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크 요약 - 1. 대만 전력난 심화
2. 산업용 전기 요금 상승
3. 탈원전 정책의 영향
4. 지진 발생 증가
5. 결론 (본문 차용) 한줄 코멘트. 대만 TSMC는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과 전력부족, 초대형 지진등이 마이너스 요인임. 대만정부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한국보다는 낮게 유지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쉽지는 않은 상황임. 대만의 경우 중국방향에서 7이상의 지진이 일어나면, 여파가 커지는 구조임. |
관련글 (반도체,AI)
발행일 |
작성자 |
제목 |
2025. 2. 3 |
메르 |
|
2025. 2. 2 |
메르 |
|
2025. 2. 1 |
메르 |
|
2025. 1. 31 |
메르 |
|
2025. 1. 29 |
메르 |
|
2025. 1. 28 |
메르 |
|
2024. 12. 24 |
메르 |
|
2024. 12. 20 |
메르 |
|
2024. 12. 20 |
메르 |
|
2024. 12. 3 |
메르 |
|
2024. 11. 11 |
메르 |
|
2024. 9. 8 |
메르 |
|
2023. 11. 21 |
메르 |
|
2023. 10. 6 |
메르 |
|
2023. 9. 4 |
메르 |
|
2023. 7. 17 |
메르 |
|
2023. 5. 23 |
메르 |
|
2023. 5. 15 |
메르 |
|
2023. 3. 5 |
메르 |
|
2023. 2. 8 |
메르 |
|
2022. 12. 25 |
메르 |
|
2022. 11. 27 |
메르 |
|
2022. 10. 11 |
메르 |
|
2022. 8. 22 |
메르 |
|
2022. 6. 30 |
메르 |
|
2022. 5. 1 |
메르 |
|
2022. 3. 26 |
메르 |
TSMC도 나름의 고민이 있는것 같아서, 정리해 봅니다.
1. 2025년, 대만 전체전력의 12.5%를 TSMC 1개 회사가 쓰게 됨.
2. 진행중인 대만내 TSMC 공장증설을 감안하면, 2030년에는 TSMC가 대만 전체 전력의 24%를 사용할 것이라고 보고 있음.
3. TSMC외에도 대만의 산업용 전력 수요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
4. 대만의 주력산업인 반도체가 에너지를 엄청나게 소비하는 사업이기 때문임.
5. 24년 5월,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취임사에서 대만을 인공지능(AI) 섬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함.
6. 반도체 이상으로 AI도 전기먹는 하마임.
7. 대만의 전기수요는 기업수요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난다는 말임.
8. 2023년기준 대만의 경쟁력중의 하나는 낮은 전기요금이었음.
9. 기업이 사용하는 일반 산업용 전기요금을 비교(23년말 기준)하면, 한국이 kWh당 139원인데 비해서, 대만은 105원선임.
10. 야간전력을 비교해도, 한국이 102원, 대만이 70원이며, 초고압이 들어가는 대규모 공장은 한국이 94원, 대만이 66~88원 수준임.
11. 월 1000만kWh를 산업용 고압으로 사용하면, 한국이 140억원의 전기료가 나오는데, 대만은 105억원이 나오는 정도임.
12. 대만의 전기요금이 크게 낮아 보이지만, 이것도 상당히 오른 요금임.
13. 대만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2022년 15%, 2023년에 17%가 인상되며 매년 오르고 있고, 이것이 반영된 숫자임.
14. 대만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2024년이후에도 계속 오르고 있음.
15. 2024년에도 최대 25%, 평균 15%가 올랐고, 2025년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의 전기요금 인상을 예고하고 있음.
16. 특히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TSMC와 같은 반도체 기업은 24년에 최고인상률인 25%가 적용되어서 전기료 부담이 올라가고 있음.
17. 대만정부는 가정용 전기요금 인상폭을 최소화하는대신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폭을 높이는쪽으로 요금인상을 진행하고 있음.
18. 2025년 4월에 예상한 수준으로 산업용 전기요금이 올라가면, 산업용 전기요금 측면에서 한국과 차이는 사라지게 됨.
19. 대만 TSMC의 경쟁력중 하나가 삼성전자보다 낮은 전기료가 사라지는 것임.
20. 발단은 2016년으로 올라감.
21. 2016년 1월, 대만의 민진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탈원전을 추진하기 시작함.
22. 일본과 대만에서 큰 지진이 동시에 일어나자, 차이잉원 전 총통은 2025년까지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쇄하겠다고 발표한 것임.
23. 차이잉원은 원전을 없애고 대만의 에너지 믹스를 LNG 50%, 석탄 30, 재생에너지 20%로 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24. 대만에는 6개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었고, 신베이시에 신규원전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음.
