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3/12 미국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3.12

 

[특징주]

 

■ 테슬라(TSLA)

- 모건스탠리는 테슬라에 대해 최근 하락은 매수의 기회로 보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하며 여전히 탑픽 종목이라고 강조했다. 목표주가 430달러도 제시했다.

 

■ 오라클(ORCL)

- 전일 장마감 이후 오라클은 전분기 주당순이익(EPS)이 1.47달러, 매출액은 141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추정치 각각 1.49달러와 143억9000만 달러에 모두 못 미친 수준이다.

- 회계연도 2026년과 2027년의 매출이 각각 15%와 20%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사운드하운드AI(SOUN)

- 사운드하운드AI CEO는 공시를 통해 지난해 11월 27일 ‘내부자 사전거래 계획(Rule 10b5-1)’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최대 240만주의 클래스 B 주식과 최대 73만7500주의 클래스 A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 Rule 10b5-1’ 거래 계획은 내부자가 비공개 정보를 이용해 이익을 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된 제도다. 해당 계획이 실행되면, 사전에 설정된 가격, 거래량 및 시점 등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주식이 매도된다.

■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 기술주 반등과 투자의견 상향에 전일대비 10.68% 급등한 40.8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

- 미즈호는 코인베이스의 최근의 하락세는 과도하다며, 시장 전반적으로 낮아진 밸류에이션 수준을 반영해 목표가는 기존 280달러에서 217달러로 낮췄다.

 

■ 항공사 및 여행주

-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여행 수요 감소를 예상하며 1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 재확산 및 성장 둔화 가능성이 제기되며 미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악화된 점도 투자 심리를 눌렀다.

- 델타 에어라인스(DAL), 아메리칸 에어라인스(AAL),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스(LUV)

- 에어비앤비(ABNB), 익스피디아(EXPE),. 디즈니(DIS),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RCL), 노르웨지안 크루즈 라인(NCLH)

■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스(LUV)

- 가이던스 하향에도 수익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으로 승객에게 수하물을 체크인하는데 요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며 7.15% 급등

■ 아메리칸에어라인스그룹(AAL)

- 아메리칸항공은 1분기 총 매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0%로 하향 조정했다. 1분기 조정 주당순손실 전망치를 0.80달러~0.60달러로 제시했다. 이전에 제시했던 조정 주당순손실 0.40달러~0.20달러에서 하향 조정된 것이다.

- 미국 내 레저 여행 수요 둔화 및 항공편 5342편의 지속적인 영향 등으로 인해 실적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철강주

- 캐나다산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인상할 것을 지시했다는 소식

- 뉴코(NUE), US스틸(X), 알코아(AA)

 

 

 

■ 헬스케어 전문기업 GE헬스케어(GEHC)

- 골드만삭스는 GE헬스케어(GEHC)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회복 조짐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목표가는 85달러에서 100달러로 높였다.

- 현재 중국 내 매출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상보다 빠른 2026년에 2023년 수준으로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의 연간 주당순이익(EPS) 전망도 상향 조정했다.

 

 

 

 

 

■ 반도체 및 전자 테스트 장비 제조업체 테라다인(TER)

- 테라다인은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면서 핵심 사업인 반도체 테스트 부문에서 단기적인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테라다인은 또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와 무역 제한,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여전히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 1분기 실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보합에서 최대 10%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간 성장률은 5~10%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1분기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는 0.58~0.68달러, 매출 가이던스는 6억6000만~7억달러 범위로 유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1분기 주당 0.63달러의 순이익과 6억9400만달러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 광통신 테스트 장비 전문 기업인 비상장사 콴티파이 포토닉스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거래 금액은 비공개이며 인수는 2분기 중 마무리될 예정이다.

 

■ 스키 리조트 운영업체 베일리조트(MTN)

-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6.56달러로 팩트셋 예상치 6.29달러를 상회했다. 매출은 11억4000만달러로 전년대비 5.5% 증가하며 예상치에 부합했다. 총 리프트 매출은 4150만달러로 6.9% 증가했다. 비시즌권 이용객 매출은 동부 해안 리조트 방문객 증가의 영향으로 18% 급증했으며 전 분기에 감소했던 시즌권 매출도 3.2% 증가로 돌아섰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순이익 가이던스를 기존 2억4000만~3억1600만달러에서 2억5700만~3억900만달러 범위로 상향 조정했다.

