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메르의 생각

조선업 근황 A/S (feat 트럼프, 방위산업)

메르

2024.11.08

3
0

 

 

 

 

트럼프 "조선업, 韓 협력 필요"…이른 시일 회동 합의

뉴스내용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과 전화통화를 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우리 조선업을 언급한 점이 눈에 띄는데, 이 내용은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오정인 기자, 윤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를 나눴습...

출처

SBS Biz

 

트럼프가 당선후 첫 정상간 통화에서 조선업에 한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이 소식에 한화오션이 하루에 21.7%가 오르는등 조선업 전체적으로 상당한 주가상승이 일어났다.

조선 3사등이 전반적으로 오르다보니, 보유하고 있던 ETF도 10%가까이 올라갔다.

​​3월 말 포트폴리오는 일본 종합상사 45%, 금은 15%, 조선 ETF 10%, 미국 장기국채 4%, 2621 4%, 현금(단기국채) 22%였다.

현재는 일본 종합상사 29%, 금은 20%, 조선 ETF 15%, 미국 단기국채 25%, 미국 국채10년물 6%, 2621 3%, 일본 내수주 2%다.

포트폴리오내 조선업 비중을 10%에서 15%로 늘렸는데, 오늘 상승으로 빨간색이 좀 짙어졌다.

 

미국이 조선업관련해서 한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은 이미 기존글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기존글을 다듬어서 아래에 재업해 본다.

조선업과 2621에 몰빵한 주린이 딸이 트럼프 통화 하루전인 수요일에 트럼프 되도 조선주가 있어서 괜찮다는게 신기하다.

1. 미국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백색함대(Great White Fleet) 계획을 수립함.

2. 대백색함대 계획은 조선업 인프라를 늘려서, 대규모 해군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었음.

3. 1907년부터 조선업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했고, 이 인프라가 2차 세계대전 직전에 완성된 것임 .

4. 2차 세계대전 초기, 독일 잠수함인 U보트가 미국에서 영국으로 가는 호송 선단 공격에 투입됨.

5. 미국의 호송 선단은 U보트에 의해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됨.

U보트 

 

6. 미국에서 군수물자가 제대로 오지 못하자, 전쟁상황도 영국이 독일에 열세가 됨.

7.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영국 처칠수상에게 미국과 영국 사이를 "자유의 선박"으로 연결을 시켜 주겠다고 약속함.

8. 루즈벨트가 약속한 자유의 선박이 리버티선(Liberty ship)임.

9.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발상은 기발했음.

10. 시어도어 루즈벨트 전대통령이 구축한 조선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U보트가 파괴하는 화물선보다 더 많은 화물선을 만들기로 한 것임.

11. 극도로 저렴한 가격에 엄청난 대량생산을 통해, 쓰고 버릴수 있는 표준선을 만든다는 전략을 수립한 것임.

12. 1만920톤의 화물을 싣고, 시속 11노트로 운항이 가능한 리버티선은 1척당 200만달러로 만들어 짐.

13. 리버티선은 자동차의 대량생산 방식인 포드방식(Fordism)을 응용함.

14. 곡선부위를 최대한 직선으로 만들어 철판 가공을 쉽게 했고, 부품을 규격화해서 미리 블록별로 모듈을 제작함.

15. 모듈 연결방식도 리벳 대신 용접을 사용해서 작업시간과 경비를 대폭 절감한 것임.

16. 리버티선 한척을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0일이었고, 최고 기록으로는 8시간30분만에 한척을 완성시키기도 함.

17. 최종적으로 미국 6개 조선소에서 2,710척의 리버티선이 만들졌고, 리버티선이 대서양에 대량으로 투입됨.

16. 독일U보트가 미국 상선대를 계속 침몰시켰지만, 미국은 격침된 배보다 더 많은 리버티선을 찍어내면서 군수품의 적시 공급에 성공함.

​​

17.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의 조선업이 급성장했지만, 존스법(Jones Act)이 문제를 일으킴.

존스액트

 

 

18. 존스법은 미 연안의 승객과 화물 수송은 미국에서 만든 국적선에만 허용한다는 내용임.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19.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배는 국적에 관계없지만, 미국 뉴욕에서 LA로 가는 배는 미국에서 만든 국적선이어야 된다는 것임.