25. 6개의 원전중 5개의 원전이 2019년 부터 2024년까지 순차적으로 가동을 중단함.
26. 건설중이던 신규원전은 2021년 국민투표에 의해 90%이상 공사가 진행된 상태에서 건설이 중단됨.
27. 6개 원전중 5개 원전이 가동중단되다보니, 대만에 남은 원전은 핑둥현에 있는원전 1기만 남아있었음.
28. 2025년 5월에는 마지막 남은 1개 원전의 가동이 중단될 예정임.
29. 탈원전을 시작하기전에는 대만 전력발전에서 원전 비중이 12%까지 차지했는데, 올해 5월이면 원전비중이 0가 되는 것임.
30. 대만의 고민은 탈원전은 계획대로진행되었지만, 신재생에너지에서 예상했던 발전량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임.
31. 신재생에너지를 25년까지 20%비중을 맞추겠다고 했는데, 현재 9.5% 비중에 불과함.
32. 석탄발전도 친환경이슈로 중단하다보니, 대만은 LNG발전으로 90%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3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LNG가격이 오르자, LNG를 100% 수입하는 대만전력공사의 적자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함.
34. 대만은 전기요금을 올릴수 밖에 없었고, 2024년에 총통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동시에 있다보니 가정용은 거의 올리지 못했음.
35. 전기요금 인상이 산업용에 집중된 이유임.
36. TSMC의 영업이익률이 좋으니, 전기요금 조금 더 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정전도 문제임.
37. 전력 예비율이 10% 밑으로 떨어지면, 정전 가능성이 높아짐.
38. 안그래도 부족한 전기에, 올해 5월, 마지막 원전이 중단되면 대만의 전력 예비율은 7%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39. 24년 6월, 엔비디아,폭스콘등이 입주해 있는 타이베이 일대에 대규모 정전이 발생함.
40, 원전을 하나씩 중단하는 2019년이후 수백만가구가 정전피해를 본 대규모 정전사태가 4차례나 발생하고 있음.
41. 새로 총통으로 선출된 라이칭더는 최근 국가기후변화위원회를 구성하면서 탈원전 포기를 주장하는 인사들을 다수 포함시킴.
42. 라이칭더의 임기이후인 2030년 원전 재개를 논의해 보자는 수준임.
43. 논의를 시작해도 원전사업을 다시 시작하기 쉽지가 않음.
44. 탈원전 선언이후 대학의 원전학과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기존인력들이 원전을 운용하는 해외로 이직해서 인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임.
45. 대만의 탈원전은 나름 이유가 있음.
46. 대만은 일본만큼 지진이 심한 국가이기때문임.
47. 대만은 큰 산맥이 국토 가운데를 지나가는 나라임.
48. 대만의 대부분 지진은 태평양에 접한 쪽에서 일어나고 있음.
49. 대만의 주요 도시와 TSMC 등 중요 제조업들은 태평양 쪽이 아니라 중국 쪽에 접한 평지에 건설되어 있음.
50. 반도체 공정은 잠깐만 가동을 멈춰도 라인에 깔려있는 모든 웨이퍼를 버려야 함.
51. 지진이 나면 가동을 멈춘후 조금이라도 틀어진 부분이 없는지 하나하나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것이 모두 비용으로 들어감.
52. 대만의 경우 태평양쪽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재가동에 시간이 걸리는등 손해를 보지만 기본시설에는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음.
53. 7 이상의 지진이 중국 방향에서 발생하면 큰 피해가 날 가능성이 높음.
© tents_and_tread, 출처 Unsplash
54. TSMC에 크게 영향을 주는 대만 지진은 중국 방향에서 일어나는 7 이상의 지진이라고 기억하면 될듯함.
55. 2024년부터 대만에 지진이 점점 자주 발생하기 시작함.
56. 2024년 4월 3일, 25년만에 최대 강진이 대만 태평양쪽에서 일어남.
57. 25년 1월 21일에도 태평양쪽에서 진도 6.4의 강진이 나서, TSMC 웨이퍼 6만장이 손상을 입었고, 여진이 계속 발생하고 있음.
58. 25년 1월 30일에도 5.6의 지진이 발생함.
59. 발생빈도와 추세를 보면 여진 수준이 아니라 초대형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는 상황임.
60. 일본과 비슷한 지진지대에 있다보니, 전기가 부족하지만 원전사업 재개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임.
61. 대만은 전력부족으로 신규 데이터센터의 건설승인이 중단되는등 전력 부족이 산업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음.
한줄 코멘트. 대만 TSMC는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과 전력부족, 초대형 지진등이 마이너스 요인임. 대만정부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한국보다는 낮게 유지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쉽지는 않은 상황임. 대만의 경우 중국방향에서 7이상의 지진이 일어나면, 여파가 커지는 구조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