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기타

보유

금이 아니라 은을 사는 이유

by 메르

2025.03.17 오전 08:06

금이 아니라 은을 사는 이유


- 링크 요약 - 

1. 은 투자 현황 및 수익률 분석

  • 투자 시점 및 배경: 2022년 10월 6일, "금이 아니라 은?"이라는 블로그 글을 통해 은 투자를 시작함. 당시 은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었고, 수요 증가 및 공급 부족 전망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함.

  • 투자 성과: 2022년 9월 2일, 은 가격은 최근 3년간 최저점인 17.67달러를 기록함.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현재 34.43달러임. 평단은 17달러 후반대로, 매우 성공적인 투자 타이밍을 잡음.

  • 포트폴리오 비중: 초기 포트폴리오에서 은 비중은 9%였으나, 최근 1%p를 추가하여 현재 10%를 보유함.

  • 금과의 비교: 금과 은 모두 투자하고 있으나, 은의 투자 수익률이 금을 압도함. 은 가격 상승폭이 더 크고, 달러 강세 효과를 추가로 얻었기 때문 (은은 달러 투자, 금은 원화 투자) 임.

  • 금 투자 히스토리: 2025년 2월 19일, 한국 금값에 김치 프리미엄(약 20%) 발생으로 금 전량 매도함. 2025년 2월 28일, 김치 프리미엄 15% 이상 하락으로 금 재매수.

2. 산업용 금속으로서의 은

  • 뛰어난 전기 전도율: 은은 모든 금속 원소 중 가장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가짐. 가격 문제로 구리가 널리 사용되지만, 성능 면에서는 은이 월등함.

  • 맨해튼 프로젝트: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프로젝트(맨해튼 프로젝트)에서 강력한 자기장 형성을 위해 은을 대량 사용함. 미국 재무부에 보관 중이던 은 1만 4000톤을 요청하여 전선으로 활용. 프로젝트 비용의 절반이 은값이었을 정도로 막대한 양이 사용됨. 전쟁 후 사용된 은의 99%를 회수하여 재활용함. 높은 재활용률.

  • 미래 수요 증가 요인: 초고속 통신망, 자율주행, AI 등 고성능, 고품질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은 수요 급증함. 테슬라 전기차 한 대당 모델에 따라 25~50g의 은 사용. 고사양 태양광 패널 한 장당 20g의 은 사용. 

3. 은의 공급과 수요 불균형

  • 흔싸귀비 (흔하면 싸지고, 귀하면 비싸진다): 은은 수요 증가 추세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 상승 압력을 받는 상황임.

  • 수요-공급 패턴: 은 생산량은 매년 약 2% 증가하는 반면, 수요는 4% 이상 증가하는 패턴 지속되고 있음.

  • 은광 고갈 위기: 현재 수준의 생산량이 유지될 경우, 채산성 있는 은광은 약 20년 내 고갈될 수 있음. 

4. 중국 경제 정책과 은 시장의 연관성

  • 산업용 금속 수요: 은은 금과 달리 대부분 산업용으로 소비되며, 특히 중국의 경제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됨.

  • 중국 경제 부양책: 중국 정부는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금리 인하, 재정 지출 확대 등 적극적인 부양책 시행 중임.

  • 은 수요 증가 전망: 중국의 경기 부양책은 단기적으로 은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높음.

5. 결론/투자전략

  • 현재: 금, 은, 구리(동) 가격이 모두 강세를 보이며, 마치 올림픽 메달 경쟁을 연상시키는 상황. 이는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태양전지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산업용 금속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

  • 은 투자의 장점: 금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헤지 및 안전 자산 역할 수행함. 산업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 가능성 높음.

  • 투자 전략: 포트폴리오에 일정 비율 금을 보유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며, 산업용 금속으로서의 성장 잠재력을 가진 은 역시 투자 가치가 높다고 판단됨.


한줄 코멘트. 금,은,동(구리)이 모두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올림픽의 메달경쟁을 보는듯하다. 산업재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은과 동(구리)이 AI, 데이터센터, 전기자동차, 태양전지등에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보험용으로 일정비율 금을 보유하는것도 좋지만, 보험용 의미가 있으면서 산업용 금속도 되는 은도 보유가치가 있다는 생각이다.

 

관련글(대체투자,버블,위기)

 

 


 

 

금이 아니라 은? : 네이버 블로그

금이 아니라 은?

최근에 댓글에서 포트에 달러와 은이 있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이웃 분들이, 왜 금이 아니라 은...

blog.naver.com

 

2022년 10월6일, "금이 아니라 은?" 이라는 글을 쓴적이 있다.

위 글의 한줄 코멘트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했다.

한줄 코멘트.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은 부족. 가격은 상대적 저가라면, 은을 넣어두는 것도 괜찮아보이네요

직전 3년을 보면, 은 가격이 가장 낮았던 때는 2022년 9월 2일의 17.67달러였다.

지금은 34.43달러까지 올라와 있다.

2022년 10월2일에 은 투자를 언급했으니, 꽤 가격이 바닥이던 시점에 언급하기 시작한 것이다.

포트폴리오에서 은의 평단이 17불 후반대인 것을 보면, 구입 타이밍은 좋았다.

포트폴리오에 9%를 가지고 있던 은은 최근 1%p를 올려서, 10%가 되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비슷하게 투자한 금과 은의 투자수익률은 은이 금을 압도하고 있다.

일단 금보다 은의 상승폭이 더 크다.

