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의 후티반군이 가져오는 나비효과 (feat 방위산업, 주한미군) - 링크 요약 - 1. 예멘 내전 상황, 종파 구도
2. 후티 반군의 공격, 사우디의 방어
3. 한국 무기 도입
4. 천궁-II, 천무
5. 미국-이란 갈등 고조
6. 국내 영향
7. 미국의 대(對)후티 군사작전 확대
한줄 코멘트. 한국과 관련없는 미국의 후티반군 공격도 연결해서 보면 한국도 영향권에 들어가는 상황임. 주한미군의 MD자산 이동은 한국 입장에서 신경쓰이는 일은 맞음. 세상은 연결되어 있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관련글 (후티반군,예멘,중동)
250422 예멘의 후티반군이 가져오는 나비효과 (feat 방위산업, 주한미군)
241001 이스라엘, 예멘 반군 폭격의 의미(feat 후티, 이란)
231207 UAE와 후티반군 근황(feat 방위산업, 예멘, 이스라엘)
230315 이란과 사우디, 전쟁과 평화 근황(feat 중국 vs 미국)
220423 중동 정세의 핵심. 종교전쟁
미국이 예멘의 후티반군에 대해서 공습을 계속 하고 있다.
후티반군은 이에 맞서서, 미국 항공모함 2척에 드론과 미사일을 발사하고, 이스라엘에 탄도탄을 쏘고 있다.
상황이 좀 더 커질것 같고, 한국에도 영향이 있을것 같아서 정리해 본다.
늘 그렇듯이 시작부터 많이 돌아간다.
1. 현재 이슬람교의 종파구도는 85%가 수니파이고, 15%가 시아파라 시아파가 열세인 상황임.
2. 시아파의 종주국인 이란은 수니파에 비해 열세인 시아파 국가를 늘리는 것이 최대 숙제임.
3. 예멘은 시아파와 수니파가 내전을 벌이고 있음.
4. 정확하게는 수니파와 시아파간 양자대결이 아니라 3파전임.
5. 시아파 후티 반군(녹색), 수니파 정부군(분홍)이 싸우고 있고, 남예멘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남부 과도위원회(노랑)도 있음.
6. 남부 과도위원회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이 강한 사회주의 세력임.
7. 정부군과 후티 반군이 싸우다 힘이 빠지면, 빈집을 남부 과도위원회가 차지하는 식으로 세력을 늘리고 있음.
8. 예멘의 시아파 반군을 후티반군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모하메드 알 후티가 반군을 결성하고 지도자가 되어 그의 이름을 딴 것임.
9. 이란은 예멘을 시아파국가로 만들려고 후티반군을 지원하고, 수니파 종구국 사우디는 이것을 막으려고 예멘 정부군을 지원하고 있음.
10. 후티 반군이 예멘의 수도를 점령한 상태라 우세한 상황임.
11. 후티반군은 무장 측면에서는 정부군보다 약하지만, 전투의지가 강해서 계속 이기고 있음.
12. 반면에, 사우디에게 첨단 무기를 공급받는 예멘 정부군은 전투의지가 약해서 조금만 불리하면 항복을 하며 연전연패를 하고 있음.
13. 예멘의 후티 반군이 강한 이유는 시아파중에서도 전투력을 숭배하는 자이드파라서 그럼.
14. 시아파는 3개의 종파로 나눠지는데, 이란이 속한 12이맘파가 전체 신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큰 파벌임.
15. 천주교의 교황과 비슷한 시아파의 최고지도자를 이맘이라고 부르는데, 이란은 역대 12명의 이맘을 골고루 신봉하는 12이맘파임.
16. 같은 시아파지만 예멘의 시아파들은 12명의 이맘 모두를 믿는 게 아니라 5번째 이맘을 따르고 있음.
17. 자이드 이븐 알리가 5번째 이맘임.
18. 예멘의 시아파를 5이맘파, 자이드파 등으로 부르는 이유임.
19. 자이드파가 5번째 이맘을 믿는 이유는, 5번째 이맘인 자이드 이븐 알리가 전투력이 가장 강했던 이맘이기 때문임.
20. 5이맘파(자이드파)는 시아파 중에서도 전투력을 숭배하는 종교집단이고, 이들이 예멘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말임.
무기 들고 경비 서는 예멘 후티 반군
21. 5이맘파가 무장 조직을 만들어 예멘 정부군에 대항하고 있는 것이 후티 반군임.
