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크 요약 - 1. 과거 경기 위축 시 Fed 대응과 자금 흐름 패턴
2. 최근 달러 약세 현상과 '달러 스마일' 이론의 불일치
3. 미 국채 금리 급등 및 달러 약세 원인 분석 (한국은행 해석 중심)
4. 향후 Fed의 대응 가능성과 시장 전망
한줄 코멘트. 미국국채와 달러를 안전자산으로 보지않는 시각이 강해지면서, 달러 스마일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해석을 한국은행이 하고 있음. 같은 생각임. SLR규제 완화등으로 연준이 빠르게 움직일지가 관전포인트가 될 것 같음. |
관련글 (시황,채권,금리,환율)
날짜 |
작성자 |
제목 |
2025. 4. 14 |
메르 |
|
2025. 4. 11 |
메르 |
|
2025. 4. 1 |
메르 |
|
2025. 3. 31 |
메르 |
|
2025. 3. 21 |
메르 |
|
2025. 3. 17 |
메르 |
|
2025. 3. 12 |
메르 |
|
2025. 3. 8 |
메르 |
|
2025. 3. 4 |
메르 |
|
2025. 3. 1 |
메르 |
|
2025. 2. 10 |
메르 |
|
2025. 1. 30 |
메르 |
|
2025. 1. 24 |
메르 |
|
2025. 1. 21 |
메르 |
|
2025. 1. 20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5 |
메르 |
|
2025. 1. 13 |
메르 |
|
2025. 1. 10 |
메르xOB |
|
2025. 1. 9 |
Keiway |
|
2025. 1. 7 |
메르 |
|
2025. 1. 6 |
메르xOB |
|
2025. 1. 6 |
메르 |
|
2024. 12. 26 |
Keiway |
|
2024. 12. 17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1 |
메르 |
|
2024. 11. 20 |
Keiway |
|
2024. 10. 12 |
메르 |
|
2024. 10. 12 |
메르 |
|
2024. 9. 9 |
메르 |
|
2024. 7. 30 |
메르 |
|
2024. 7. 25 |
메르 |
|
2024. 5. 29 |
메르 |
|
2024. 5. 4 |
메르 |
|
2024. 4. 17 |
메르 |
|
2023. 11. 23 |
메르 |
|
2023. 11. 1 |
메르 |
|
2023. 10. 23 |
메르 |
|
2023. 8. 10 |
메르 |
|
2023. 7. 29 |
메르 |
|
2023. 7. 27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6. 22 |
메르 |
|
2023. 6. 1 |
메르 |
|
2023. 5. 31 |
메르 |
|
2023. 5. 3 |
메르 |
|
2023. 4. 8 |
메르 |
|
2023. 3. 11 |
메르 |
|
2022. 10. 25 |
메르 |
|
2022. 10. 21 |
메르 |
|
2022. 4. 11 |
메르 |
달러가 생각보다 약해지고있고, 과거 패턴과 다른듯한 모습이 보여서 정리해 봅니다.
월요일 출근을 앞둔 시간에 어울리는, 머리 아픈 내용 일 수 있습니다.
늘 그렇듯이 크게 돌아갑니다.
1.2001년경 미국은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기 시작함.
2. 경기가 위축되자 미국 Fed는 금리를 인하했고, 돈을 풀어서 경기를 부양함.
3. 당시 Fed의장은 앨런 그린스펀이었고, 6%대 였던 기준금리를 2년만에 1%대까지 빠르게 낮춤.
4. 1%대 기준금리는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저금리 였음.
5. 금리는 돈의 가격으로 볼 수 있음.
6. 돈이 흔해지면 돈의 가격인 금리가 내려가고, 돈이 귀해지면 비싼 이자를 주고라도 돈을 구하려 해서 금리는 올라 가게 됨.
7. Fed가 기준금리를 1%까지 낮춘다는 것은 돈의 공급을 늘려서 흔하게 만들겠다는 말이었음.
8. 달러를 뿌려서 공급이 많아지면, 달러가 흔해지고, 흔해진 달러는 약해지기 시작함.
9. 금리가 낮아지고 달러가 약해지면, 달러는 신흥국으로 흘러감.
10. 돈은 통화가 강하고, 금리가 높고, 성장을 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속성이 있음.
11. 돈은 미국에 뿌렸지만,미국의 기준금리가 낮아지고 달러약세가 되면,그 돈의 상당부분이 금리가 높은 국가에 흘러가게 되는 것임.
12. 저금리에 돈이 많이 풀리면 주식시장도 달아오름.
13. 돈이 흔해지면 내가 산 주식을 더 비싸게 사줄 사람이 쉽게 생기게 되고, 주가지수도 오르게 됨.
14.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는 법이고, 이 로직이 반대로 감기기도 함.
15. Fed가 인플레이션을 잡는다고 달러 유동성 공급을 줄임.
16. 달러 유동성 공급이 줄어들어 달러가 부족하니, 달러 가치가 올라가고, 돈이 마르기 시작하니 주식시장이 얼어붙기 시작함.
17. 이머징국가에 뿌려진 돈들도 금리가 높아진 미국으로 돌아가게 됨.
18. 신흥국에 투자된 자금이 미국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면, 해당국 통화를 달러로 바뀌서 돌아가게 됨.
19. 외환시장에 달러 수요가 많아지고, 달러 가치가 하늘로 뛰어 올라가게 됨.
20. Fed가 금리를 올리고 유동성을 축소하면, 신흥국에서 자금이 유입되며 달러가치가 오르는 강세가 시작되는 것임.
21. 달러는 경제가 호황일때도 강하지만 경제가 침체로 들어가도 강해진다는 경제학자 스티븐 젠의 달러 스마일 이론이 이것임.
