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조선업 근황 4 (feat 환경규제, 친환경선박)

by 메르

2023.04.17 오전 07:25

CII
IMO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

파머

콘텐츠 534

팔로워 12313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52
0/1000
  • 카레 · 2년 전
    조선 관련 주가는 조선기자재 회사가 먼저 가고 조선사가 간다고 하셨었는데 요즘 흐름을 보면 조선사가 먼저가는것 같은데 그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보냉제 관련 회사 한국카본과 동성화인텍 중 재무제표가 더 좋아서 한국카본이 더 좋아보인다 하셨는데 현재도 그 관점이 유효하신지 궁금합니다. 항상 좋은글 감사하게 읽고있습니다.
    • 메르 · 2년 전
      한국카본이 최근 화재가 크게 나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6개월정도 영향이 있을듯합니다. 기자재사는 과거 손실로 마음 편하게 들어갈만한 수준의 재무가 좋은 회사가 한정적인 부분이 아직 손이 잘 안가는 이유중 하나인듯합니다. 수주가 분기 순이익 급증으로 이어지는 실적을 보여줘야 안심하고 투자를 할듯합니다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Parksb · 2년 전
    EEXI로 1차 공급감소 효과.. CII로 2차 공급감소 효과. E등급을 받은 선박의 경우 인증을 받지 못하면 운행을 제한받는다고 하셨는데, 이게 실질적은 제재를 가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명쾌한 답을 찾기가 어려워서요... 탱크, 벌크 쪽 관심이 많아서 최대한 많은 자료를 취합, 조합하고 있는데 저 부분에 대한 아이디어가 계속 허술해져서요ㅠㅠ
    • 메르 · 2년 전
      주요 항만에 입항허가가 안나는 식으로 제재가 되지않을까합니다
  • 문성준 · 2년 전
    메르님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글 읽고있습니다.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너무 궁금했던 내용인데 답변을 들을 만한 곳이 없어서요. Q. 화물창 GTT 한테 5프로씩 수수료 주던거 국산화 한다는 내용이 많이 있었는데 진전이 있을까요?
    • 메르 · 2년 전
      없습니다. 과거 2척을 국산화해서 시험가동 했는데 두척 다 문제가 생겨서 소송을 시작하는 단계라 한동안은 쉽지 않을듯합니다
    • 문성준 · 2년 전
      @메르 
      답변 감사합니다 (꾸벅)
  • w**** · 2년 전
    이번 조선 사이클에서 핵심은 엔진으로 보고있고 그래서 현대중공업을 조선소 1등으로 뽑으신거로 유추하고 있습니다. HSD엔진에 대한 내용은 빠져있는 것 같은데 투자는 따로 안하시나요?
    • 메르 · 2년 전
      엔진은 에지가 없다고 봅니다 조선업 업황과 같이 움직여서 그냥 조선사에 직접 투자해도 큰 차이가 없을듯합니다
  • 산들엄마 · 2년 전
    끝에서 2번 째 줄에 한구카본 -> 한국카본 오타인 듯 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메르 · 2년 전
      그러네요. 감사합니다 ^^
  • 박진성 · 2년 전
    메르님 글 잘읽고있습니다. 시간나실때 고견부탁드립니다. 1.바이오디젤이 LNG대비 환경오염이 적은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혹시 바이오디젤의 전망이나 한계점에 대해서 아시는 내용이 있으실까요? 2. 한국조선사들 수주가 26년까지 거의차있어도 단납기를 위해 조금의 여유는 남겨두는게맞나요? 3.stx다롄 재가동을 비롯하여 수주호황인 지금 중국에서 얼마나 더 많은 수주커버능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정부자금으로 도크를 늘린다던지, 재가동할 조선소가 많다던지 등등.) 그리고 현재 중국조선사들은 몇년정도까지 수주가 차잇는지 궁금합니다.
    • 메르 · 2년 전
      바이오디젤은 충분한 물량확보가 난제입니다. 브라질 같이 옥수수와 사탕수수가 많이나서 수출하는 나라 정도에서 가능한 연료라 아직 공급에 문제가 있습니다. 한국조선사들은 27년까지 수주가 거의 꽉 차 있고 도크를 한번에 여러척 돌리며 버티는 상황이라 여유가 크게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은 70%정도 조선소가 문을 닫았습니다. 문을 닫은 조선소의 도크를 손보면 다시 확장할수 있지만 수주감소로 고생한 경험이 있어 아직 재오픈까지는 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수주는 한국과 비슷한 정도로 차고 있습니다
  • 버핏 주니어 · 2년 전
    LNG 추진선이 많아지면, 천연가스 수요도 많아진다고 봐도 괜찮을까요? BOIL 이 포트폴리오에 있는데 당장은 아니겠지만 추후 영향이 있을 것 같아서요.
    • 메르 · 2년 전
