610만~950만달러, 조정 EBITDA는 3780만~4280만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 글로벌 외식업체 염브랜즈(YUM)

- 켄터키프라이드치킨(KFC)의 신임 CEO로 스콧 메즈빈스키를 임명한다고 발표

■ 미국의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 체인 쉐이크쉑(SHAK)

- 2025년 동일매장 매출 성장률이 3%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의 4.3%에서 둔화된 수치라고 밝혔다. 연간 매출은 14억5000만~14억8000만달러로 전망되며 전년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은 16~18%로 예상된다.

- 2024년 4분기 잠정 매출은 3억287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연간 잠정 매출은 13억달러로 분석가들의 전망치를 웃돌았다.

 

[시간외 특징주]

■ 미국 주택건설업체 KB홈(KBH)

- KB홈은 4분기 주당순이익(EPS) 2.52달러, 매출 2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EPS 2.47달러와 매출 19억9000만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전년동기 대비 EPS는 19% 증가했고 매출은 17%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 정규장에서 전거래일 대비 1.41% 상승한 64.08달러로 거래를 마친 KB홈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8.05% 급등한 69.24달러를 기록했다.

■ 반도체 테스트 장비 제조업체 에흐르테스트시스템즈(AEHR)

- 에흐르테스트시스템즈는 2분기 매출이 1350만달러로 전년동기의 2140만달러 대비 36.9% 감소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1500만달러를 하회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02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0.03달러를 하회했다.

- 정규장에서 전거래일 대비 2.44% 하락한 15.99달러에 거래를 마친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추가로 12.45% 하락한 14달러를 기록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