22. 시장은 달러 스마일 이론에 따라 달러가 강해지는 그림을 그렸는데, 예상했던 강세는 아직 오지않고 있음.
23. 욕조의 온도조절레버를 온수로 돌려도 바로 뜨거운 물이 안나오듯이 시차가 있어서 그럴수도 있음.
24, 하지만, 다른 해석도 나오고 있음.
25. 달러가 안전자산에서 이탈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음.
26. 위험회피심리(risk-off)가 강해지는데, 미국국채 금리가 오르고, 달러화 지수(DXY)가 하락하고 있는 이상현상이 보이고 있는것임.
27. 미국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이유로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등의 정파적인 해석과 포지션 청산등의 사파적인 해석을 이야기 했었음.
28. 날씨가 추워지면 두꺼운 패딩을 입어서 보온을 하는 방법이 있고, 얇은 옷을 여러겹 겹쳐입어 몸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이 있음.
29. 얇은 옷을 여러겹 겹치는 것을 레이어드라고 하는데, 현재상황이 여러가지 요인들의 레이어드에서 오는것 같다는 해석이 나옴.
30. 개인적인 해석이 아니라 한국은행의 해석임.
31. 기존글에서 일본계 헤지펀드가 미국국채10년물로 60배 레버리지를 돌리다가 청산 당했다는 루머가 돌았다고 이야기를 했음.
32. 해당 루머를 언급하고 이틀정도가 지났지만, 레딧에서 이런 풍문이 도는 것 외에는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음.
33. 한국은행이 국채금리 떡상이유중 하나로 헤지펀드등 단기투자자의 포지션 청산을 이야기하고 나와서 어느정도 확인이 된것 같음.
34. basis trade는 현물가격과 선물가격간의 가격차이(basis)를 이용해서, 현물과 선물을 사고 팔면서 이익을 얻는 차익거래 방법임.
35. 헤지펀드들이 미국채 현물을 매수한 뒤 비슷한 만기의 미국채 선물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베이시스 트레이드 전략을 수행해왔었음.
36. 두개의 가격차이는 미미하지만, 이것을 60배의 레버리지로 돌리는 것은 다른 문제임.
37. 국채 가격이 조금만 내려가도 투자금의 전액손실이 발생하는 고위험 투자임.
38. 금리가 급등(국채가격 급락)하자 현물가격이 하락하면서 강제청산이 발생했고, 이것이 다시 국채매도를 부르며 일이 커졌다고 함.
39.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헤지펀드의 청산외에 두가지 이유를 추가로 들고 있음.
40. 회사채 금리가 오르면서, 회사채 발행 보다 은행대출로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며 은행의 여유자금이 줄어들고 있다고 함.
41. 은행은 여유자금이 부족하니 국채 매수를 줄였고, 기존국채도 팔아서 유동성을 확보하다보니 국채를 흔싸로 만들었다는 것임.
42. 한은은 이런 추정을 금리Swap 스프레드로 크로스체크함.
43. 은행은 기업에 주로 변동금리대출을 하는데, 금리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Swap을 하게 됨.
44. 금리Swap이 늘어나면 Swap 스프레드가 감소하게 되는데, 실제로 최근 Swap 스프레드가 크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임 .
45. 금리가 급등락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다보니, 대형 금융기관들이 증거금 비율을 올린것도 국채금리가 오른 이유중의 하나임.
46. 증거금 비율이 오르면, 국채로 베이시스 트레이딩을 하는 헤지펀드들은 레버리지를 줄이게되고, 국채매도가 나오게 됨.
47. 또 다른 이유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국채를 사지않고, EU와 일본국채를 사들이고 있다는 것임.
48. 위험(Risk)의 다른 표현이 변동성임.
49. 미국채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면서 변동성이 커졌고, 시장은 국채에 변동성에 맞는 Risk 프리미엄(가산금리)을 요구하기 시작함.
50. 환헤지와 Risk 프리미엄을 감안하면, 미국국채 10년물을 사는것보다 독일이나 일본국채를 사는것이 이익이 되기 시작했다는 것임.
51. 미국국채를 매수하던 자금이 EU와 일본으로 몰리면서, 미국국채 가격이 내려서 금리가 오르고, 달러가 약해지고 있다는 것임.
52. 과거 이런상황이 발생하면 연준이 금리를 내리고 돈을 풀어서 해결해 옴.
53. 아직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다보니 연준이 이런 전통적인 방법을 쓰기 힘든 상황임.
54. 연준은 대형은행의 SLR을 완화해서 국채수요를 증가시키고, BTFP(미국국채 담보대출)를 재개하는 방법을 쓸수가 있음.
55. 이런 편법은 전통적인 방법보다는 효과가 크지 않고 일시적임.
56. 재무부가 바이백을 세게 하든지, 연준이 장기국채를 매수하는 오프레이션 트위스트를 추가해서 효과를 키울 수 있음.
57. 4월 15일(한국기준 16일)을 지켜볼 필요가 있음.
58. 4월15일은 미국의 세금납부 마감일로, 보통 3천억달러 수준의 시장 유동성이 세금납부로 흡수됨.
59.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이 시장에 영향을 줘서 변동성을 일으키는 트리거가 될 수도 있음.
한줄 코멘트. 미국국채와 달러를 안전자산으로 보지않는 시각이 강해지면서, 달러 스마일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해석을 한국은행이 하고 있음. 같은 생각임. SLR규제 완화등으로 연준이 빠르게 움직일지가 관전포인트가 될 것 같음.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