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전쟁과 엔비디아의 상황(feat DeepSeek,트럼프) - 링크 요약 - 1. 미중 반도체 전쟁 배경
2. 중국 반도체 자급률 실적
3. 중국의 디스플레이 성공 사례
4. 미국의 반도체 규제
5. 엔비디아의 대응과 중국의 인해전술
6. 추가 규제 및 트럼프 행정부 움직임
7. 결론 (본문 차용)한 줄 코멘트. 트럼프가 딥시크에 대해 "딥시크의 AI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해 보인다. 미국 산업이 (중국과의) 경쟁에 극도로 집중해야 한다는 경종을 울렸다."라는 생각보다 점잖은 반응을 내놓았다. 개인적으로는 트럼프의 이 발언이 평소의 과격한 발언보다 느낌이 강하다. 조용하게 으르렁거리는 개가 시끄럽게 짖는 개보다 더 위험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관련글 (반도체,AI)
발행일 |
작성자 |
제목 |
2025. 2. 1 |
메르 |
|
2025. 1. 31 |
메르 |
|
2025. 1. 29 |
메르 |
|
2025. 1. 28 |
메르 |
|
2024. 12. 24 |
메르 |
|
2024. 12. 20 |
메르 |
|
2024. 12. 20 |
메르 |
|
2024. 12. 3 |
메르 |
|
2024. 11. 11 |
메르 |
|
2024. 9. 8 |
메르 |
|
2023. 11. 21 |
메르 |
|
2023. 10. 6 |
메르 |
|
2023. 9. 4 |
메르 |
|
2023. 7. 17 |
메르 |
|
2023. 5. 23 |
메르 |
|
2023. 5. 15 |
메르 |
|
2023. 3. 5 |
메르 |
|
2023. 2. 8 |
메르 |
|
2022. 12. 25 |
메르 |
|
2022. 11. 27 |
메르 |
|
2022. 10. 11 |
메르 |
|
2022. 8. 22 |
메르 |
|
2022. 6. 30 |
메르 |
|
2022. 5. 1 |
메르 |
|
2022. 3. 26 |
메르 |
반도체 관련 여러 가지로 변수들이 나오고 있어서, 상황을 정리해 봅니다.
1. 2015년,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에서 시진핑은 '중국 제조 2025'를 선언함.
2. '중국 제조 2025'는 반도체에 1조위안(170조원)을 투자해서 반도체 자급률을 '20년 40%, '25년 70%까지 올리겠다는 것이었음.
3. 중국 제조 2025를 발표했던 2015년의 중국 반도체 자급률은 6%였음.
4. 반도체 자급률이 6%라는 말은 94%를 외국에서 수입한다는 말임.
5. 중국은 세계 1위의 반도체 소비국이지만, 자국기업이 거의 없어서 TSMC나 삼성전자등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임.
6. 반도체 자급률 40%를 목표로 한 2020년이 왔지만, 중국 반도체 자급률은 16%에 그치게 됨.
7. 2020년에 중국이 소비한 반도체는 1천4백억 달러(200조 원)로, 이 중에서 중국이 생산한 반도체는 227억 달러였음.
8. 목표는 크게 미달했지만, 2015년에 6%였던 자급률이 5년 만에 16%까지 올라온 것은, 선방한 것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음.
9, 하지만, 세부 상황을 뜯어보면 상황이 달라짐.
10. 2020년 중국에서 생산한 227억달러에는 TSMC와 SK하이닉스,삼성전자의 중국공장에서 나온 144억 달러가 포함되어 있었음.
11. 중국기업만의 매출은 83억 달러, 6%에 불과해서, 자급률에 진전이 별로 없다고 볼수도 있는 것임.
12. '중국제조 2025'를 선언한 2025년이 드디어 왔음.
13. 25년 연말 실적은 10년전인 2015년에 목표한 자급률 70%에 크게 못 미치는 19.4%정도가 될 것이라고 함.
14. 미국이 열 일을 한 결과임.
15. 중국은 디스플레이의 성공사례를 참고해서 전략을 수립했었음.