      추진선 자체가 그렇게 LNG를 많이 쓰지는 않아 천연가스 수요까지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겠네요
  • 깐도링 · 2년 전
    https://www.yna.co.kr/view/AKR20230421010700052?input=1195m 한국카본 밀양공장에서 불이 났네요 ㅜㅜ
    • 메르 · 2년 전
      그러네요. 참..16개 건물중에 1개동 전소로 끝나길 바랄뿐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짜라는게 이런 위험 때문입니다
    • 깐도링 · 2년 전
      @메르 
      그래선지 오늘 동성화인텍이 튀어 올랐네요
    • 하준아빠 · 2년 전
      @메르 
      현대중공업만 들어갓엇는데 오늘 한국카본 들어갓습니다 제가 11400원을 지지하는데 일조햇습니다! 우리함께가요!
    • 깐도링 · 2년 전
      @하준아빠 
      1개동 전소되었고,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네요 화재야 안타깝지만 들어둔 보험이 있을테고 No96-Super+에 보냉제가 더 필요한 스토리엔 변함이 없는거 같아 추매 때렸습니다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fpm · 2년 전
    화재가....
    • 이동근 · 2년 전
      ㅠㅠㅠ
  • cyp**** · 2년 전
    항상 감사합니다. 94, 95번에서 오타가 있네요. CII를 CCI로 잘못쓰신것 같습니다.
    • 메르 · 2년 전
      감사합니다 ^^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행복한고미 · 2년 전
      감사합니다
  • 타이거 · 2년 전
    메르님 글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조선업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의드립니다. 최근 우크라 전쟁으로 각국에서 군비를 늘리고 있는데요. 현대전에서는 항모, 잠수함 등 해군력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1. 미국의 경우 항모와 같은 대형 전함은 미국 자체 조선소에서 건조가 되는 건가요..? 2. 향후 우리나라 조선소에서 해외발주 항모나 이지스함, 잠수함 등의 수주 가능성은 없을까요?
    • 메르 · 2년 전
      미국은 자체 조선소에서 군함을 만들고 있고, 안보정책상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잠수함은 대우조선해양에서 동남아 수출 노력을 하는 정도입니다
    • 타이거 · 2년 전
      @메르 
      아 안보상 자체 건조인거군요. 늦은밤 답변 감사합니다~^^
  • 투비더샤인 · 2년 전
    글 잘보았습니다. 62번에서 LNG운반선은 600척 수준이지만, LNG추진선으로 교체가능한 시장은 만척이 넘는다라는 의미가 어떤의미인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후술된 이유로 기존의 오래된 선박들이 LNG추진선으로 교체가능성이 높기때문에 기존 LNG운반선+FSRU 강자인 우리나라 조선사가 추가적으로 LNG추진선 발주까지 겹경사라는 의미가 맞는 것인가요?
    • 메르 · 2년 전
      맞습니다.
    • 투비더샤인 · 2년 전
      @메르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이명규 · 2년 전
    감사합니다.
  • Ed · 2년 전
    작년까지만 해도 LNG 가격이 벙커 가격보다 3-5 배 비싸서, LNG 듀얼 선박들은 벙커로 항해를 했는데, 요즘은 싱가폴의 경우 100-150불 정도 차이가 나고,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는 , 50-100 불정도 차이나서, 전체 항해를 LNG 로 하는 듀얼 선박이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특정 화주들은 계약 조건에 운임을 더 주더라도, LNG 만 사용하게 계약을 하는 화주들도( 심지어 인도 화주) 있고요…. 이렇게 LNG 가격이 안정화 된다면 듀얼 쉽들은 계속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조화로움 · 2년 전
    감사합니다. 그런데 친황경선박액티브 ETF는 국내 주식형으로 보이는데, 왜 매매차익이 배당과세되는 것일까요???
  • min**** · 2년 전
    감사합니다. 규제를 어찌 회피하던 환경규제라는 거대한 파도가 곧 대양을 덮겠지요. 조선업에도 지금의 자동차산업 2차전지처럼 변혁이 생기고... 모두 우리나라 기업들이 그 중심에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니다. 메르님, 거듭 감사드립니다.
  • 4thgear · 2년 전
    메르님 글 읽으면서 항상 느낍니다. 난해할수도 있는 내용을 너무 쉽게 설명하십니다. 굉장한 재능이십니다.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