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은 내렸고, 미국국채 금리는 장단기가 따로 움직인 의미 - 링크 요약 - 1. 미장 (미국 주식시장)
2. 미국 국채
3. 애플
한줄 코멘트: Steepening Yield Curve가 나타났다. 시장이 바닥을 치고 반등했다고 보기에는 불안한 신호가 나온것이다. 아직 시장이 안정된 것으로 볼 단계는 아닌것 같다. |
관련글 (시황,채권,금리,환율)
날짜 |
작성자 |
제목 |
2025. 4. 11 |
메르 |
|
2025. 4. 1 |
메르 |
|
2025. 3. 31 |
메르 |
|
2025. 3. 21 |
메르 |
|
2025. 3. 17 |
메르 |
|
2025. 3. 12 |
메르 |
|
2025. 3. 8 |
메르 |
|
2025. 3. 4 |
메르 |
|
2025. 3. 1 |
메르 |
|
2025. 2. 10 |
메르 |
|
2025. 1. 30 |
메르 |
|
2025. 1. 24 |
메르 |
|
2025. 1. 21 |
메르 |
|
2025. 1. 20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5 |
메르 |
|
2025. 1. 13 |
메르 |
|
2025. 1. 10 |
메르xOB |
|
2025. 1. 9 |
Keiway |
|
2025. 1. 7 |
메르 |
|
2025. 1. 6 |
메르xOB |
|
2025. 1. 6 |
메르 |
|
2024. 12. 26 |
Keiway |
|
2024. 12. 17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1 |
메르 |
|
2024. 11. 20 |
Keiway |
|
2024. 10. 12 |
메르 |
|
2024. 10. 12 |
메르 |
|
2024. 9. 9 |
메르 |
|
2024. 7. 30 |
메르 |
|
2024. 7. 25 |
메르 |
|
2024. 5. 29 |
메르 |
|
2024. 5. 4 |
메르 |
|
2024. 4. 17 |
메르 |
|
2023. 11. 23 |
메르 |
|
2023. 11. 1 |
메르 |
|
2023. 10. 23 |
메르 |
|
2023. 8. 10 |
메르 |
|
2023. 7. 29 |
메르 |
|
2023. 7. 27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6. 22 |
메르 |
|
2023. 6. 1 |
메르 |
|
2023. 5. 31 |
메르 |
|
2023. 5. 3 |
메르 |
|
2023. 4. 8 |
메르 |
|
2023. 3. 11 |
메르 |
|
2022. 10. 25 |
메르 |
|
2022. 10. 21 |
메르 |
|
2022. 4. 11 |
메르 |
1. 미장
미국 주식시장이 조금 내렸다.
나스닥이 4.31%, S&P가 3.46% 하락한 것이다.
예전같으면 폭락이라고 했는데 워낙 변동이 심하다보니 이정도는 폭락으로 보이지 않는다.
트럼프의 관세부과 90일 유예로 오랜만의 호재에 시장이 환호했는데, 지나고 보니 해결된 것은 없다는 것을 깨닫은 것 같다.
어제 3월 CPI가 나왔는데 예상보다 낮게 나왔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왔으면, 과거 기준으로 호재인데 시장이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아직 관세효과가 반영되기 전이라서, 본게임이 남아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2. 미국국채
미국국채는 장단기가 다른 방향을 보여줬다.
장기국채 금리는 올랐고, 단기국채 금리는 내려갔다.
장기금리가 상승하고 단기금리가 하락하는 것은 Steepening Yield Curve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보통 이런 현상이 나오면, 리스크관리와 포트폴리오 배분전략을 재검토하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게 된다.
현금과 단기채권 비중을 높이고, 장기채권이나 하이일드(저신용등급 고금리)채권 비중을 낮추는 식으로 대응을 하게된다.
주식은 소비재, 헬스케어등 경기방어형 비중을 높이고, 성장주와 장기금리 상승에 취약한 부동산 관련주 비중을 낮추게 된다.
단기금리가 하락한다는 것은 경기 둔화나 침체, 금융시장 불안등을 예상하고 시장이 움직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정규모 이상의 투자자들이 현금확보를 할때는, 확보된 현금을 예금으로 두는 경우는 잘 없다.
이자를 주면서 안전자산인 미국국채에 자금을 넣어두게 되고, 보통 이런자금은 단기국채로 들어가게 된다.
버크셔 헤서웨이의 워런 버핏이 이런 스타일이다.
장기금리가 상승하는 것에 대한 정파적 해석은 인플레이션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에 반영되면,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올 것이고, 이것이 금리에 반영되는 것이다.
이럴경우 TIPS가 인기를 끌게된다.
TIPS는 실질금리를 보장해주는 물가연동국채로, CPI가 올라가면 그만큼 이자를 더 주기때문에 인플레이션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에 미국국채 10년물이 크게 움직인 것에 대한 사파적 해석은 일본을 지목하고 있다.
중국이 범인이 아니라 일본쪽이 원인이라는 이야기가 돌고있다.
일본정부가 팔았다는 말은 아니다.
일본계 헤지펀드가 미국국채 10년물을 가지고 60배 레버리지를 돌리다가 청산 당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
이런것은 시간이 좀 지나야 확인된다.
3. 애플
계속 흘러내리던 애플이 하루에 15%이상 폭등한 뒤, 다시 상승분을 일부 반납을 했다.
트럼프는 중국에 관세를 145%(125%+20%)까지 올렸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에서 80%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애플 주가가 크게 올랐던 것은 트럼프에 대한 기대가 있었던 것 같다.
트럼프가 일부 미국기업의 관세 면제를 고려중이라는 발언을 했고, 애플이 수혜를 받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들어온 것 같다.
트럼프가 "일부 대기업은 관세때문에 힘들어 졌습니다. 어떤 기업은 그 특성상 더 크게 타격을 받을 수도 있죠. 한번 살펴 볼겁니다. 이것은 연필로 계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본능적인 판단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라고 발언한 것이다.
해리스에게 선거 기부금 96%를 몰빵한 애플에 대해서는 도와줄 마음이 없을듯하지만, 트럼프라 예상이 힘들다.
한줄 코멘트. Steepening Yield Curve가 나타났다. 시장이 바닥을 치고 반등했다고 보기에는 불안한 신호가 나온것이다. 아직 시장이 안정된 것으로 볼 단계는 아닌것 같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