20. 미국 조선소들에게 존스법이 있다보니, 미국 군함과 미국내 연안을 운항하는 선박들을 독점 건조하면서 경쟁없는 돈벌이를 해옴.

21. 존스법으로 먹거리는 고정적으로 있고, 인건비가 오르니, 미국 조선소들은 비용절감을 위한 설비투자를 축소하기 시작함.

22. 노후설비에 높은 인건비로 배를 만드니,미국 조선소는 한중일 대비해서 건조비용이 2~3배 비싸고, 납기도 두배이상 길어지게 됨.

23. 미국 조선사들은 상선에서 경쟁력을 완전히 상실하였고, 해군과 해안경비대가 발주하는 특수선 사업만으로 먹고사는 형편이 되버림.

© fields_th, 출처 Unsplash

24. 미국 군함 대부분은 일렉트릭 보트와 배스 아이언 윅스, 헌팅턴 잉걸스의 뉴포트뉴스 조선소에서 건조를 함.

25. 이들 조선소들은 해군과 해안경비대가 발주하는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대부분임.

26. 미국 최대 조선소라는 뉴포트뉴스 조선소도 한국 현대중공업의 3분의 1 규모밖에 안되는 이유임.

27. 존스법에 연방법이 추가되며, 미국 조선소의 물량확보는 더 쉬워지게 됨.

28. 연방법은 미 해군,해안경비대 함정의 해외 건조 뿐만 아니라 수리까지 금지를 하는 법임.

29. 경쟁이 사라지면서 미국 조선소의 경쟁력은 갈수록 떨어졌고, 피해는 미 해군이 보게 됨.

30. 신조선 건조능력이 떨어진게 아니라 수리도 개판이 됨.

31. 미국의 시울프급 공격용 원자력잠수함인 코네티컷 잠수함은 2021년 10월, 남중국해에서 미상의 물체와 충돌해 함수부분이 대파됨.

32. 코너티컷함은 미국의 도크에 들어가 수리를 받기까지 도크 바깥에서 20개월동안 대기를 타야 했음.

33. 조선소들의 캐파가 한계가 있어서 긴급 수리계약을 발주해도 2년가까이 시간이 걸린 것임.

34. 도크에 들어갔다고 바로 수리가 되어서 나오는 것이 아님.

35. 미국 조선소가 미 해군에 제출한 견적서를 보면 수리기간을 31개월로 잡고 있음.

36. 설날 귀성길에 가벼운 접촉사고로 범퍼가 찌그러져 공업사에 갔는데, 내년에 차를 찾으러 오라는 것과 비슷한 상황인것임.

37. 미국 조선소의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님.

38. 코너티컷을 긴급수리 해야하니, 이미 계약해놓은 신형 공격원잠 버지니아급 제작이 지연된다고 해군에 통지를 함.

39. 2차 대전때 1만톤이 넘는 대형수송선을 닷새만에 만들었고, 군함 수천척을 찍어냈던 미국 조선업의 존재감이 사라지게 됨

40. 미중전쟁이 벌어지면, 중국은 전투함을 대량으로 찍어낼 수 있지만, 미국은 현재 있는 전투함만으로 싸워야하는 상황인것임. .

41. 상대편은 미네랄 광산을 확보해서 유닛을 계속 찍어내는데, 미네랄이 없어 기존 병력만으로 게임을 해야하는 상황과 비슷함.

42. 미국 정보국(ONI)에 따르면, 중국의 전체 조선능력이 2,325만GT인데, 미국은 10만GT(Gross Tonnage, 총톤수)에 불과하다고 함.

43. 중국은 매년 1000척이상의 선박을 찍어낼 수 있는데, 미국은 1년에 10척을 건조하기도 힘들어 진 것임.​

44. 군함만 봐도, 중국은 1년에 이지스 구축함 8척과 호위함 4척, 원자력잠수함 3척을 건조하고 있음.

45. 미국은 1년에 이지스구축함 1척과 공격용원잠 1척을 건조하는 정도 역량만을 가지고 있음.

46. 중국의 전투함은 이미 355척을 넘어가고 있어서, 296척의 미국을 앞서기 시작함.

47. 계획대로 건조가 진행되면, 중국은 2025년에 400척, 2035년 475척까지 전투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48. 미국은 반대로 전함이 줄어듦.

