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3/13 미국 특징주

머니프리웨이

2025.03.13

 

[특징주]

■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DA)

-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엔비디아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가 200달러를 유지하며 다가오는 GTC에서의 발표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차세대 GPU와 관련된 기술 업데이트, 자율주행차, 물리적 AI, 로보틱스, 양자 컴퓨팅 등 장기적인 성장 기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 웨드부시는 AI 혁명과 관련된 기술 주식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하며, 엔비디아와 같은 기업들이 향후 1년, 3년, 5년간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 웰스파고도 엔비디아의 매수 의견과 목표가 185달러를 유지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이후 나타난 시장의 혼란이 엔비디아 주식에 대한 좋은 매수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 시티그룹은 오는 17일부터 열리는 GTC컨퍼런스가 투자자들에게는 중요한 이벤트가 될 것이라며 투자자들의 초점은 블랙웰 울트라와 루빈의 사양, 그중에서 맞춤형 ASIC 솔루션 대비 추론성능에 맞춰져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 애플(AAPL)

- 모건스탠리는 애플에 대한 목표주가를 종전 275달러에서 252달러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 AI 기능을 탑재한 시리의 업그레이드가 연기되면서 아이폰에 대한 출하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며, 올해 아이폰 출하량이 2억3000만대로 전년대비 보합 수준을 보이다 2026년에는 2억4300만대로 전년대비 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 올해에만 20억 달러가량의 제품 투입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2026회계연도의 수익과 매출이 5%~6%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알파벳(GOOGL)

- 상업적 의도가 높은 검색 사용사례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눈에 띄는 변화나 하락세가 없다며 이는 구글의 생성형AI 혁신이 사용자들에게 전반적으로 보다 나은 검색엔진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은 기존 시장 수익률 상회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 테슬라(TSLA)

- 모건스탠리는 테슬라에 대한 ‘저점 매수’ 보고서를 내놓으며 주가 반등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 에버코어ISI는 테슬라에 대해 브랜드 가치 하락을 우려하며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제시하며 목표주가를 종전 270달러에서 235달러로 낮췄다. 올해 인도량 전망치를 188만대에서 175만대로 하향 조정

- 구겐하임은 테슬라에 대해 모델Y 수요 둔화가 우려된다며, ‘매도’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가를 기존 175달러에서 170달러로 하향조정했다.

■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PLTR)

- 팔란티어는 오는 13일 열릴 이벤트에서 기존 및 신규 고객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공개된 고객사에는 미국의 대형 약국 체인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WBA)와 글로벌 맥주 브랜드 하이네켄 등이 포함됐다.

- 팔란티어가 올해 31%의 매출 성장과 45%의 영업이익률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TSM)

- 엔비디아와 AMD, 브로드컴, 퀄컴에 인텔(INTC) 파운드리에 대한 공동 투자를 제안했다. 여기에는 TSMC가 인텔의 파운드리 부문을 운영하되 지분율은 50%를 넘지 않는 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 해당 논의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AI 서버 전문 기업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 로젠블레트가 매수 의견과 함께 60달러의 목표가로 커버리지를 시작하면서 슈퍼마이크로 주가는 급등했다. 현재 슈퍼마이크로 주가는 2026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약 11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 올해들어 34% 상승하며 S&P 500 지수에서 두 번째로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 AMD(AMD)

- JP모건은 AMD의 성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 이번주 AMD 리사 수 CEO와 투자자 미팅을 가졌고 두 자릿수 성장과 2025년 강력한 수익 달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확신할 수 있게 되었다.

- 그 가운데 AI GPU가 AMD의 주된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전력 관리 및 산업 자동화 기업 이튼(ETN)

- 키뱅크는 이튼(ETN)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가는 340달러로 제시했다.

- 11일 열린 투자자 행사에서 긍정적인 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튼은 2030년까지 연평균 6~9%의 매출 성장과 약 4%포인트의 영업이익률 개선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연평균 12% 이상의 순이익 성장을 실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여기에 인수·합병(M&A)을 통한 추가 성장 가능성도 열어뒀다.

- 레이몬제임스는 이튼의 발표에 대해 성장 목표가 현실적이고 매력적이라고 평가하며 매수 의견과 함께 380달러의 목표가를 제시했다.

■ 선런(RUN)

- 제프리스는 선런(RUN)에 대해 주거용 태양광 시장의 부진한 회복세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는 우려를 반영하며,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보유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4달러에서 8달러로 크게 낮췄다.

