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금 투자 근황(feat 중국과 인도)

by 메르

2023.03.22 오전 11:50

골드바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

파머

콘텐츠 534

팔로워 12319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21
0/1000
  • 377477 · 2년 전
    한 뼘 성장하고 갑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메르 · 2년 전
    359억이 아니라 35.9조원이 아닌지요. 금 광산 보유 및 채굴 회사 투자는 일반인에게 권하기는 쉽지 않지만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JohnFrusciante · 2년 전
    1. ETF나 KRX 금시장 거래 대신 금 광산 보유 및 채굴 회사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2. 세계 중앙은행 금 투자 이유가 통화 가치 방어 수단이라고 언급하셨는데, 그러기엔 매입 금액의 절대값이 너무 적지 않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2022년 3분기에 399톤을 매입하였는데, 1g당 90,000으로 계산해도 359억 밖에 안되는데 통화 가치 방어 수단으로 효과가 실제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 죄송합니다 제가 잘못 계산했네요
  • 오렌지보드 · 2년 전
    안녕하세요. 오렌지보드 관리자입니다. 댓글 줄바뀜 가능하게 개발자에게 요청했습니다. 곧 바뀔 예정입니다. 언제든 개선점 알려 주시면 달게 받겠습니다~.
    • 수퍼노바 · 2년 전
      감사합니다.
    • 투비더샤인 · 2년 전
      1. 어플로 게시글을 볼때, 최신글이 가장 상단에 올라오면 좋겠습니다. 2. 제가 하트를 누른 글은 메인 페이지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하는 등 읽었다는 표시가 나타났으면 좋겠습니다.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오렌지보드 · 2년 전
      @투비더샤인 
      샤인님, 관리자입니다. 의견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1. 현재 어플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업데이트 필요) 2. 개발자에게 전달하였습니다. 곧 적용될 거에요. 개선사항 더 말씀해 주시면, 최대한 반영하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___^
    • 투비더샤인 · 2년 전
      @오렌지보드 
      답변 감사합니다
    • 오렌지보드 · 2년 전
      @투비더샤인 
      2번 사항은 업무 우선순위에서 밀려서 적용이 늦을 것 같습니다. 요청이 빗발치면, 우선순위를 올려 보겠습니다. ㅜ
  • 이명규 · 2년 전
    오늘도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노을사랑 · 2년 전
    저는 금 현물(가공 X)부가세 일반과세자로 사압자가 있어 현금영수증 발행받아 부가세10% 환급 받았습니다. 그렇게 현물을 금고에 사놓은지가 2년됐는데 심리적으로 안정감있는건 맞네요. ^^ 은 구매는 알아봐야겠어요.글 잘봤습니다.
  • ᄏᄒ · 2년 전
    1. 현재 세계의 금은 중국(984톤)과 인도(849톤) 두나라가 80% 이상을 가져가고 있음. 2. 국가별 금 보유량을 보면, 인도 정부는 10위권 정도라 금이 많은 국가가 아님. 3. 인도는 민간의 금 보유량이 엄청난 특징이 있음. 4. 미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금이 8,100톤 정도인데, 인도 국민이 2만 4천 톤을 가지고 있음. 단위가 문제인지 개인적으로 이해가 어렵습니다...ㅜㅜ 1. 중국984톤 인도849톤 =>80% 4. 미국정부8,100톤 인도국민24,000톤 댓글은 줄바뀜이 안되어 읽기가 어렵네용 ㅜㅜ
  • 투비더샤인 · 2년 전
    은 투자방법에는 어떤것이 있나요? kodex 은선물. 아니면 은을 많이 들고 있는 jpm도 대안인가요?
  • 바닷속우체부 · 2년 전
    원자재나 달러 투자를 할 때 거래소 등과 같은 경로도 있지만, 보험 상품을 이용해서 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21년도부터 사업비율이 제일 적은 변액연금보험에 가입하여 펀드구성을 골드투자형 100%로 설정하여 헷지하고 있는 중입니다. 12년 납입에 80세만기 상품이라 상품거래수수료나 세금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유니버셜 기능을 활용하여 80세까지는 주식 외에 대체자산에 투자할 때 장기적인 포트폴리오 운용에 도움이 된다 보여서요. 금 투자 중에 정말 도움되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ㅎㅎ
  • 메르 · 2년 전
    KRX 거래도 좋은 방법입니다. 수수료가 0.3%정도라 높지 않고, 실물 인출만 하지 않으면 세금도 없습니다.
  • 앨리슨 · 2년 전
    감사합니다. 그런데 krx금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rx금시장에서 거래하면 각종 세금이 면제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Untitled · 2년 전
    방향성 잡기 힘든 시기에 도움을 많이 얻어갑니다. 고마워요^^
  • ad**** · 2년 전
    최근 메르님 블로그 우연히 발견하여 최근 쓰신 글 모두 읽고 있습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저도 금 은 투자 조금씩하고 있습니다. 실물로 구매하였는데, 농에 있는 녀석들 종종 꺼내어 보면 심리적 안정감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겠더라고요.
  • 카이 · 2년 전
    좋은 내용 공유에 감사드립니다.
  • 수퍼노바 · 2년 전
    제가 실수로 댓글을 삭제하여 새로 씁니다.. "메르님 글도 좋고, 감수인 의견도 좋습니다. 굿굿!!!" 이런 시기에 꼭 필요한 좋은 글을 올려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 메르 · 2년 전
    저도 감수인 의견이 마음에 듭니다.ㅍ^^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