16. 1993년 중국 국영기업이었던 베이징진공관공사에 다니던 직원들이 징둥팡 기술 그룹을 창업함.
17. 징둥팡 기술 그룹은 2001년까지만 해도 일본 기업들의 디스플레이를 위탁 생산하는 하청업체에 불과했음.
18. 2002년, 한국의 현대전자(현재 SK하이닉스)가 부실화되면서 비주력 사업을 매각함.
19. 매각 대상 중에는 현대전자 LCD 사업부에서 분사한 하이디스가 있었음.
20. 2002년 11월, 징둥팡기술그룹은 1억 8700만 위안(3,500억 원)으로 한국의 하이디스를 인수함.
21. LCD 패널 및 평면 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을 확보한 것임.
22. 징둥팡은 인수 즉시 LCD 공장의 제조 라인과 주요 연구원들을 중국으로 데리고 갔고, 2006년 베이징과 청두에 LCD 공장을 세움.
23. 중국에 LCD 공장이 완공되자, 하이디스 경영권을 포기해서, 하이디스는 법정관리 및 구조조정을 거치며 먹튀를 당함.
24. 하이디스의 기술과 인력으로 건설한 중국 공장은 낮은 인건비와 정부 지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서 세계 시장에 진출함.
25. 하이디스를 인수해 세계시장에 진출한 징둥팡기술그룹이 현재 전 세계 LCD 1위를 차지하고 있는 BOE(베이징 둥팡전자)임.
26. 2021년, BOE는 아이폰에 OLED패널을 공급하며 삼성과 LG디스플레이에 타격을 가하게 됨.
27. 중국은 LCD 시장에서 BOE의 성공 경험을 반도체에 도입하려고 했었음.
28. YMTC와 SMIC(중신궈지)에 국가 반도체 펀드 자금을 몰아주며 해외공장 인수가 가능한 기업을 찾기 시작한 것임.
29. 미국은 중국의 해외기업 인수를 허용하지 않았음.
30. 해외 반도체공장 인수가 힘들어지자, 중국은 자국내 패키지 기업들의 사업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함.
31. 반도체는 설계회사가 가장 돈을 많이 벌고, 반도체 제조사, 상품화를 시키는 패키징 회사 순으로 영업이익률이 낮아지는 구조임.
32. 패키징은 노동력이 중요해서 중국이 많이 했고, 미국은 이것을 엔비디아나 인텔 같은 업체들이 상품화해서 판매하는 구조로 돌아감.
33. 정부의 지원을 받은 중국 패키징 기업들이 제조까지 하겠다고 나서게 됨.
34.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반도체 개발을 계속하자 미국의 대응도 강해지기 시작함.
35. ASML 등이 중국기업에 장비를 공급하는 것을 규제하려면 미국 기술이 일정 비중 이상 포함돼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었음.
36. 미국은 일정 비중이 아니라 하나라도 미국 기술이 포함되면 수출 자체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규제를 2022년에 추가함.
37. 같은 해 8월에 미국 상무부는 ‘군사 목적 전용 가능성’을 명분으로 미국산 고성능 AI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추가로 규제함.
38. 당시, 미국의 중국 수출 규제에 가장 직격탄을 맞은 업체로 알려진것은 고성능 GPU ‘A100’을 생산하는 엔비디아였음.
39. 당시 엔비디아는 중국 데이터센터 칩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음.
40. 미국의 고성능 반도체 수출규제가 시작되자, 22년 11월 16일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이 시장의 관심을 끌었음.
41. 관전포인트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규제로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에서 어느 정도 매출 타격을 입었을까'가 였음.
42. 3분기 실적을 보니 의외의 결과가 나왔음.
43.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이 시장 전망치보다 훨씬 좋게 나왔던 것임.
44. 중국 매출이 줄기는 커녕 전년 동기 대비 31%나 증가한 결과가 나온것임.
45. 엔비디아는 미국 규제를 준수해서 ‘A100’을 중국에 직접 수출하지는 않았음.