 

■ 아사나(ASAN)

- 이번 1분기 매출이 1억8450만달러~1억865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예상치인 1억908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올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7억8200만달러~7억9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인 8억350만달러를 밑돌았다.

- 더스틴 모스코비츠 CEO가 후임이 결정되는 대로 은퇴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고 발표했다.

 

[기타 뉴스]

■ 백화점 체인 매장 콜스(KSS)

- 지난 분기 순이익이 48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0.43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1억8600만달러, 1.67달러 대비 크게 감소했다고 전했다. 월가 예상치인 0.73달러 역시 하회했다.

- 같은 기간 매출은 51억7500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57억1000만달러 대비 감소했으며 시장 컨센서스인 51억8200만달러를 밑돌았다.

■ 시에나(CIEN)

- 지난 분기 순이익이 446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0.31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4950만달러, 0.34달러 대비 감소했다고 전했다. 다만 조정 EPS는 0.64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0.41달러를 상회했다.

- 같은 기간 매출은 10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10억4000만달러 대비 증가했으며 시장 컨센서스인 10억5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스포츠 용품 소매업체 딕스 스포팅 굿즈(DKS)

- 2025 회계연도 연간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를 13.80~14.40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14.82달러에 못 미치는 수치다.

- 분기 배당을 10% 인상했으며 5년에 걸친 30억달러 규모의 신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도 승인했다.

■ 캐피털원파이낸셜(COF)

- 바이어드는 캐피털원파이낸셜(COF)에 대해 경제 둔화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수 있다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90달러에서 200달러로 높였다.

■ 스포티파이테크놀로지(SPOT)

- 레드번아틀란틱은 스포티파이테크놀로지(SPOT)에 대해 오디오북과 잠재적인 ‘슈퍼 프리미엄’ 서비스 도입과 같은 신규 성장 동력이 주목받고 있어,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고 강조하며, 투자의견을 기존 매도에서 중립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230달러에서 545달러로 대폭 높였다.

- 이미 긍정적인 단기 전망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해 중립적인 입장은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 배관 장비 유통업체 퍼거슨 엔터프라이즈(FERG)

-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52달러로 예상치 1.58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69억달러로 예상치 67억달러를 웃돌았다.

- 연간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를 기존 9.3%에서 8.6%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약 26억달러로, 시장 예상치 27억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철강, 구리, 플라스틱 등 원자재로 제조된 제품을 유통하는 기업으로,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자재 가격 변동을 실시간으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다.

- 플라스틱 가격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철강 가격도 압박을 받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발표한 이후 철강 가격은 톤당 약 150달러 상승해 900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향후 실적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구리 가격도 전년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다.

■ 캐나다 광산업체 엔데버실버(EXK)

- 4분기 조정 EPS는 2센트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1센트 손실을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생산량 감소와 비용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5050만달러에서 4220만달러로 감소하며 예상치 4750만달러를 밑돌았다.

■ 나이키(NKE)

- 바클레이즈는 나이키(NKE)의 주가가 바닥에 근접했다고 언급하며 투자의견 시장 평균수익률을 유지했다.

- 오는 20일 전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월가에서는 주당순이익(EPS) 0.3달러, 매출액 110억2000만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직전분기 각각 0.78달러와 124억 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다.

■ 퍼스트시티즌스(FCNCA)

- 파이퍼샌들러는 퍼스트시티즌스(FCNCA)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2250달러로 설정했다.

- 주식 유통 물량이 적고 주당 순유형자산가치(TBVPS) 대비 약 1.15배의 밸류에이션을 감안할 때, 은행이 더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자사주 매입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퍼스트시티즌스가 2026년 말까지 추가적으로 약 6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할 것으로 추정했다.

■ 유나이티드내추럴푸드(UNFI)

- 지난 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22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18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2분기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역시 전년 대비 13% 증가한 1억4500만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5% 상승한 81억6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79억5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유나이티드내추럴푸드는 연간 순매출 가이던스를 313억달러~317억달러로 제시했다. 또한 연간 조정 EBITDA 전망치를 5억5000만달러~5억8000만달러로 제시했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부터 조정 EBITDA 마진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 커머셜비히클그룹(CVGI)

- 지난 4분기 순손실이 3500만달러, 주당순손실이 0.15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주당순손실 0.03달러를 하회했다고 전했다. 4분기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90만달러로 지난해 기록한 830만달러 대비 급감했다.