22. 이란이 소총 등 기본 장비만으로 무장된 후티 반군에게, 드론과 탄도미사일, 순항미사일 등을 대량으로 지원하고 있음.
23. 신앙심이 강한 전투민족이 수니파와 내전으로 전투 경험이 쌓였고, 여기에 이란제 무기가 공급되고 있는 것임.
24. 2015년, 후티 반군은 정부군이 장악한 수도를 접수하고 예멘 정부를 황무지가 많은 남쪽으로 밀어냄.
25. 수니파인 예멘의 하디 대통령은 수니파 종주국 사우디로 도주를 해서 도움을 요청했고, 사우디가 참전을 하게 됨.
26. 사우디는 2만5천회의 공습으로 후티반군을 공격했지만, 스킬 부족으로 피해는 거의 못 입히고 2만여명의 민간인 피해만 내게 됨.
27. 확전을 우려한 미국이 사우디의 후티반군 공격을 반대하다 보니, 미국의 정찰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전폭기 공습이 이뤄진 것임.
28. 개인 휴대폰으로 폭격 지시를 하는 수준으로 공격이 이뤄져, 군사시설을 제대로 타격하지 못해고 민간인 피해만 발생하게 됨.
29. 사우디가 공격을 하자, 후티반군은 이란에게 지원받은 드론과 미사일로 사우디 아람코 석유시설을 지속적으로 공격하고 있음.
30. 2021년에는 드론 14대와 탄도미사일 8발로 아람코 유전을 공격했고, 탄도미사일 중 2발을 요격했지만 6발이 정유시설에 떨어짐.
31. 사우디의 방공망이 한 번만 뚫린 것이 아님.
32. 2022년 3월에도 미사일 공격에 석유시설에 불이 나는 등 현재의 방어 체계로는 미사일과 드론 공격에 제대로 방어를 못하고 있음.
33. 사우디가 미국이 제공한 방공망에 의심을 가지기 시작한 계기임.
34. 미국이 제공한 방공망은 패트리엇과 사드 미사일 포대였는데, 드론을 막기에는 가성비가 너무 나쁘고, 가까운 거리에서 낮은 고도로 날아오는 후티 반군의 단거리미사일을 제대로 요격하지 못하고 있는 것임.
35. 하마스에게 수시로 단거리 로켓 공격을 받고, 이것을 방어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에 사우디가 욕심을 내는 이유임.
36. 아이언 돔은 미사일 1발에 2~5만 불 정도라, 1발에 700만 불 이상 나가는 패트리어트 3 보다 가성비가 월등하고, 실전에서 방어력도 충분히 검증이 된 방어체계인 것임.
37. 사우디와 UAE는 유전과 왕궁 등 주요시설에 아이언 돔에서 애로 3로 이어지는 이스라엘 대공 방어체계를 깔려고 했었음.
38. 2022년 7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유가를 잡기위해 바이든이 사우디를 방문함.
39. 바이든은 사우디로 바로 가지않고 이스라엘을 경유해서 사우디로 이동하였음.
40. 이스라엘에 아이언 돔의 사우디 제공을 허용해주고, 사우디의 원유 증산을 얻어내려고 했던것임.
41. 사우디의 빈 살만은 바이든의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았음.
42. 바이든이 사우디를 방문한 후, 빈 살만은 10만배럴이라는 모욕적인 수준의 증산을 발표하면서, 바이든에게 치욕을 안겨주게 됨.
43. 사우디의 빈 살만은 자존심을 지켰지만,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은 확보를 하지 못한채 시간이 흘러가게 됨.
44. 사우디의 걱정은 사우디 유전지역에 대한 안전임.
45. 빈 살만이 바이든을 푸대접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의 푸틴이 약속한 대공 방어 미사일시스템이 있어서였음.
46. 푸틴이 사우디에 러시아제 방공 미사일인 S-300 미사일과 S-400 미사일을 주겠다고 제안 한 것임.
47. 러시아의 미사일은 모든 방향에서 대응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어 사우디 입장에서 패트리어트의 대안이 될 수 있었던 것임.
48. 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면서 러시아제 무기의 신뢰도가 크게 낮아지게 됨.
49. 러시아 대공미사일이 사우디에 도입되어도, 미국무기들로 구성된 사우디 방어체계에서 제 성능을 내기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함.
50. 후티반군의 미사일이 유전과 왕궁을 계속 노리자 사우디는 급한 상황이 된 것임.
