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10/29 [미국] 뉴스 및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10.30
[마감시황]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9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연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면서,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던 주요 지수들은 상승 폭을 반납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둔화되자 미 국채 금리는 급등했고, 10년물은 4%를 넘어섰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4.37포인트(0.16%) 하락한 4만7632.2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0.3포인트(0.1% 미만) 내린 6890.59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만 130.98포인트(0.55%) 뛴 2만3958.473에 마감해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3대 지수는 장 초반 일제히 상승하며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지만, 오후 Fed의 기준금리 결정 직후 파월 의장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이 나오자 상승폭을 반납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결국 하락 전환했다.
Fed는 이날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를 연 3.75~4.0%로 0.25%포인트 내리며 2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또 2022년 6월 개시한 양적긴축(QT)을 오는 12월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시장 심리가 위축된 것은 그 직후 열린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서였다.
그는 "12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여겨서는 안 된다. 사실 그(12월 인하)와는 거리가 멀다"며 12월 추가 인하 전망에 선을 그었다. 이어 "12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두고 정책 입안자 간 강력한 견해 차이가 있다"며 "최소한 한 사이클(회의)을 기다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파월 의장의 발언 직후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내 추가 인하 기대는 빠르게 사라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오는 12월 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해 연 3.5~3.75%로 조정할 가능성은 전날 90.5%에서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 후 50%대로 떨어졌다가, 오후 4시21분 현재 0%대로 하락했다.
통화완화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미 국채 금리는 급등하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9bp(1bp=0.01%포인트) 뛴 4.08%,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보다 10bp 치솟은 3.6%선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美 Fed, 기준금리 0.25%P 추가 인하했지만 '반대표 2명'…12월 양적긴축 종료

[특징주]
■ 엔비디아(NVDA)
- 워싱턴 GTC 행사에서 미국 제조업체들의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AI 플랫폼 확장 계획을 발표했다.
- 엔비디아는 옴니버스 블루프린트의 새 도구를 공개해 토요타(TM)·TSMC(TSM)·폭스콘(HNHPF) 등이 실제 공장을 짓기 전 디지털 트윈 설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 에너지·컴퓨팅·냉각을 통합 관리하는 AI 공장 모델 ‘옴니버스 DSX’를 공개했으며, 첫 시설은 버지니아 디지털 리얼티 데이터센터에 들어설 예정이다.
- 엔비디아는 미 에너지부와 협력해 국립연구소에 블랙웰 GPU 10만 개를 설치 중이며, 마이크로소프트·구글·오라클·아마존 등 주요 기업들도 엔비디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닷컴(AMZN)
- 인디애나주 뉴칼라일에 110억 달러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단지 ‘프로젝트 레이니어(Project Rainier)’를 개소했다.
- 이번 시설은 아마존의 AI 인프라 투자 중 최대 규모로, 1,200에이커 부지에 트레이니엄2(Trainium2) 칩 약 50만 개가 설치됐으며, 2025년 말까지 100만 개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이번 프로젝트는 아마존이 80억 달러를 투자한 AI 스타트업 앤트로픽 의 모델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마존은 이를 통해 AWS의 AI 연산 수요에 대응하고, AI·클라우드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FT)·구글(GOOGL)과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데이터센터는 엔비디아(NVDA) GPU 대신 아마존 자체 트레이니엄2 칩을 사용하며, 이와 관련해 아마존은 “표준 GPU보다 30~40%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고 밝히며 앞으로 외부 칩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생태계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한편, 일부 인디애나 주민들은 대규모 전력 소비와 전기요금 급등(5년간 267% 상승)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러나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를 “AI 인프라 확장 속도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특징주]
■ 항공우주기업 보잉(BA)
- 보잉은 3분기 매출이 232억7,000만달러로 시장 예상(219억7000만달러)을 웃돌았지만, 주당 7.47달러 손실로 예상치(-4.59달러)보다 적자가 확대됐다. 실적 발표 후 주가가 급등락을 보였으나 하락으로 마감했다.
- 항공기 인도 지연과 생산 차질이 이어지며 수익성 회복이 더디다는 평가가 나온다.
■ 건설·농업 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CAT)
- 캐터필러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4.95달러, 매출 176억4000만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4.59달러, 167억7000만달러)을 상회하며 주가가 상승했다.
-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AI) 관련 인프라 건설 수요가 매출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 금융결제 기술기업 파이서브(FI)
- 파이서브는 3분기 실적 부진으로 주가가 급락했다. 주당순이익은 2.04달러로 예상치(2.64달러)에 못 미쳤고, 매출 역시 49억2000만달러로 시장 기대(53억5000만달러)를 하회했다.
■ 미국 최대 약국 체인 운영사 CVS헬스(CVS)
- CVS헬스는 3분기 57억달러 규모의 영업권 손상차손으로 순손실을 기록했다는 발표에 실적 발표 직후 주가가 하락했으나, 보험 자회사 애트나의 실적 회복과 약국 운영 효율화에 힘입어 2025 회계연도 조정 EPS 전망을 6.55~6.65달러로 상향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 데이터 저장장치 제조업체 시게이트(STX)
- 시게이트는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았다. 조정 주당순이익은 2.61달러, 매출은 26억3000만달러로 시장 예상(2.37달러, 25억5000만달러)을 상회했다.
■ 의료보험 관리업체 센틴(CNC)
- 센틴은 3분기 이익이 시장 전망을 크게 웃돌았다. 주당순이익은 0.50달러로, 예상치(-0.14달러)를 뒤집었고 매출은 496억9000만달러로 예상(477억2000만달러)을 상회했다.
