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2/21 미국주식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2.21

[특징주]

■ AI(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기업 엔비디아(NVDA)

- 키뱅크는 엔비디아(NVDA)에 대해 AI 칩 공급량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것이라며 목표가를 기존 180달러에서 19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엔비디아는 오는 26일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아마존,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이 올해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예고하면서 엔비디아의 AI 하드웨어 수요 증가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커진 상황이다.

 

테슬라는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지속되며 1.71% 하락한 354.40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최근 테슬라는 CEO 리스크 부상으로 연일 하락하고 있다. 지난 주말 시위대가 미국 전역의 테슬라 매장에서 시위를 벌였다. 심지어 테슬라의 본부가 있는 텍사스 오스틴에서도 시위가 발생했었다.

이는 머스크가 전횡을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새로 구성된 정부 효율성부(DOGE) 수장으로, 공무원의 대규모 해고를 주도하고 있다.

리비안은 2.30% 하락한 13.61달러를, 루시드는 1.78% 하락한 3.31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니콜라는 낙폭이 컸다. 니콜라는 5.60% 급락한 44센트로 장을 마감했다.

 

■ 기업용(상업·정부) 데이터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팔란티어(PLTR)

- 루프캐피털은 팔란티어(PLTR)에 대해 기업 AI 시장에서 강력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하며 매수 의견과 목표가는 141달러로 제시했다.

- 웨드부시는 팔란티어에 대해 AI 혁명을 진전시키는데 팔란티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투자의견 `시장 수익률 상회`와 목표주가 120달러를 그대로 유지한다

■ 넷플릭스(NFLX)

- 넷플릭스의 테드 사란도스 CEO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향후 4년간 멕시코에서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을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알리바바(BABA)

- 전 분기 실적은 주당순이익(EPS) 21.39달러, 매출액은 2801억5000만 달러였다. 월가 가이던스 각각 19.81달러와 2770억3000만 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결과다.

 

 

 

■ 솔라에지테크놀로지스(SEDG)

- BMO캐피탈마켓츠는 솔라에지테크놀로지스(SEDG)의 실적 발표 이후 주가 상승이 과도하다면서 투자의견을 시장 수익률 하회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반면 목표주가는 기존 13달러에서 15달러로 높였다.

 

■ 월마트(WMT)

-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주당순이익(EPS) 0.66달러, 매출액 1805억5000만 달러였다. 월가 추정치 각각 0.64달러와 1798억5000만 달러를 모두 웃돈 결과다.

- 올 1분기 실적은 순매출 3%~4%, 조정 영업이익은 3.5%~5.5%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 월마트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3분의 2는 미국에서 생산 또는 조립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관세가 발효된다면 월마트도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FTAI Aviation Ltd. (FTAI)

- 감사위원회가 실시한 독립 검토에서 공매도 보고서의 의혹이 근거 없음이 밝혀졌다는 발표에 따른 것이다. 회사는 또한 Form 10-K를 적시에 제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미국 완구업체 해즈브로(HAS)

- 자사 제품에 대한 수요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10억달러 규모의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했다.

- 올해 총 연간 매출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월가 예상치인 4% 성장 대비 아쉬운 수준이다. 연간 실적 전망이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및 2월 1일 발표된 멕시코산,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잠재적인 관세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 버거 체인업체 쉐이크쉑(SHAK)

- 지난 1월 로스앤젤레스(LA) 지역의 산불과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동일매장매출이 견조하게 유지되었다고 발표했다.

- 지난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26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25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4.8% 상승한 3억2868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2억8624만달러 대비 상승했지만 시장 전망치인 3억2880만달러를 밑돌았다.

 

■ 자동차 딜러 업체 카바나(CVNA)

- 지난 4분기 매출 및 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올해 상당한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면서도 구체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으면서 투자자들은 실망한 모습이다. 월가에서는 2025년 연간 EBITDA가 전년 대비 30% 증가한 18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 조정 마진이 약 10%를 기록해 동종 업체인 오토네이션(AN)과 카맥스(KMX)가 기록한 6%, 4%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타 뉴스]

■ 온라인 비디오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제공업체 비메오(VMEO)

- 지난 4분기 순이익이 15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0.01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840만달러, 0.05달러 대비 감소했다고 전했다. 월가 예상치인 0.03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지난 4분기에 구독자수가 줄어들면서 이익이 감소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 이번 1분기 매출이 1억달러, 연간 매출이 낮은 한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월가 예상치인 1억29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버켄스탁홀딩(BIRK)

- 지난 분기에 제품 가격을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이익 호조 효과를 상쇄했다고 발표했다.

- 지난 분기 순이익이 2000만유로, 주당순이익(EPS)이 11센트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순손실 700만유로, 주당순손실 4센트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조정 EPS는 18센트로 월가 예상치인 17센트를 소폭 상회했다.