51.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노획한 서방 무기들이 후티반군에 흘러들어가며 후티반군의 무장이 더 탄탄해지기 시작함.
52. 사우디가 원하는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공격적 태도로 물건너간 상황이 됨.
53. 이런 상황에서 한국제 천궁-Ⅱ가 사우디의 눈에 들어옴.
54. 천궁-Ⅱ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주도로 개발된, 중고도 지대공 요격 무기체계임.
55. 탄도탄과 항공기를 동시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고도 10~40km이내에서 접근하는 적 항공기와 미사일이 요격대상임.
56. 천궁-Ⅱ는 1개 발사대에서 8기의 유도탄을 연속발사 할 수 있고, 수차례 시험발사에서 모두 명중률 100%를 기록하고 있음.
57. 한국제 무기는 사우디가 운용하고 있는 서방제 무기체계와 충돌하지 않고, 빠른 시간에 공급이 가능함.
58. 사거리 70km를 방어하는 이스라엘 아이언 돔의 하위호환으로 사거리 40km의 한국제 천궁-Ⅱ를 배치하는것이 차선으로 보이게 됨.
59. 40km이내는 천궁-Ⅱ가 가성비 있게 방어하고, 중장거리는 미제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사드로 방어하는 체계가 나오게 됨.
60. 천궁-Ⅱ의 사우디 도입이 확정된 배경임.
61. UAE 국방부가 한국의 천궁을 4조 원어치 구입하기로 했다고 국방부 트위터에 주절거려서 한국을 곤란하게 한 적이 있음.
62. 무기 수출을 공개하면, 이란과 후티반군등의 표적이 되는 것을 우려해서 비밀로 하기로 합의했는데 UAE가 공개를 해 버린 것임.
63. 사우디와 UAE외에 이라크도 국방장관을 보내서 한국의 천궁-Ⅱ 구매를 타진했고, 수출 계약 체결 공시가 나옴.
한국산 중거리 지대공 무기체계 천궁-Ⅱ.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64. 이라크가 요청한 것은 3조 5000억 원 규모의 천궁-Ⅱ 8개 포대로 알려지고 있음.
65. 이라크는 8개 포대 중 2개 포대의 우선 납품을 요구하고 있음.
66. 천궁-Ⅱ는 사우디와 UAE에 각각 10개 포대 물량이 발주되며, 풀가동에 들어간 상황임.
67. 이라크가 요구하는 것은 한국군이 운용하고 있는 기존 2개 포대를 우선 납품하고 한국군은 신상품을 받아가라는 것임.
68.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천궁-Ⅱ는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려고 개발된 미사일임.
69. 20㎞ 내에서 북한 전술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고, 최대 50㎞ 거리의 적 항공기도 격추할 수 있음.
70. 천궁-Ⅱ는 한국군에 20여 개 포대를 배치하는 양산을 시작했는데, 사우디와 UAE, 이라크에서 28개 포대 물량이 발주된 것임.
북한이 5월 30일 김정은 국무 위원장 참관 하에 실시한 초대형 방사포 위력시위 사격. 뉴시스
.
71. 천궁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KAMD)의 핵심 자산으로 미사일과 통합 체계는 LIG 넥스원, 레이더는 한화 시스템, 발사대와 차량은 한화 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생산하고 있음.
72. 천궁이 인기를 끄는 상황에서 공격형 무기인 천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기 시작함.
73. 천무(K-239)는 군단급 다연장로켓포로 개발되었지만, 전술 탄도미사일도 장착이 가능한 타격체계임.
74. 천무의 약점은 실전경험이 없는 것이었음.
75. 사우디가 예멘 후티반군의 드론기지를 정밀하게 포격하는데 성공하며, 천무(K-239)가 실전경험을 하게 됨.
76. 사우디는 무기구입을 비밀로 하고 있기때문에 공식적으로 천무가 도입되었다는 공시는 없음.
77. 사우디가 자체적으로 올린 국방부장관의 포병부대 격려방문 영상에서 한국의 천무 2문이 발견되어 확인이 된 것임.
78. 천무의 성공적인 실전경험이 공유되면서, 폴란드,노르웨이,루마니아등에서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임.
79. 예멘반군이 먼나라 이야기 같아도, 이렇게 돌고 돌다보면 한국과도 연결이 된다는 말을 한 것임.
80. 트럼프는 25년 3월초, 이란 최고지도자인 하메네이에게 서한을 보내서 2개월 시한을 제시함.