■ 반도체 검사장비 제조사 테러다인(TER)
- 테러다인은 3분기 실적 호조와 전망 개선으로 주가가 급등했다. 주당순이익은 0.85달러, 매출은 7억6900만달러로 시장 예상(0.79달러, 7억4410만달러)을 상회했다.
■ 에너지 기술기업 블룸 에너지(BE)
- 블룸 에너지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 0.15달러, 매출 5억1900만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0.10달러, 4억2840만달러)를 웃돌아 급등했다.
■ 태양광 인버터 제조업체 엔페이즈 에너지(ENPH)
- 엔페이즈 에너지는 4분기 매출 가이던스(3억1000만~3억5000만달러)가 예상(3억8290만달러)을 밑돌며 하락했다. 다만 조정 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 생명과학 장비기업 어밴터(AVTR)
- 어밴터는 3분기 매출이 16억2000만달러로 예상(16억5000만달러)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주당순이익은 0.22달러로 시장 기대와 일치했다.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 이는 경쟁사 SK하이닉스가 AI 수요 확대에 따라 장기적인 메모리 ‘슈퍼사이클’이 올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 SK하이닉스는 내년 메모리 칩 생산량이 이미 완판 상태라고 전하며, 급증하는 AI 서버 수요로 DRAM 공급이 제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이에 AI 서버용 HBM3e 칩을 엔비디아(NVDA)의 블랙웰 GPU에 공급하는 마이크론 역시 수혜를 입고 있다. 마이크론은 지난 분기 매출은 46% 증가한 112억 달러, EPS는 3.03달러로 시장 기대를 상회한바 있다.
▲ 씨티그룹은 1990년대 이후 최대 폭의 DRAM 가격 인상이라며 마이크론 목표주가를 275달러로 상향하며 공급 부족과 AI 수요로 인해 향후 실적이 최대 20%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 피트니스 및 내비게이션 기기 제조업체 가민(GRMN)
- 엇갈린 실적에 주가가 급락했다. 가민은 3분기 매출 17억7000만달러, 조정 EPS 1.99달러를 발표해 EPS는 시장예상치(1.99달러)에 부합했지만 매출은 기대치(17억8000만달러)에 소폭 못 미쳤다.
- 연말 판매 시즌을 앞두고 가이던스가 기대에 못 미치며 실망 매물이 출회됐다.
[시간 외 거래]
시간 외 거래
■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서비스나우(NOW)
- 서비스나우는 2025회계연도 3분기 매출 34억1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4.82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예상치였던 매출 33억5000만달러, EPS 4.27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2% 증가했으며 구독 매출은 33억달러로 시장 전망치 32억6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한편 회사는 올해 구독 매출 전망치를 기존 127억8000만~128억달러에서 128억4000만~128억5000만달러로 상향했다.
- 이사회는 5대1 주식 액면분할을 승인했으며, 12월 초 시행될 예정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 일반 투자자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 이날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2.79% 하락한 911.70달러로 마감한 서비스나우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오후4시27분 기준 종가대비 4.75% 오른 954.9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글로벌 기술기업 알파벳(GOOGL)
- 알파벳은 2025회계연도 3분기 매출이 1024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으며 시장예상치 998억달러를 상회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87달러로, 컨센서스 2.26달러와 지난해 같은 기간 2.12달러를 모두 웃돌았다.
- 메타(META)가 100억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고, 오픈AI와 앤트로픽 등 주요 AI 개발사들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채택하면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됐다.
■ 글로벌 커피전문점 스타벅스(SBUX)
- 스타벅스는 2025회계연도 4분기 매출 95억7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0.5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예상치였던 매출 93억5000만달러를 상회했으나, EPS 0.56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구조조정 비용 반영으로 1억3310만달러로 감소했다.
- 글로벌 동일점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 늘며 6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47% 하락한 84.17달러로 마감한 스타벅스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오후4시19분 기준 종가대비 1.94% 오른 85.8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메타(META)
- 메타의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7.25달러로,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 6.69달러를 상회했다고 밝혔다. 같은기간 매출은 512억4000만달러로,예상치 494억1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다만 회사 측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 법안 시행으로 인해 159억3000만달러 규모의 일회성 비현금 세금비용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 4분기 매출 가이던스에 대해 메타는 560억~590억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 중간값을 웃도는 수준이다. 연간 총비용 전망의 하단도 20억달러 높여 1160억~1180억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이전 가이던스 1140억~1180억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2025년 설비투자 전망도 기존 660억~720억달러에서 700억~720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정규장 거래에서 0.031% 강보합에 거래를 마친 메타는 현지시간 이날 오후 4시 42분 시간외 거래에서 6.98%나 밀리며 699.21달러에서 움직이고 있다.
■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FT)
- 마이크로소프트의 2025회계연도 1분기 매출은 776억7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8% 증가했으며 시장예상치 755억5000만달러를 상회했다. 같은기간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4.13달러로, 컨센서스 3.67달러를 웃돌았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0.11% 오른 541.42달러로 거래를 마친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종가대비 3.2% 내린 524.0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기타 뉴스]
알파벳 클라우드 부문 매출 급증, 시간외서 5% 급등(상보)
메타 주당 순익 예상 크게 미달, 시간외서 8% 급락(상보)
MS 실적 예상 상회에도 시간외서 3.3% 하락(상보)
테슬라 0.21% 상승-루시드 0.50% 하락, 전기차 혼조(상보)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