- 선런의 부채 대비 자기자본 비율(D/E)이 5.13배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현금 소진율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선런의 기업가치 대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비율(EV/EBITDA)은 327배로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운영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리미엄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노보노디스크(NVO)

- 스위스 제약사 로슈가 덴마크 바이오테크 기업 질랜드 파마와 비만치료제 후보 물질 개발을 위한 53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 이번 계약의 핵심은 페트렐린타이드(Petrelintide)라는 비만치료제 후보 물질로, 단독 요법 뿐 아니라 로슈가 개발 중인 GLP-1/GIP 작용제 CT-388과의 병용 투여 가능성도 함께 검토될 예정이다. CT-388은 노보노디스크의 오젬픽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지닌 약물이다.

■ 미국 식음료업체 펩시코(PEP)

- 제프리스는 펩시코(PEP)가 미국 사업 부진과 프리토레이 부문 회복 지연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하고 목표가를 기존 175달러에서 170달러로 내렸다.

- 펩시코의 국제 사업은 여전히 양호하지만 미국 내 사업이 주요 카테고리에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잃고 있다. 특히 스낵 사업을 담당하는 프리토레이 부문이 정상화 국면에서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으며 미국 내 음료 부문 역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 도미노피자(DPZ)

- 골드만삭스는 올해 S&P500지수에 대한 연말 목표치를 하향조정하며 시장 불확실성에서 안정적인 대안주로 도미노피자를 포함해 다수 종목을 꼽았으나 주가 반등에 큰 힘이 실리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 뱅크오브뉴욕멜론(BK)과 HP(HPQ),길리어드사이언스(GILD), 홈디포(HD) 등도 안정적인 성장주가 될 것이라고 평가

 

 

■ 우주 발사 기술 기업 로켓랩 USA(RKLB)

- 로켓랩은 에어버스로부터 신규 계약을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로켓랩은 에어버스의 원웹 저궤도 위성 100기에 탑재될 우주급 고효율 태양광 패널을 공급할 예정이다.

- 앞서 11일에는 독일의 레이저 통신 장비 제조업체 마이너릭의 지분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이너릭은 우주, 항공, 이동형 애플리케이션용 광학 레이저 통신 터미널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이번 인수는 로켓랩이 유럽 우주국(ESA) 및 유럽 방위산업 관련 계약에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로봇청소기 룸바로 잘 알려진 아이로봇(IRBT)

- 4분기 예상보다 큰 손실과 매출 감소를 보고했다. 주당순이익(EPS)은 -2.52달러로 전년 동기 -2.28달러보다 손실폭이 커졌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조정 EPS는 -2.06달러로 예상치 -1.73달러를 하회했다. 매출은 1억7200만달러로 전년대비 약 44% 감소하며 예상치 1억8100만달러를 밑돌았다.

- 현재 주력 대출기관과의 기존 대출 조건을 수정하고 추가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캐너코드 제뉴이티와 뱅크오브아메리카를 자문사로 고용해 회사 매각 등 전략적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탈렌에너지(TLN)

- 모건스탠리는 탈렌에너지(TLN)에 대해 전략적 운영과 성장 가능성, 아마존과의 파트너십 및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 증가 등을 주목하며,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243달러로 설정했다.

-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며 11개의 가스 및 석탄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 제약회사 바이킹 테라퓨틱스(VKTX)

-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VK2735 생산을 위한 위탁개발생산 전문업체 코든과 제조 계약 체결 로 경구용 VK2735 10억정 이상 생산 규모를 보장하며 향후 주사제 포함 확장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바이킹은 향후 3년간 코든에 1억5000만달러를 선지급할 계획이다.

- 트루이스트는 이 계약에 대해 세 번째 GLP-1 신약 출시 기업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하는 실질적 성과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번 계약은 인수합병(M&A) 가능성과 무관하게 바이킹이 반드시 확보해야 할 전략적 자산이라며 탑픽 선정 및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을 유지했다.

■ 서밋테라퓨틱스(SMMT)

- 에버코어ISI는 서밋테라퓨틱스(SMMT)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 수익률 상회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30달러로 설정했다.

- 서밋테라퓨틱스의 주요 약물 후보인 ‘이보네시맙(Ivonescimab)’이 키트루다(Keytruda)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서밋테라퓨틱스의 파트너인 중국의 아케소(Akeso)는 지난해 세계 폐암 학회에서 이보네시맙이 첫 번째 치료법으로 폐암 치료에서 키트루다를 능가하는 성과를 보였다고 전했다.