그리고, 은은 달러로 투자했고, 금은 한국 KRX에 원화로 투자를 한 차이가 있다 .

은은 달러가 강해지는 효과를 추가로 보면서, KRX 금 투자와 수익률 격차를 꽤 많이 내고 있다.

금은 25년 2월19일에 팔았다가, 열흘쯤 뒤인 2월 28일에 다시 샀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2월19일에 금을 정리하면서 아래 글을 썼다.

금을 모두 정리한 이유 : 네이버 블로그

금을 모두 정리한 이유

포트폴리오 변경이 있으면, 주절주절 카테고리에 기록을 하고 있다. 어제 포트폴리오를 일부 조정해서 기록...

blog.naver.com

 

금을 정리한 이유는 한국 금값에 김치프리미엄이 20%가까이 붙었기때문이다.

2월28일에 팔았던 금을 다시 샀다.

금을 다시 사는 이유 : 네이버 블로그

 

금을 다시 사는 이유

금을 모두 정리한 이유 : 네이버 블로그 2월 17일, 포트폴리오에 6%가 들어있던 국내금을 모두 정리했다. ...

blog.naver.com

 

 

열흘사이에 김치 프리미엄이 15%이상 빠졌기때문이다.

가만히 있었으면 열흘사이에 15%의 손실을 볼 뻔 했는데, 잘 피한것이다.

한국은 사람들이 쏠리면서, 가격이 과다하게 오르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이 너무 몰릴때는 잠깐 피해있는 것이, 자산을 지키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은이 금과 달리 산업용 금속으로 쓰이는 부분을 머리속에 넣어둘 필요가 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

은은 금속 원소들 중에 전기 전도율이 가장 높은 원소다.

대량으로 쓰기에는 은이 너무 비싸서, 은 다음으로 전도율이 높은 구리를 사용했을 뿐이다.

세계사를 보면, 구리가 아니라 은을 대량으로 사용해서, 전력망을 깔았던 적이 있었다.

미국이 원자폭탄을 만드는 맨해튼 프로젝트에서는 높은 수준의 자기장을 만들기위해 은을 사용했다.

맨해튼 프로젝트팀은 재무부에 포트녹스에 보관하던 은 1만4000톤을 요청했다.

포트녹스의 은으로 전선을 깔아버린 것이다.

맨해튼 프로젝트에 소요된 비용의 절반이 은값이었다.

맨해튼 프로젝트팀은 원자폭탄 제조가 완성되고, 2차세계대전이 끝난후에 은을 녹여서 다시 포트 녹스에 반환했다.

가져온 은의 99%가 반환되었을 정도로 은은 재활용율이 높은 금속이기도 하다.

맨해튼 프로젝트에 들어간 은은 사용후 반환되었으니, 프로젝트의 실제 비용은 절반으로 봐도 될 것 같다.

​ 통신망이 초고속으로 가고, 자율주행, AI 등 가격보다 성능을 우선시하는 부문에서 은의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 MeshCube, 출처

테슬라의 전기차 1대에도 모델에 따라 은이 25~50g이 들어가고, 고사양 태양광 패널 한장에도 은 20g이 들어 간다.

태양전지는 PERC에서 TOPCon,HJT로 점점 바뀌고 있다.

© angarav, 출처 Unsplash

PERC(Passivated Emitter Rear Cell)은 가격이 싸서 널리 사용되는 태양전지 기술이다.

​TOP(Tunnel Oxide Passivated Contact)는 터널 산화막을 사용해서 빛 손실을 줄이는 기법이고, HJT(Heterojunction Technology)는 가장 높은 효율의 고성능 태양전지다.

PERC 태양전지 1와트당 10밀리그램의 은이 들어가는데, TOP 방식에는 13밀리그램, HJT방식에는 22밀리그램의 은이 소비된다.

고성능 태양전지 비중이 늘어나면서 은의 수요가 늘어나는데, 중국이 국가급으로 미는 것이 전광리(전기차, 태양광, 이차전지)다.

트럼프도 풍력발전에는 부정적이지만, 태양광 발전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흔하면 싸지고, 귀하면 비싸지는 흔싸귀비에서도 은은 귀비가 되고 있다.

​은의 생산량이 매년 2%씩 증가하는데, 수요는 4%이상 늘어나는 패턴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 scottsdalemint, 출처 Unsplash

​새로운 초대형 은광을 발견하지 못하고, 지금의 은 생산량을 유지하면, 20년정도면 채산성 있는 은광이 사라지게 된다.

은의 원자재로서 가치를 중국과 엮어서 봐야한다.

© hannynaibaho, 출처 Unsplash

은은 금과 달리 산업용으로 대부분 소비되다보니, 중국이 성장을 위해 달리기 시작하면 은값이 반응하고는 했다.

중국은 경제성장을 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재정지출을 늘려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몰라도, 한동안은 중국의 부양책으로 은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 zlataky, 출처 Unsplash

한줄 코멘트. 금,은,동(구리)이 모두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올림픽의 메달경쟁을 보는듯하다. 산업재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은과 동(구리)이 AI, 데이터센터, 전기자동차, 태양전지등에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보험용으로 일정비율 금을 보유하는것도 좋지만, 보험용 의미가 있으면서 산업용 금속도 되는 은도 보유가치가 있다는 생각이다.

 

 

테슬라
전기차
중국
AI
데이터센터
태양광
전기자동차
흔싸귀비
태양전지
실질금리
교환비율
perc
top
hjt
김치프리미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

파머

콘텐츠 514

팔로워 12182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