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머니프리웨이의 수익 농장

25/04/09 마감 및 관심주

머니프리웨이

2025.04.09

 

[금일 하락 이유]

- 4/9 미국 상호관세 발효 (한국 25%, 중국 104%)

- 신용 융자 반대매매 우려

- 환율 1480원 돌파

- 미국투자은행 S&P500 지수 10% 더 빠진다는 리포트

- 상장사 감사의견 거절로 인해 47개(57개)사 상폐 위기

- 인플레 공포로 인한 미 30년물 국채 금리 급등

 

[섹터분석]

■ 강관업체(Steel pipe)/ 조선/ LNG(액화천연가스) 등 - 韓대행-트럼프 통화 속 조선·알래스카·LNG·방위비 논의 소식 등에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하고 조선, LNG, 알래스카 합작투자, 방위비 등에 대해 논의. 이에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를 문제삼아 상호관세를 부과한 만큼, 미국산 LNG 수입 확대 등을 통해 무역수지를 개선해나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되고 있음.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과 조선 협력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힘.

▶ 강관업체(Steel pipe)/ 피팅(관이음쇠)/밸브테마/ 남-북-러 가스관사업 : 넥스틸, 동양철관, 휴스틸, 한선엔지니어링, 성광벤드, 화성밸브, 하이스틸 등

▶ 조선/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 HJ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국카본 등

■ 정치/인맥(이재명) - 이재명 대표, 이르면 10일 출마 선언 소식 속 상승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퇴로 당분간 박찬대 원내대표가 권한대행으로 경선을 비롯한 대선 과정 전반을 관리할 예정. 이 대표는 사퇴 직후 경선 캠프 인선 마무리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짐. 윤호중·강훈식 의원이 각각 선대위원장과 총괄본부장으로 사실상 내정됐으며,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한병도·박수현 의원의 합류도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음. 출마 선언은 이르면 10일, 늦어도 다음 주에는 이뤄질 전망.

▶ 디젠스, 오리엔트바이오, CS, 코이즈, 오리엔트정공 등

■ 아이폰 - 애플 주가 하락세 지속 속 시가총액 1위 반납 소식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가 美/中 관세 전쟁 격화 영향 등에 3대 지수 모두 하락한 가운데, 애플(-4.98%)의 주가가 하락세를 기록. 특히, 애플은 4거래일 연속 큰 폭으로 하락하며 시총 1위에서 밀려났음. 이는 애플이 중국 의존도 높아 美/中 관세 전쟁 격화에 따라 빅테크 중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으로, 애플은 주요 제품인 아이폰이 90%를 중국에서 생산, 조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웨드부시 증권 분석가 댄 아이브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으로 특히 큰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으며, 이에 따라 애플의 목표주가를 주당 325달러에서 250달러로 하향 조정한 바 있음.

▶ 앤디포스, 덕산네오룩스, 비에이치, 아이티엠반도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비트코인 가격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10시3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6% 가까이 하락한 75,600달러선에서 거래중. 빗썸과 업비트에선 1억1,300만원에서 거래되고 있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보복관세 50%를 포함해 총 10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양국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86개국에 11~50%의 상호관세를 예외없이 부과하기로 하는 등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가상화폐 투자심리가 악화되 고 있음.

▷비트코인 하락세 지속 속 밤사이 뉴욕증시에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11.26%), 마라 홀딩스(-6.57%), 코인베이스(-3.69%) 등 가상화폐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임.

▶ 컴투스홀딩스, 우리기술투자, 갤럭시아머니트리, 인바이오젠, FSN 등

■ 반도체 관련주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3.57%) 지수 급락 영향 및 반도체 공급망 대란 우려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美/中 관세전쟁 심화 등에 하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2.00포인트(-3.57%) 하락한 3,562.94를 기록. 엔비디아(-1.37%), AMD(-6.49%), TSMC(-3.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14%) 등이 하락.

▷美 상호관세가 발표된 가운데, 반도체 공급망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이 고질적인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예고했던 국가별 상호관세가 美 동부시간 기준 9일 0시1분(한국시간 오후 1시1분)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음. 한국은 25% 관세 대상에 포함됐으며, 베트남(46%), 태국(36%), 대만(32%), 일본(24%), EU(20%) 등도 고율의 관세가 부과됐음. 중국은 이보다 더 높은 104%의 관세가 적용됐음.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강경 기조로 반도체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특히, 반도체 제조 장비의 경우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고 있어 생산 비용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모습.

▷마이크론이 9일(현지시간)부터 일부 제품에 대해 '트럼프 관세'에 따른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TSMC는 美 정부로부터 10억 달러(약 1조4,800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제재 대상 기업인 중국 화웨이테크놀로지 제품에 들어간 칩 상당수를 TSMC가 생산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으로 전해짐.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테크윙, 한미반도체, 한화비전, ISC 등

■ 증권 - 증시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가 美/中 관세 전쟁 격화 영향 등에 3대 지수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음.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84%, 1.57%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15% 급락. 이에 금일 국내 증시도 외국인이 1조원 가까이 순매도를 나타내는 가운데,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음. 코스피지수가 2% 가까이 약세를 나타냈으며, 코스닥지수는 3% 가까이 급락세를 기록.

▷트럼프 美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강행하면서 9일 한국시간 기준 오후 1시1분을 기점으로 상호관세가 발효. 앞서 지난 5일부터 미국 수입품 전반에 대한 10%의 보편 관세가 부과됐으며, 특히 이날부터 중국의 경우 최대 104%의 관세를 물게 돼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을 비롯해 국가별로도 상호 관세가 발효되면서 각국이 추가 관세를 내게됐음. 한편, 중국은 미국의 대중국 50% 추가 관세 경고에 맞서 미국산 농산품 관세 대폭 인상과 축산품 수입 중단, 미국 기업 조사 등 ‘6대 대응 조치’ 리스트를 공개한 바 있어 美/中 관세 전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전망 되는 모습.

▶ NH투자증권, 한국금융지주, DB금융투자, LS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관심종목]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