■ 편의점 운영업체 케이시스제너럴스토어스(CASY)

- 지난 분기 순이익이 871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2.33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8690만달러, 2.33달러 대비 소폭 증가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7% 상승한 39억달러로 월가 예상치인 37억달러를 상회했다.

- 2025년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0%에서 11%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연간 매출 및 운영비용 가이던스는 이전에 제시했던 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기타 뉴스]

■ 온라인 스타일링 업체 스티치픽스(SFIX)

- 지난 분기 순손실이 650만달러, 주당순손실이 0.05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순손실 3550만달러, 주당순손실 0.29달러 대비 손실폭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월가 예상치인 주당순손실 0.05달러에도 부합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5.5% 감소한 3억121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월가 컨센서스인 2억9810만달러를 웃돌았다.

- 이번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3억1100만달러~3억1600만달러로 제시했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11억4000만달러~11억8000만달러에서 12억3000만달러~12억4000만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온라인 제휴쿠폰 제공업체 그루폰(GRPN)

- 지난 4분기 순손실이 5070만달러, 주당순손실이 1.20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순이익 2770만달러, 주당순이익(EPS) 0.76달러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한 1억3040만달러로 월가 예상치인 1억2770만달러를 상회했다.

- 이번 1분기 매출이 1억1400만달러~1억17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월가 예상치인 1억1600만달러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4억9300만달러~5억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4억915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 캐피털원파이낸셜(COF)

- 에버코어ISI는 캐피털원파이낸셜(COF)이 디스커버를 인수하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투자의견을 기존 시장 수익률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200달러로 제시했다.

- 캐피털원 주가의 밸류에이션이 장기적으로 디스커버와의 합병 이후 수익 성장 가능성을 완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고 판단했다.

- 캐피털원은 지난해 353억달러 규모의 디스커버 인수를 발표했으며, 애널리스트는 해당 거래가 올해 2분기에 마무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 2025년과 2026년의 이익 전망치를 소폭 하향 조정했으며, 2027년 전망도 보수적으로 제시했지만, 주당순이익(EPS)이 연평균 17.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7년까지 유형 자기자본 수익률(ROTCE)이 19.5%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저장시설, 집하 시스템 운영업체 DT미드스트림(DTM)

- UBS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저장시설, 집하 시스템 운영업체 DT미드스트림(DTM)에 대해 수요처 내부 발전 계약 체결 전망, 신용등급 상승 가능성, 헤인즈빌 지역에서 저평가된 물량 증가 전망 등을 주요 성장 요인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102달러로 제시했다.

- 최근 미드웨스트파이프라인 인수를 통해 2029년까지의 프로젝트 수주 잔고를 기존 예상보다 10억달러 증가한 23억달러로 확대했다.

■ S&P글로벌(SPGI)

- 미즈호증권은 S&P글로벌(SPGI)에 대해 강력한 사업 모델과 기술 투자로 인한 수익성 증대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시장 수익률 상회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599달러로 설정했다.

- S&P글로벌의 강력한 경쟁 우위, 지속적인 가격 결정력, 우수한 운영 레버리지를 주요 모멘텀으로 꼽았다.

■ 미국 통신업체 버라이존커뮤니케이션스(VZ)

- 울프리서치는 비용 증가와 가입자 성장 둔화를 이유로 버라이존커뮤니케이션스(VZ)에 대한 투자의견을 ‘아웃퍼폼’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했다.

- 업계 최대 규모이자 가장 높은 가격대의 가입자층을 유지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차별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 소비자 후불제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된 점이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다. 버라이즌은 2024년 신규 가입자 증가 폭이 10만명에 그쳤으며 2025년 가입자 증가 목표도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 전문 의약품 업체 ANI파마슈티컬스(ANIP)

- JP모건은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이유로 ANI파마슈티컬스(ANIP)에 대한 커버리지를 개시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신규제시했다. 목표가는 85달러다.

- ANI파마슈티컬스의 브랜드 및 제네릭 의약품 포트폴리오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주력 제품인 코트로핀 겔은 영업망 확대로 안과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통풍성 관절염 등 신규 적응증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 알리메라(ALIM)로부터 유티크(Yutiq) 및 일루비엔(Iluvien)을 인수하며 제품 라인을 확장한 점도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재무적으로도 유동성이 탄탄해 향후 전략적 인수·합병을 통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 ANI파마슈티컬스는 CG온콜로지와 로열티 지급 문제로 법적 분쟁을 진행 중이다. JP모건은 이를 시장에서 저평가된 요소로 보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주가 상승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 유전 진단 전문업체 미리아드제네틱스(MYGN)

- 파이퍼샌들러는 최근 주가 조정 이후 반등 가능성을 이유로 미리아드제네틱스(MYGN)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11.50달러에서 12.50달러로 올렸다.

