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1/25 미국주식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1.25

[특징주]

■ 미국 대표 기술 기업 알파벳(GOOGL)

- 세계 최대 검색 엔진 구글 주가가 회사 분할이라는 위기에도 인공지능(AI) 분야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24일(현지시간) 주가가 전일대비 1.13% 상승하며 200.2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사상 처음으로 200달러를 돌파한 기록이다.

- 알파벳은 최근 AI 기술을 제품 전반에 도입하며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에서 알파벳의 AI 관련 프로젝트인 ‘아스트라’와 ‘마리너’, 그리고 2024년 출시된 대규모 언어 모델 ‘제미니 2.0’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엔비디아

- 페북의 모회사 메타가 대규모 인공지능(AI) 투자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메타의 AI 대규모 투자로 AI 부문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우려가 급부상하며, 전거래일보다 3.12% 급락한 142.62달러를 기록했다.

■ 메타(META)

- 올해 투자를 위해 최대 650억 달러 규모의 자본 지출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AI부문 엔지니어를 구축해 연구 및 설계에 보다 많은 양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

- 테슬라는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모델 Y를 오는 3월부터 미국 시장에서 판매할 예정이다. 신형 모델Y의 가격은 기존 버전보다 높다. 런치 시리즈(Launch Series) 특별판의 가격은 5만9990달러부터 시작되며 여기에는 최신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가 포함된다. FSD를 제외한 기본 가격은 약 5만2000달러로, 기존 모델 Y 롱레인지 버전 가격 4만8000달러 대비 약 8% 인상됐다.

- 지난해 유럽 매출이 13%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가팩토리가 있는 독일에서는 41% 줄었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유럽 정치에 자주 개입해 역효과가 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투자 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분석했다.

- 테슬라는 1.41% 하락한 406.58달러를 기록했다.

다른 전기차는 일제히 상승했다. 리비안은 2.24% 상승한 12.77달러를, 루시드는 2.57% 상승한 2.79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니콜라는 투기 세력의 저가 매수가 유입으로 8.05% 급등한 0.91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NFLX)

- 번스타인은 넷플릭스(NFLX)에 대해 4분기 호실적 이후 주가 상승 가능성에 주목하며,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가를 975달러에서 1200달러로 높였다.

 

■ 텍사스인스트루먼트(TXN)

- 실망스러운 실적 전망을 내놓으며 개장 전 4% 넘는 주가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주가는 전일대비 4.09% 밀린 192.40달러에서 움직이고 있디.

 

■ 암호화폐 발전을 촉진하기위한 행정명령에 서명

- 트코인은 10만7000달러까지 회복하며 이전 신고가 10만9410달러에 다시 다가서기도 했다.

-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과 마라홀딩스(MARA)가 각각 2% 가깝게 상승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COIN)와 라잇블록체인도 각각 2.1%와 2.69% 반등을 시도 중이다.

 

 

 

■ GE버노바(GEV)

- 구겐하임은 GE버노바의 주가가 최근 급등했지만 이제 일부 수익을 실현해야 한다면서 GE버노바가 GE에어로스페이스(GE)로부터 지난해 4월 분사된 이후 수익성과 성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 재생에너지 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 4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는 2.07% 하락한 67.80달러를 기록했다.

■ 노보 노디스크(NVO)

- 다른 비만치료제 아미크레틴에 대한 임상 초기 결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발표되며 개장 전 두 자릿수 주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 노보 노디스크 주가는 전일대비 12.4% 급등한 91.16달러에서 출발 준비 중이다.

 

 

 

 

■ 다빈치 수술 시스템으로 잘 알려진 의료 기술 기업 인튜이티브서지컬(ISRG)

-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올해 전 세계 다빈치 수술 건수 증가세가 전년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 인튜이티브서지컬의 주가는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2% 하락한 594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툴 제조업체인 트윌리오(TWLO)

- 지난 4분기 실적 예비치를 발표한 가운데, 매출 성장에 힘입어 일반회계기준(GAAP)으로 처음으로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회사는 낙관적인 장기 이익 전망을 발표하고 신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16% 급등한 132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바이어드는 트윌리오(TWLO)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15달러에서 160달러로 높였다.

 

■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업체 무그(MOG.A)

- 무그의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78달러로 예상치 1.70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은 전년 동기 8억5690만달러에서 9억1030만달러로 증가하며 예상치 8억7200만달러를 웃돌았다.

- 무그는 2분기 EPS 가이던스를 1.65~1.85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1.86달러보다 감소한 수치다.

■ 글로벌 패션 브랜드 캘빈클라인과 타미힐피거를 보유한 필립스반휴센(PVH)

- JP모건은 필립스반휴센에 대해 매출 회복세가 기대보다 부진하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환율 변동성이 실적 회복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하고 목표가를 149달러에서 113달러로 대폭 낮췄다.

 

[기타 뉴스]

■ 보잉(BA)

- 보잉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주당순이익(EPS) 기준 5.46달러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발표했다. 개장 전 거래에서 보잉 주가는 전일대비 1.56% 하락한 175.71달러에서 출발 준비 중이다.