■ 온라인 가구 소매업체 웨이페어(W)

- 지난 4분기 조정 주당순손실이 0.25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손실폭이 두 배 이상 확대됐다고 전했다. 월가 예상치인 주당순손실 0.01달러를 큰 폭으로 하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1억2000만달러로 월가 컨센서스인 30억66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오랜 기간 지속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가구에 대한 관심을 줄이고 필수품 구매를 위해 현금을 비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진한 주택 시장까지 겹치면서 수요 감소가 더욱 심화되었다고 언급했다.

■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플랫폼 운영업체 스노우 플레이크(SNOW)

- BTIG는 스노우 플레이크(SNOW)에 대해 지난 2년 이상 지속된 클라우드 최적화 역풍을 벗어나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시장과 스노우플레이크의 전반적인 수요 환경이 올해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가는 220달러로 제시했다.

- AI 워크로드 가속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고, AI 프로젝트가 올해 중반부터 생산 단계로 접어들고 내년 후반부에는 소비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 마케팅 소프트웨어 업체 클라비요(KVYO)

- 4분기 매출은 전년대비 34% 상승한 2702억달러로 예상치 2573억달러를 넘어섰다.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 기간 동안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한 것이 실적 호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7센트로 예상치 6센트를 웃돌았다.

- 1분기 약한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클라비요는 1분기 영업 이익 가이던스를 예상치 3200만달러보다 낮은 2550만~285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 건축 자재 업체 빌더스 퍼스트소스(BLDR)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31달러로 예상치 2.11달러를 넘어섰다. 그러나 매출은 전년대비 8% 감소한 38억2000만달러로 예상치 38억9000만달러를 밑돌았다. 빌더스 퍼스트소스는 매출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유기적 성장 둔화 및 원자재 가격 하락을 지목했다.

- 2025 회계연도 매출 가이던스를 165억~175억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72억600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Leonardo DRS(DRS)

- 4/4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주당순이익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보다 좋았고 매출은 전망에 비해 상회했다.

■ AI 인프라 기업 Nebius Group N.V. (NBIS)

- 매출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손실과 영업 현금 유출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로 인해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 Bloomin' Brands (BLMN)

- 플로리다 주 탬파의 레스토랑 지원센터 인력 감축을 발표한 후 주가가 1% 하락했다. 2025년 2월 20일에 발표된 이번 인력 감축은 다양한 운영 부서에서 약 100명의 직원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레스토랑 지원센터 전체 인력의 약 17%에 해당한다.

■ 서던 컴퍼니 (SO)

- 주당순이익(EPS)은 $0.50이고 매출은 $6.34B이었다.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에 못미쳤고 매출은 전망에 비해 상회했다.

■ Affirm (AFRM)

- Shopify와의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발표에 따른 것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Shop Pay Installments의 독점 제공업체로서의 역할이 확대되며, 영국 시장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 전기 모빌리티 업체 엑소스(XOS)

- 전기차 충전 장비 ‘엑소스 허브’가 미국 연방 조달청(GSA)의 공식 구매 목록에 추가됐다는 소식에 20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 엑소스 허브는 기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솔루션이라며 배터리 저장 장치와 통합 충전기가 내장돼있어 배송 즉시 가동할 수 있다.

■ 반려동물 사료·간식 제조업체 프레시펫(FRPT)

- 4분기 매출은 전년대비 22% 상승한 2억627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예상치 2억6410만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전년 동기 31센트에서 36센트로 증가했다.

- 2025 회계연도 매출 가이던스를 11억8000만~12억10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시장 예상치 12억200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디지털 분석 기업 앰플리튜드(AMPL)

- 바이어드는 앰플리튜드(AMPL)가 지난 4분기에 기대 이상의 호실적을 기록하고 낙관적인 올해 전망을 제시했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2달러에서 17달러로 높였다.

■ 중국 디젤 엔진 제조업체 차이나 유차이(CYD)

- 차이나 유차이는 자회사 유차이가 베트남 FUTA 그룹의 자회사 킴 롱 모터와 포괄적인 전략적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에는 기술 라이선스 부여, 부품 공급, 엔진 공장 건설 지원 및 관련 서비스 제공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해당 엔진 공장은 킴 롱 모터가 지정한 베트남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다.

■ 온라인 여행 플랫폼 기업 트립어드바이저(TRIP)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센트로 전년 동기 22센트에서 크게 감소했다. 조정 EPS는 30센트로 예상치 21센트를 웃돌았다. 매출은 전년대비 5% 증가한 4억1100만달러로 예상치 4억140만달러를 상회했다. 그러나 운영 비용이 14% 증가한 4억1100만달러에 달해 매출 증가분을 모두 상쇄하며 영업이익이 사실상 정체됐다. 순이익 역시 세금 혜택 덕분에 가까스로 흑자를 유지한 수준에 그쳤다.

■ 미국 건강 보조식품 업체 허벌라이프(HLF)

- 4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고 CEO 교체 소식을 전하면서 20일 주가가 급등했다.