46. 미국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범위에 저촉되지 않는 ‘A800’이라는 저사양의 데이터 센터 칩을 만들어 중국에 수출한 것임.
47. ‘A800’은 미국의 반도체 규제를 피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속도를 초당 400기가 바이트(GB)로 낮춘 모델임.
48. ‘A100’의 초당 600GB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저사양인 것임.
49. 'A100'도 생각보다 매출이 떨어지지 않았음.
50. 베트남, 싱가포르등에 매출이 증가했던 것임.
51. 625전쟁때 중국군은 압도적인 병력투입으로 승리를 가져가는 '인해전술'을 운용했었음.
52. 중국군은 국공내전에서 항복한 국민당 패잔병과 신병들을 선두에 세워서 국군의 탄약을 소비시키고, 잘 훈련된 잔여인력이 2차 공격을 함.
53. 화력이 충분한 미군에게는 먹히지 않던 전법이라, 포병 등 화력이 약한 한국군이 배치된 지역을 중심으로 인해전술을 운용함.
54. 모택동은 ‘인민의 목숨은 깃털보다 가볍다‘고 주장했고, 중국군은 "적이 10만발의 총탄을 가지고 있다면 10만 1명의 병사를 보내서 이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
55. 한국전쟁에 투입된 중공군 92만명중
20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온 이유임.
56. 중국군의 피해가 엄청났지만, 이들의 공격을 받는 한국군 시각에서는 죽여도 죽여도 계속 올라오는 적을 맞이하게 되는 것임.
57. 인해전술은 중국 특유의 질로 안되면 양으로 커버하는 전략이었음.
58. 중국은 반도체에서도 인해전술과 비슷하게 저사양 반도체와 장비를 대량 투입해서 성능 차이를 극복하는 전략을 운용함.
59. A100이 막히자 저사양인 A800을 더 많이 때려 넣어 성능 저하를 어느 정도 커버를 해버리니, 엔비디아의 매출이 늘어난 것임.
60.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고 싶지만, 동시에 미국 기업의 이익은 잃고 싶지 않은 상반된 마음이 있었음.
61. ‘스펙 다운’ 규제만으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는게 잘 먹히지 않았다는 결과가 최근 나옴.
62, 앤비디아는 2020년에 출시된 A100보다 최대 7배의 성능이 향상된 H100을 출시함.
63. A100과 마찬가지로, 중국에는 H100을 공급하지 않았고, 저사양인 H800만을 공급하게 됨.
64. 결국, 중국의 딥시크(DeepSeek)는 고성능 H100이 아니라, 저사양 H800으로 성능을 뽑아냈다고 주장하고 나서게 됨.
65. 트럼프가 백악관에서 스타게이트를 발표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딥시크를 이슈화시킨 중국에 백악관은 강한 불쾌감을 느낀듯함.
66. 미국은 추가규제를 준비하기 시작함.
67. 1월29일,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수출통제 범위 확대 가능성을 거론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나옴.
68. 저사양 품목까지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말임.
69. 엔비디아도 어느 정도 대비는 하고 있었음.
70. 새로운 GPU인 RTX50의 중국 수출용으로 RTX5090D를 준비해 왔고, H800의 성능을 추가로 낮춘 H20을 공급하고 있었음.
71. RTX5090D는 RTX50에 비해 성능을 29% 낮추고, 추론과 연산기능을 뺀 모델임.
72. 저사양으로 결과를 뽑아내는 중국을 확인한 미국정부가 이 정도 다운그레이드로 RTX5090D의 중국 수출을 허용할지 지켜봐야 함.
73. 기존 규제에 맞춘 H20도 추가규제 대상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임.
한 줄 코멘트. 트럼프가 딥시크에 대해 "딥시크의 AI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해 보인다. 미국 산업이 (중국과의) 경쟁에 극도로 집중해야 한다는 경종을 울렸다."라는 생각보다 점잖은 반응을 내놓았다. 개인적으로는 트럼프의 이 발언이 평소의 과격한 발언보다 느낌이 강하다. 조용하게 으르렁거리는 개가 시끄럽게 짖는 개보다 더 위험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