■ 철도회사 CSX(CSX)

- 지난 4분기에 매출 및 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며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4% 하락한 32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신용카드 회사 아메리칸익스프레스(AXP)

- 카드 소비 지출 증가에 힘입어 지난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해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으며, 분기 배당금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 투자자들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 및 전망을 발표하면서 오전 9시 15분 기준 아메리칸익스프레스의 주가는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0.4% 하락한 324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HCA헬스케어(HCA)

- 지난 4분기에 허리케인으로 인한 타격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다소 아쉬운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 은행지주회사 퍼스트 시티즌스 뱅크셰어스(FCNCA)

- 퍼스트 시티즌스의 4분기 주당순이익은 전년 동기 34.33달러에서 49.21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 38.96달러를 넘어선 수치다. 조정 EPS는 45.10달러로 예상치 39.07달러를 웃돌았다. 순이자 수익은 17억1000만달러로 예상치 16억9000만달러를 상회했다.

- 4분기 9억6300만달러 규모 자사주 46만주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 정보서비스업체 CACI 인터내셔널(CACI)

- 뱅크오브아메리카는 CACI에 대헤 트럼프 2기 행정부 자문 기구인 정부효율부(DOGE)의 비용 절감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하고 목표가를 625달러로 책정했다.

■ 주류 제조업체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 지난 10일 3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월가의 예상치를 밑돌았다고 발표했다.

- 몇 년 만에 처음으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이사는 지난 17일 자사주 1000주를 매입했다. 매입가는 주당 186.39달러로, 전체 매입 규모는 약 18만6400달러에 달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거래로 자일스 이사의 보유 주식은 총 1460주로 늘었다.

■ 건강 기술 업체 샘러 사이언티픽(SMLR)

- 샘러 사이언티픽은 2030년 만기 4.25% 전환사채 8500만달러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행 규모는 이전에 발표된 7500만달러에서 확대됐다. 샘러 사이언티픽은 채권 매수자들에게 추가로 1500만달러 규모의 채권을 매입할 옵션을 부여했다.

- 샘러 사이언티픽은 채권 발행에 따른 순수익을 8140만달러로 추산했으며 옵션이 완전히 행사될 경우 수익은 958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발행 할인 및 발행 관련 비용을 공제한 금액이다.

- 샘러 사이언티픽은 발행 수익금을 일반적인 기업 운영 목적에 사용할 계획이며 여기에는 비트코인 매입도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 엔데버그룹(EDR)

- 실버레이크가 엔데버그룹을 주당 27.50달러, 총 13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한 가격이 회사의 실제 가치를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 엔데버그룹의 핵심 자산인 UFC와 WWE를 보유한 TKO그룹 지분 가치가 최근 50% 이상 상승하며 엔데버그룹의 전체 가치를 주당 40달러로 추산하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북미의 주요 유틸리티 인프라 서비스 기업인 콴타서비스(PWR)

-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콴타서비스(PWR)에 대해 노후화된 인프라의 재투자와 에너지 수요 증가가 콴타서비스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회사가 업계 내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고히 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신규제시하고 목표가를 407달러로 설정했다.

■ 위성 이미징 기업 플래닛랩스PBC(PL)

- 칸토피츠제럴드는 플래닛 랩스가 AI 기반 데이터 가격 상승과 방위 및 기후 위기의 가속화로 인해 성장과 수익성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신규제시하며 목표가를 6.30달러로 설정했다.

■ 레스토랑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토스트(TOST)

- 오펜하이머는 레스토랑 업계가 기존 시스템에서 통합된 멀티 채널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토스트가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하며, 투자의견을 시장 수익률 상회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46달러로 설정했다.

■ 자율주행 기술 기업 위라이드(WRD)

- JP모건은 위라이드가 자율주행(Level 2~Level 4)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로보택시, 로보버스, 로보스위퍼 등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신규제시하며 목표가를 21.00달러로 설정했다.

■ 스틸 다이내믹스(STLD)

- 제프리스는 스틸 다이내믹스가 단기적으로 유기적 성장 프로젝트의 가동을 본격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자금 조달이 대부분 완료된 상태에서 새로운 성장 옵션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기보다 기존 프로젝트의 기여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기존 125달러에서 145달러로 올렸다.

■ 미국 페인트 제조업체 셔윈-윌리엄즈(SHW)

- 베렌베르크는 미국 데코레이티브 페인트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셔윈-윌리엄즈의 실적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경쟁사인 켈리-무어의 시장 철수와 PPG의 북미 건축용 페인트 사업 매각이 셔윈-윌리엄즈의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기존 361달러에서 420달러로 올렸다.

■ 에어 프로덕츠 앤 케미컬스(APD)

- 바클레이즈는 에어 프로덕츠가 산업 가스 부문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미국 내 장식용 페인트 시장 구조 변화와 같은 외부 요인에 힘입어 수익과 잉여현금흐름(FCF)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기존 315달러에서 365달러로 올렸다.

■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은행지주회사 OP뱅코프(OPBK)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이 0.33달러 전년동기 0.34달러 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부실 대출로 분류된 금액이 1330만달러로 전년동기 1190만달러에서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150만달러로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전년동기 63만달러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 미국 유틸리티 기업 블랙힐스(BKH)

- 블랙힐스는 분기 배당금을 기존 주당 0.65달러에서 0.676달러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연간 기준으로는 2.70달러로, 현재 주가 기준 배당 수익률은 약 4.7%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