항해 중인 미국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49. 신규전함 건조는 지지부진하고, 노후한 기존전함 퇴역이 시작되며, 2025년이면 전함이 296척에서 287척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임.

50. 미 해군정보국은 중국 군함이 질적으로도 상당히 따라왔다고 보고 있어, 성능으로 인한 격차도 줄어들고 있음.

51. 2023년 2월 7일, 미국 해군의 토머스 앤더슨 해군 소장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이 한국을 방문함.

52. 방문단은 미국의 함정 프로그램 총괄책임자와 실무진들이었음.

53. 이들은 한화오션(대우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J중공업을 차례로 방문해서 조선소들의 건함능력을 확인하고 감.

54. 미 해군 보도자료를 보면 앤더슨 소장은 귀국후 "우리는 세계적 수준의 조선소를 찾으러 왔고, 그것을 찾았다."라고 언급을 함.

55. 미 해군은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려면 이지스 구축함 2척, 차기 호위함 2척, 핵잠수함 4척을 매년 건조해야 한다고 보고있음.

© 트래블로그, 출처 OGQ

56.이 물량을 미국외에 맡기려고 하면 존스법과 연방법을 개정해야 함.

57. 미 해군과 국방부는 "중국과의 건함 경쟁에서 지지 않으려면 존스법을 폐기해야 한다"고 언론과 정치권에 호소하고 있음.

58. 존스법 폐기전에 미국이 어느정도 효과를 가진 대안을 실행할 수 있음.

59. 군함의 정비와 수리(MRO)는 존스법에 해당되지 않고, 연방법에도 긴급한 경우에 예외로 할 수 있다고 되어 있음.

© 양정원, 출처 OGQ

60. 군함 수리와 정비를 외국에 맡기고, 미국 조선소들은 여기에서 나오는 건조여력을 신함 건조에 돌리는 방법임.

61. 미국은 일본 민간조선소에 일본에 배치된 20척의 군함 정비를 맡기는 것을 먼저 진행함.

62. 해군함정은 고장이 아니더라도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관리를 받아야 함.

63. 해군함정의 수리와 정비를 일본 민간조선사에 맡긴다는 것은 처음있는 일임.

64. 미국은 노후한 공격원잠을 대체하기 위해 2032년까지 신규 원잠 17척을 건조해야 하고, 호주에게도 5척의 원잠을 만들어줘야 함.

65. 수리와 정비 일부를 일본에 맡긴다고 하더라도 현재 미국 조선소의 캐파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물량임.

66. 대안으로 한국이 떠오르게 됨.

67.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대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충돌을 시뮬레이션 했음.

68. 중국이 50척이상의 군함을 잃는 동안, 미국은 항공모함 2척을 포함한 20척의 군함을 잃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옴.

69. 단기전은 미국이 우세했지만, 장기전으로 가면 손실된 함정을 빠르게 만들어 투입이 가능한 중국의 승리로 끝났다고 함.

70. 미국 CNN 다음과 같은 제목의 특집을 내보냄.

​‘이들은 아마도 세계 최고의 군함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미국산이 아니다(These may be the world’s best warships. And they’re not American).’

71. CNN은 중국 함대를 따라잡는 방법으로 한일의 활용을 거론하면서, 한국의 세종대왕함을 세계 최고 군함중 하나로 꼽았던 것임.

72. CNN은 한국과 일본은 가장 높은 사양과 저렴한 해군 하드웨어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 선박을 구매하거나 두 나라 조선소에서 미국 설계 선박을 건조하는 것도 중국과의 격차를 좁히는 가성비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내보냄.

73. 한국은 수상함 뿐만 아니라 잠수함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과 건조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임. ​

74. 미국 줌왈트 구축함은 초기 연구비용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건조비용만 따져도 대당 30억달러의 건조비용이 들어감.

75. 한국은 유사한 성능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을 9억2500만달러면 건조할 수가 있고, 줌왈트급도 15억달러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음.

76. 한국 조선소의 군함과 잠수함 건조 가성비가 아주 좋다는 말임.

77. 세종대왕급 구축함만 하더라도 현재 중국의 동급 구축함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음.