- 2025년 전망은 다소 보수적이었다. 1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1.5~5.5% 감소한 11억9000만~12억5000만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시된 가이던스의 중간값은 시장 예상치 12억5000만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48억4000만~51억40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애널리스트 예상치는 50억6000만달러다.

■ CMS에너지(CMS)

- 바클레이즈는 CMS에너지(CMS)의 에너지 효율성 이니셔티브와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가 긍정적이라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동일비중에서 비중확대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68달러에서 75달러로 인상했다.

■ DTE에너지(DTE)

- 바클레이즈는 DTE에너지(DTE)의 장기적인 수익성 및 재무 건전성 관리가 우려스럽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비중확대에서 동일비중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37달러에서 135달러로 낮췄다.

 

[시간외 특징주]

■ 셀시어스홀딩스(CELH)

-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회사는 기능성 음료와 웰니스 제품을 제공하는 ‘알라니 누’를 인수해 글로벌 에너지 드링크 시장에서 혁신적인 리더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시간 외 거래에서 전일대비 29% 급등한 33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리비안오토모티브(RIVN)

- 투자자들이 기대한 것의 절반만 충족하는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다만 투자자들은 리비안의 새로운 차량 프로그램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시간 외 거래에서 전일대비 4% 상승한 14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 부킹홀딩스(BKNG)

- 2023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강한 국제 여행 수요가 실적을 견인하며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했다.

- 시간외거래에서 3.62% 상승한 5199.97달러를 기록했다.

■ 중고차 경매 플랫폼 코파츠(CPRT)

-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했다. 시간외 거래에서 1.34% 상승한 59.00달러를 기록했다.

■ 세계 최대 금광업체 뉴몬트(NEM)

- 2023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금 생산량 증가와 강한 실적이 주가를 견인하며 시간외거래에서 1.27% 상승한 48.63달러를 기록했다.

■ 공연 기획 및 티켓팅 기업 라이브네이션엔터테인먼트(LYV)

-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이 56억8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시장 예상치 56억7000만달러를 소폭 웃돌았다. 올해 콘서트 및 스타디움쇼 증가로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시간외 거래에서 0.21% 추가 하락한 152.00달러를 기록했다.

■ 미국 전력 및 가스 공급업체 콘솔리데이티드에디슨(ED)

-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며 증가했지만 연간 순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2025년 실적 가이던스는 시장 기대치와 대체로 부합했다. 시간외 거래에서는 0.79% 하락한 95.00달러를 기록했다.

■ 당뇨병 관리 의료기기 업체 인슐릿(PODD)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15달러로 시장 예상치 1.03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5억975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7.2% 증가했으며 컨센서스 5억8270만달러를 상회했다.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4.61% 하락한 275.00달러를 기록했다.

■ 라틴아메리카 최대 전자상거래 및 핀테크 기업 메르카도리브레(MELI)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2.61달러로 시장 예상치 8.05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60억6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 57억9000만달러를 웃돌며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다. 시간외거래에서 12.06% 급등한 2365.00달러를 기록했다.

■ 클라우드 보안 및 콘텐츠 전송 서비스 기업 아카마이테크놀로지(AKAM)

-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배달 사업 부진과 순이익 감소로 인해 시간외 거래에서 6.94% 추가 하락한 91.23달러를 기록했다.

■ 스프라우츠파머스마켓(SFM)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15달러로 시장 예상치 1.03달러를 상회했다. 매출은 5억9750만달러로 컨센서스 5억8270만달러를 웃돌았으며 전년동기 대비 17.2% 증가했다.

- 정규장에서 3.51% 하락한 169.80달러에 마감한 데 이어 시간외 거래에서 추가로 2.83% 하락한 165.00달러를 기록했다.

-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밸류에이션 부담과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분석된다. 2025년 실적 전망이 시장 기대를 충족했음에도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을 제공하기엔 다소 부족했다는 평가도 있다.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업체 드랍박스(DBX)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73달러로 시장 예상치 0.62달러를 0.11달러 웃돌았다. 매출은 6억4360만달러로 컨센서스 6억3905만달러를 소폭 상회했으며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 시간외 거래에서 추가로 6.57% 하락한 29.79달러를 기록했다.

-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AI 사업 성장 기대감 부족과 제한적인 매출 증가율로 분석된다. 드랍박스는 최근 인공지능(AI) 기반의 Dash for Business 제품을 출시하며 사업 다각화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보다 빠른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 Evolent Health(NYSE:EVH)

- 2025 회계연도 매출을 $2.06-2.11 billion으로 전망하며 3% 하락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는 $2.42 billion이었습니다.

■ Block, Inc(XYZ)

- 실적이 예상치를 하회하며 6% 하락했습니다. Block의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71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0.89를 $0.18 하회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6.03 billion으로 시장 컨센서스 $6.28 billion을 하회했습니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