- 미리아드제네틱스는 유전 진단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높은 마진 구조를 갖추고 있다. 특히 신규 CEO인 샘 라하가 전략적 결정을 내리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면서 사업 재정비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 미리아드제네틱스는 PathoMx와의 AI 기반 진단 기술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검사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전자의무기록(EMR) 통합을 확대해 2026년부터 두자릿수 매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온라인 티켓 거래 플랫폼 비비드싯츠(SEAT)

- 4분기 순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총 주문 금액은 전년대비 11% 감소했다. 비비드싯츠는 경쟁 심화로 인한 여파가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7억3000만~8억10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제시된 가이던스의 중간값은 월가 예상치 8억15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디지털 중고차 경매 플랫폼 ACV옥션즈(ACVA)

-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AI 기반 제품 개선과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감으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했다.

- ACV옥션즈는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특히 온라인 침투율 증가와 ‘부가 서비스 상품’ 강화를 통한 딜러와의 협업 확대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 BofA는 2025년 자동차 시장이 전년대비 정체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ACV옥션즈는 AI 기반 혁신을 통해 업계 평균을 초과하는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기업 스포티파이 테크놀러지(SPOT)

- 스포티파이는 2024년 한 해 동안 음악 저작권자에게 총 100억달러를 지급했다. 이는 2014년의 10억 달러 대비 10배 증가한 수치다. 스포티파이는 2008년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누적 로열티 지급액이 600억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 스포티파이는 최근 2년 동안 작곡가 및 음악 출판권자에게만 약 45억달러를 지급했으며 지난해 음악 출판 부문 로열티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카지노와 호텔을 운영하는 보이드게이밍(BYD)

- 서스퀘하나는 보이드게이밍(BYD)의 기업 가치 재평가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긍정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79달러에서 77달러로 낮췄다.

- 최근 몇 년간 소비자들의 카지노와 엔터테인먼트 활동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스포츠 베팅과 온라인 카지노가 성장하는 시장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지속적인 투자와 지역 확장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보이드게이밍이 2027년까지 단기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시장 지위와 성장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 소프트웨어 기반의 모바일 광고 플랫폼 운영업체 앱플로빈(APP)

- DA데이비슨은 앱플로빈(APP)에 대해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을 언급하며 긍정적 전망을 제시했다.

- 앱플로빈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개발한 AI 기반 광고 플랫폼 액손2.0을 통해 모바일 게임 중심의 광고 시장에서 높은 광고 수익률(ROAS)을 창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이나 메타도 유사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지만 자체 플랫폼을 보유한 이들 기업에 비해 앱플로빈은 광고 네트워크 외부 고객 유치에 더 집중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 미국 신발업체 크록스(CROX)

- 루프캐피탈이 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투자 매력이 높아졌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면서 상승했다. 목표주가를 110달러로 제시했다.

- 글로벌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최근 주가가 조정받았지만 크록스의 실적기반이 견고하며 현재 주가 수준이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 크록스 경영진은 지난 2월21일 셰넌 시슬러 부사장은 4,659주를 주당 109.75달러에 매도했으며 애덤 마이클스 부사장도 1만5000주를 주당 106.69달러에 처분했다.

■ 마케팅 및 고객관리 솔루션 업체 허브스팟(HUBS)

- 바클레이즈는 AI 기반 수익화 전략과 가격 정책 변화가 성장 촉진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해 허브스팟(HUBS)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고 목표가를 815달러로 제시했다.

- AI 기술을 활용한 수익화 모델이 확대되면서 허브스팟의 매출 성장률이 중·장기적으로 20% 중반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존에는 허브스팟의 중소기업 고객 기반이 성장에 한계를 보일 것으로 우려했으나 AI를 활용한 사용량 기반 가격 모델이 추가적인 지출을 유도할 것으로 분석했다.

 

 

[시간외 특징주]

■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ADBE)

-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가이던스가 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간외거래에서 2.98% 하락하며 426.00달러를 기록했다.

■ 안미국 반도체업체 인텔(INTC)

- 신임 CEO로 립부 탄을 선임했다고 발표하며, 시간외거래에서 12.67% 급등하며 23.34달러를 기록했다.

■ 의류 소매업체 아메리칸이글 아웃피터스(AEO)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예상치와 일치했으나, 시간외거래에서 5.41% 하락하며 10.83달러를 기록했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