78. 세종대왕급을 보급형으로 깔고, 초고성능의 줌왈트구축함을 섞어쓰는 전략도 가능한 것임.

79. 세종대왕함은 한미일 합동 훈련을 통해서 3국 전함 간 시스템, 통신등 연합작전이 가능한것이 입증되어 연계성도 무리가 없음.

80. 한국은 한화오션과 현대중공업,한진중공업이 군함과 관련한 경험과 역량을 가지고 있음.

81. 한진중공업은 중소형 연안경비함이나 중형함을 만드는 정도라 제외한다고 보면, 한화오션과 현대중공업의 경쟁이 됨.

82. 한화오션은 한국화약이 모태였던 한화의 계열사가 되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등 계열사안에 방산기업들이 많은 그룹임.

83. 최근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임팩트는 HSD엔진의 경영권을 확보해서 선박엔진부분을 그룹안으로 가져옴.

84. 한화오션은 컨테이너선 수주를 중단하고, 돈이 되는 LNG운반선 위주로 수주를 받으며 건조 캐파를 확보하려고 하고 있음.

85. 한화그룹은 미국의 필리조선소도 인수를 함.

86. 필리 조선소는 미국 대형 상선의 절반정도를 만들고 있고, 해양풍력 설치선등의 친환경 선박의 건조실적도 가지고 있음.

87. 바이든 대통령이 해상풍력설치선 철강 절단식에 참석하기위해 방문한 곳이 필리조선소였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943239?sid=104

필라델피아 필리 조선소 둘러 보는 바이든 대통령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를 둘러 보고 있다. 2023.7.21

n.news.naver.com

88. 신규군함 수주잔고는 없지만, 필리조선소의 핵심사업은 군함의 수리,개조사업임.

89. 필리조선소가 필라델피아 해군기지와 붙어있어 정비와 수리에는 위치가 최적이기 때문임.

90. 필리조선소를 인수할때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이 4대 6의 지분으로 들어감.

91. 한화 시스템이 군함 전투체계 및 레이더등을 공급하는 회사라 인수목적이 군함의 정비,수리(MRO)를 맡는것으로 봐야할듯함.

92. 필리조선소가 미국에 있다보니, 존스법이 개정되지 않더라도, 미국에서 군함 수리(MRO) 뿐만아니라 건조도 할 수 있게 됨.

93. 다만,현재 상황에서 MRO는 몰라도 신규 건조는 쉽지 않음.

94. 울산과 거제 같이 협력사등의 인프라가 집중된 곳이 아닌 해외 조선소는 효율이 안나올 수 있기때문임.

95. 한진조선의 필리핀 수빅조선소가 인력문제로 망했듯이, 해외 조선소에서 현지 노동자들을 데리고 효율을 뽑기 쉽지않음.

96. 미국은 해외에서 군함을 만들경우 기술유출에 대한 위험이 있어, 미국내에 조선소에서 만드는 것을 포기하지 않을것임.

97. 기본 선체까지는 한국에서 만들고, 기술유출이 걱정되는 최첨단 무장은 배를 미국으로 보내서 마무리 하는 방법이 예상됨.

98. 2024년 7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연간 20조원 규모의 미국 군함 정비계약(MSRA)을 미국 해군과 체결함.

99. 앞으로 5년동안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 소속 지원함과 전투함등에 대한 MRO사업 입찰참가 자격을 확보한 것임.

100. 한화오션은 MRO입찰자격을 확보하고 한달만인 8월 29일 첫번째 수주를 발표함.

101. 미7함대의 4만톤급 보급선 수리계약(MRO) 이었음.

102. 수주금액도 수백억 수준이라 얼마되지않고, 생소한 보급선을 처음으로 수리하는 것이라 생각보다 비용도 많이 들수 있음.

103. 수익성 보다는 수주를 실제로 시작 했다는데 의미가 있음.

한줄 코멘트. 미국은 오랫동안 지속된 자국내 조선업 보호법안으로 군함건조 역량이 크게 떨어진 상황임. 일본도 수리정도는 해줄수 있지만, 군함 건조까지 뛰어들 역량과 여력은 없어보임. 미 해군 MRO로 시작을 해서, 한국에서 선체까지 만들고 미국에서 무기장착등 마무리를 하는 협업까지는 트럼프 재임기간내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팔로워 null

이런 글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