- 2025년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6억7000만달러~7억1000만달러, 연간 조정 EBITDA 전망치를 2500만달러~3000만달러로 제시했다.

- 회사는 올해 긍정적인 잉여현금흐름(FCF)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며, 2026년 하반기까지 레버리지 비율을 2배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미국 통신사 버라이존(VZ), AT&T(T), T-모바일(TMUS)

- 버라이즌은 1분기 경쟁이 치열했다며 신규 가입자 유치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 버라이즌은 연간 가이던스에 대해서는 여전히 자신감을 표했다. 특히 세컨드 넘버 요금제 제공 영향을 제외할 경우 올해 후불제 휴대폰 순가입자 수는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 게임 및 레스토랑 체인 데이브&버스터스 엔터테인먼트(PLAY)

- S&P 글로벌은 미국 가계의 소비 여력 약화와 계획된 매장 확장·리노베이션이 고객 유입 및 동일매장 매출 회복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지 불확실하다는 점을 이유로 데이브&버스터스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 특히 저소득층 가계를 중심으로 지출 여력이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레스토랑과 엔터테인먼트 시설 양쪽에서 경쟁을 받고 있다는 점도 부담 요소로 지적했다.

- S&P는 데이브&버스터스가 7분기 연속 동일매장 매출 감소를 기록하고 있으며 앞으로 매출 성장률이 다소 개선되더라도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 미국 주택 건설업체 톨브라더스(TOL)

- 분기 배당금을 기존 0.23달러에서 0.25달러로 상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연간 배당금은 주당 1달러로 증가하며 이는 종가 106.83달러 기준 배당수익률 0.94%에 해당한다.

- 이번 배당은 오는 4월11일 기준 주주 명부에 등재된 주주를 대상으로 4월25일 지급될 예정이다.

■ 산업용 공조(HVAC) 솔루션 업체 모딘매뉴팩처링(MOD), 공조 시스템 제조업체 앱솔루트에어(AbsolutAire)

- 모딘매뉴팩처링은 앱솔루트에어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앱솔루트에어는 직접 연소 난방 및 환기 시스템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약 25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 인수 절차는 4월1일 완료될 예정이며 이후 모딘매뉴팩처링의 기후 솔루션 부문 내 난방 및 학교 실내 공기질(IAQ) 제품군에 통합될 예정이다.

 

[시간외 특징주]

■ 편의점 체인 케이시스제너럴스토어스(CASY)

-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3분기 실적을 발표했고, 2025회계연도 연간 실적전망을 상향조정하며 시간외거래에서 1.56% 상승한 384.39달러를 기록했다.

 

■ 안전장비 제조업체 캐드리홀딩스(CDRE)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과 25년 매출 전망을 하회를 발표하며, 시간외거래에서 6.02% 추가하락한 31.50달러를 기록했다.

 

■ 온라인 쿠폰 플랫폼 그루폰(GRPN)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며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4.92% 반등하며 10.25달러를 기록했다.

 

■ 친환경 신발 및 의류업체 올버즈(BIRD)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정규장에서 하락 마감했다. 매출이 시장 예상에 부합했으나 지속적인 매장 폐점 영향과 1분기 가이던스 부진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시간외거래에서 2.93% 반등하며 6.34달러를 기록했다.

 

■ 온라인 개인 스타일링 서비스 업체 스티치픽스(SFIX)

- 2024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적자 폭을 크게 줄이고 연간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시간외거래에서 19.63% 급등하며 5.03달러를 기록했다.

 

■ 의료기기 업체 지넥스(ZYXI)

- 미국 국방부 산하 건강보험사인 트라이케어의 지급 중단 조치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넥스는 트라이케어가 전체 매출의 최대 25%를 차지하는 주요 고객사라며 해당 보험사의 결정이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 지넥스는 비용 절감을 위해 전체 직원의 15%를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인력 구조조정이 주로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연간 약 35백만 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 지넥스는 오는 4월 트라이케어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며 보험금 지급이 재개될 수 있도록 충분한 근거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 시간외거래에서 17.57% 급락한 5.77달러를 기록했다.

 

■ 모기지 대출 및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파이낸스오브아메리카컴퍼니스(FOA)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적자 전환했다. 비용 증가로 인해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15.84% 급락한 17.84달러를 기록했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