81. 이란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폐기와 관련된 실질적인 협상안을 2달안에 가져오지 않으면 군사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경고를 한 것임.
82. 이란은 트럼프에게 답변을 보내는 대신에 중국과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음.
83. 이란은 46만명의 정규군과 12만명의 혁명수비대와 예비군을 합치면 동원가능한 병력이 96만명에 달하는 국가임.
84. 항공기등은 많이 낙후되었지만, 미사일과 드론에는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고, 오랜기간 쌓아놓은 재고도 엄청난 수준임.
85.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경우, 이동식 발사대로 수시로 위치를 바꾸며 요새화된 지하시설에 보관하고 있음.
86. 미국 이지스함등의 방어체계가 막강하지만,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다량의 미사일 공격에는 약점을 보일수 있음.
87. 미국은 서태평양에서 작전중이던 칼 빈슨 항모 전단을 중동으로 이동시키고 있고, 기존 트루먼 항공모함 타격전단에 합류하고 있음.
88. 미국은 칼빈슨과 트루먼 이외에도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각 1개씩 항모전단을 중동으로 보낼 준비를 하고 있음.
89. 대서양에 있는 제럴드 R 포드전단과 태평양의 니미츠 전단임.
90. 4개 항모전단이 트럼프가 경고한 2개월 시한이 끝나는 5월중에 중동에 모일수 있음.
91. 영국은 F-35B 24대를 실은 프린스 오브 웨일즈 항모가 포함된 제25항모타격전단을 출격시켰고, 4월 1일에는 프랑스의 샤를 드골 전단이 지부티에 입항한 것이 확인됨.
92. 미국 항모전단에 영국과 프랑스 항모전단이 모두 합류하면 걸프전 이후 처음으로 6개 항모전단이 중동에 집결하는 것임.
93. 이외에도 미국이 보유한 B-2A의 3분의1에 달하는 스텔스 폭격기 6대를 테헤란에서 5,200km 떨어진 디에고 가르시나에 전개함.
94.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에 F-15E·A-10C 등 전술기와 KC-135 지원기가 대거 증원된 정황도 보이고있음.
95. 3월 30일, 미국 NBC방송은 미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서 "패트리엇 2개 시스템과 사드 1개 시스템이 아시아 지역에서 반출되어 중동으로 간다"고 보도를 함.
96. 3월 28일부터 3월 31일까지 20대에 달하는 C-17A 수송기가 오산공군기지를 이륙해서 바레인의 이사 공군기지로 날아감.
97. 주한미군은 패트리엇 포대가 한국에서 중동으로 이동한 것은 인정하지만, 사드는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음.
98. 아시아에서 사드 미사일이 배치된 국가는 한국뿐이라, NBC의 미 국방부 관계자의 말이 맞다면, 사드도 같이 이동을 했을 것임.
99. 주한미군이 한국에 배치한 패트리엇은 PAC-3 사양으로, 최신형 사양임.
100. 한국군이 보유하고 있는 천궁-Ⅱ의 1.5~2배에 달하는 요격 범위로, 한미연합군의 핵심 MD(미사일 방어) 자산중 하나임.
101. 사드는 한국군에는 없는 종말단계 상층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고도 150㎞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방어하고 있음.
102. 패트리어트와 사드가 빠져나간게 사실이라면, 한미연합군의 MD 전력에 큰 구멍이 생겼다고 봐야할 것 같음.
103. 주한미군 전력을 주일미군으로 이동하는 정황도 보이고 있음.
104. 미국은 주한미군의 4개 비행대에 90여대의 전투기를 가지고 있는데, 4분의 1에 해당하는 A-10C 24대를 철수시킨다고 발표함.
105. 반면에 주일미군에는 F-35A/C와 F-15EX를 추가배치하고 있음.
106. 예멘 정부는 후티반군의 근거지인 북부 항구도시 호데이다를 탈환하기 위한 대대적인 공세를 준비하고 있음.
107. 예멘 정부군은 이것을 위해 병력 8만명을 동원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고, 미국이 공중공습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함.
108. 트럼프는 홍해상 '항해의 자유'를 회복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반군의 힘을 확실하게 빼려고 하는중임.
한줄 코멘트. 한국과 관련없는 미국의 후티반군 공격도 연결해서 보면 한국도 영향권에 들어가는 상황임. 주한미군의 MD자산 이동은 한국 입장에서 신경쓰이는 일은 맞음. 세상은 연결되어 있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