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희토류 전쟁과 새로운 암호화폐 근황(feat 환율,브릭스,금)

by 메르

2023.04.12 오전 11:39

희토류
암호화폐
비트코인
브릭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

파머

콘텐츠 534

팔로워 12329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15
0/1000
  • ke-ni · 2년 전
    현재 미국의 과하다싶은 대응으로 보면, 패권이 중국으로 기운다는게 느껴지네요. 싫지만 가까운 시일내에 중국이 패권을 차지할 듯합니다. 일당독재의 강력한 정치체제 또한 지금과 같은 시기에선 나아보입니다. 제대로 밀고나가기만 한다면
  • 이명규 · 2년 전
    여러 전망을 알아볼 수 있게 정리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에디트 · 2년 전
    지난 환율 전망에서 9월 WGBI 편입 이벤트 이후 강달러가 예상된다고 하셨는데 8월 브릭스 회의에 디지털위안이든 금본위 위안이든 기축통화 논의가 진행된다면 달러의 힘은 점점 더 약해지는 그림 아닌가요? 지금도 후반기 강달러 예상하고 계신가요??
    • 메르 · 2년 전
      미래 특히 환율을 어떻게 알겠습니까. 그 시점이면 부채한도, 브릭스회의가 끝난 시점이니 큰 변수들이 지난 상태라 좀 더 가능성 높은 판단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지요. 예상 자체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작용에는 반작용도 있어서요
  • 페탈로스 · 2년 전
    RE100 제도 추진을 더디게 만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견과 글 작성해 주신 점에 대해 항상 감사드립니다.
  • 냠냠후루룩 · 2년 전
    방구석에서 이런 귀한글을 접할 수 있어 항상 감사하네요. 브릭스 암호화폐가 자리 잡는 과정에서 비트코인은 퇴물이 되는 걸까요? 진짜가 나타나게되면 현재 코인판은 자연스레 정리가 되는건지 궁금해지네요. 달러를 많이 보유해서 환율에 민감한데 코멘트 진심 감사합니다. 덕분에 큰 흐름을 잡고 바라보고 있습니다.
    • ahn · 2년 전
      정말 맞다면 퇴물되지 않을까요? 누가 비트코인사겠어요
  • 이종희 · 2년 전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달러는 앞으로 계속 상황이 안좋을까요 ?
  • 화니yTM4 · 2년 전
    최근에 메르님 블로그를 접했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투자포인트에서 엔화 상승을 노리라고 하셨는데 엔화의 상승을 생각하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메르 · 2년 전
      기준금리를 계속 유지하기 힘들다고 봐서 입니다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오렌지보드 · 2년 전
      저는 ''엔화로 벌어 보자'의 의미보다 포트폴리오 수비수 역할(자산배분)로 엔화를 편입할 만하다' 로 이해했습니다. '국제정세상 달러 약세 분위기가 형성되면, 최근 3년간 하락하고 있는 엔화의 안전자산으로써의 상대 매력이 부각받을 수 있다' 의미의 엔화 투자입니다. 그리고 일본은 여전히 저금리 상황입니다. 오렌지보드에 게시된 '브라질의 위안화 결제 배경과 전망(feat 환율, 엔화)' 를 안 읽으셨으면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저자가 아니어서 답변에 한계가 있습니다. 양해 부탁 드립니다. (글을 쓰고 있는 중에 답변을 다셨네요)
    • 화니yTM4 · 2년 전
      @메르 
      감사합니다.
  • LTH · 2년 전
    결국 2단계까지는 무난히 진행될거 같고 3단계가 애매하네요. 3단계까지 빠르게 진행했다가 미국에서 그린란드를 통해 희토류 과잉공급을 해버리면 화폐가치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테니깐요.
  • 오윤호 · 2년 전
    브릭스세력의 양대축인 중러가 일인독재국가라는 점이 현재까진 강력한 추진력과 확고한 방향성이라는 강점으로 작용해왔으나 미국이라면 그 이면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약점을 제대로 찔러주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아무리 미국이 고깝게 굴어도 중러에게 패권이 넘어가는 꼴은 상상하기 싫네요. 글 잘 봤습니다.
  • 신동인 · 2년 전
    항상 왜 에대한 질문을 가지고만 있고 찾아볼 생각은 않는 우매한 중생에게 왜에대한 명쾌한 답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