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조선업 근황 업데이트(feat IMO총회 합의내용, EU환경규제)

by 메르

2023.07.27 오전 10:41

한국카본
삼성중공업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메르

파머

콘텐츠 534

팔로워 12310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정리해 봅니다.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7
0/1000
  • 카레 · 2년 전
    친환경선박액티브가 12910 고점을 찍고 오늘 기준 9550에 있습니다. 고점대비 26%정도 하락했네요. 그 이유가 최근 주식시장의 분위기가 안좋아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블로그에서 조선업 관련 글에서 언급하신 반기 제무제표의 실적이 시장의 기대에 못미쳐서 일까요.. 선박에 대한 환경규제에 대한 글도 한번 부탁드립니다.
    • 메르 · 2년 전
      늦게 봤네요. 후자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영향도 있고요. 개별적인 나쁜 소식은 별로 없으니 시기를 기다리시면 될듯합니다.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행복하자! · 2년 전
    메르님. 중국 조선사들이 대부분 국영기업이 많다고 들었는데 한국과 중국이 대부분 수주를 받아가는 마당에 중국이 국가 지원을 받아서 증설을 하며 더 빠른 시일내에 배를 만들어준다면 중국쪽에 조선 점유율이 상당히 높아질거라는 말에 대해서 일리가 있다고 보시는지요? 또한, 미국이 지금 당장 배와 관련해서 중국을 따라가기엔 시간이 5~6년은 필요해서 만일 중국의 조선쪽 제재를 가한다면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미국 군함도 한국에 수주한다는 얘기가 있던데 메르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메르 · 2년 전
      중국이 과거 그렇게 하다가 조선사 70%정도가 문을 닫았습니다. 아픈 경험이 있어서 과거처럼 우후죽순으로 생기지는 않는듯하고, 미국은 군함을 제외하고는 인건비등 감안하면 자국의 조선소를 키우기는 어려울듯합니다
    • 청춘한삼 · 2년 전
      "또한, 미국이 지금 당장 배와 관련해서 중국을 따라가기엔 시간이 5~6년은 필요해서 만일 중국의 조선쪽 제재를 가한다면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메르님은 아니지만 이 부분에 첨언 드리자면, 글로벌 주요 선사와 선주는 미국보다는 유럽에 몰려있고 선박 금융과 같은 관련 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이 중국 조선에 제재를 가하려고 해도 수단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제재를 가한다고 해도 한국 대형조선소들은 향후 3~4년 수주를 이미 채웠고 납기 가능한 슬롯이 없는 상황이라 추가 수주를 받거나 선가가 높아지는 실적 모멘텀이 발생할거라고는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2027년 납기 이후 물량은 한국 조선소에서도 수주를 천천히 할거고, 선주들 입장에서도 정치적 이슈가 있는 시점에 당장 받지도 못하는 배를 굳이 서둘러 발주에 나설 필요는 없습니다
  • 표돌이형아 · 2년 전
    네이버 블로그 보다가 여기까지 왔습니다. 저는 삼성중공업을 일단 소액 담아봤는데, 친환경선박 액티브도 눈여겨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메르님!
    • 메르 · 2년 전
      좋은 선택 하신듯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