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크 요약 - 1. 트럼프의 무리한 요구
2. 희토류의 중요성과 역사
3. 중국의 희토류 패권 장악
4. 희토류 중 가장 중요한 ‘디스프로슘(Dy)’
5. 그린란드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매장량
6. 우크라이나 희토류와 러시아 전쟁의 연관성
7. 희토류와 환경오염
8. 트럼프의 의도
한줄 코멘트. 우크라이나는 영토가 넓고, 과거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주민들이 철수해서 폐허가 된 지역도 있음.서방에서 나오는 희토류들을 중국이 아니라 우크라이나에서 가공하는 방법이 트럼프가 원하는 것일수도 있어 보임. |
관련글 (상품,자원)
날짜 |
작성자 |
제목 |
2025. 2. 24 |
메르 |
|
2024. 12. 9 |
메르 |
|
2023. 3. 8 |
메르 |
|
2022. 12. 7 |
메르 |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절반을 전쟁무기 지원 대가로 내놓으라고 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고,
미국과 우크라이나간 광물협정이 타결될 것 같다는 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한 국가의 희토류 매장량 절반을 내놓으라는 트럼프의 요구는 말도 안되는 무리한 수준이다.
트럼프도 무리한 주장이라는 것은 알것이다.
트럼프는 광물협정을 통해서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자체 보다는 다른것을 원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트럼프가 희토류에 진심인 것은 맞다.
일단, 트럼프가 희토류에 진심이 된 히스토리를 알아 보자.
1. 희토류는 땅에서 구할 수 있으되 거의 없는 성분(rare earth elements)을 뜻하는 말로, 희귀한 17종의 원소를 말함.
2. 희토류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아이폰 이었음.
3. 스티브 잡스가 2007년 출시한 초기 아이폰에서 17종의 희토류 중 9종의 희토류와 희귀금속이 사용됨.
4. 아이폰의 유리에는 인듐이, 스크린의 적색과 녹색은 유로퓸이나 테르븀 분말이 내줬고, 탄탈럼은 전력을 조절하였음.
5. 세륨은 화면 유리에 반질반질한 광택을 내줬고, 카메라 렌즈, 휴대폰의 진동 센서, 스피커 안의 영구자석에는 네오디뮴이 들어감.
6 스티브 잡스는 휴대폰을 전화기에서 스마트폰으로 재창조했을 뿐만 아니라, 희토류의 시대를 열어 줌.
7. 희토류는 첨가물로 쓰이며, 국으로 치면 다시다나 미원의 역할을 함.
8. 조금만 넣어도 어머니의 손맛이 남.
9. 희토류는 우리가 구입하는 상품을 더욱 작게, 더욱 빠르게, 더욱 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됨.
10. 희토류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네오디뮴임.
11. 네오디뮴을 넣어 자석을 만들면 자력이 10배 이상 강해지므로 그만큼 자석을 작게 만들 수 있음.
12. 스티브 잡스가 원했던 날씬한 모니터도 갈륨이나 인듐 등 희토류가 들어가면서 얇아질 수가 있었음.
13. 첨단 무기도 마찬가지임.
14. F-35 스텔스기를 생산하려면, 1대당 417kg의 희토류가 필요함.
15. F-35 스텔스기에 들어가는 희토류는 일반 자석을 10배 이상 강력하게 만드는 네오디뮴-철-보론-영구자석(Nd-Fe-B magnet)임.
16. 미국의 GM은 어떤 자석보다 자력이 세고, 소형화가 쉬운 네오디뮴-철-보론 영구자석 제조법을 1982년 세계 최초로 개발함.
17. GM은 네오디뮴-철-보론 영구자석 (Nd-Fe-B)의 상업화를 위해 마그네퀸치라는 자회사를 1986년 설립하고 사업을 시작함.
18. 마그네퀸치의 최대 고객은 미 국방성으로, 마그네퀸치가 생산하는 Nd-Fe-B 영구자석의 85%를 미군이 납품받아 감.
19. 1995년 마그네퀸치는 섹스턴트 그룹에 매각됨.
20. 섹스턴트 그룹의 실소유주는 중국 국영기업인 삼환신재료고구기술공사였음.
21.삼환신재료고구기술공사를 실제로 소유하고 운영했던 주체는 중국과학원이었음.
22. 네오디뮴 영구자석 제조법 확보를 중국 정부차원에서 진행했다는 말임.
23. 마그네퀸지 인수후 이들은 마그네퀸치와 동일한 생산라인을 중국에 만들기 시작함.
24. 2000년에 마그네퀸치의 Nd-Fe-B 영구자석 생산설비들을 비밀리에 부품단위로 분해되어 중국에 만든 생산라인으로 옮겨지게 됨.
25. 2003년, 마그네퀸치 생산설비들의 이전이 완료되자 미국 공장은 문을 닫고 종업원들을 해고한 후 중국에서 생산을 시작함.
26. 중국은 Nd-Fe-B 영구자석에 들어가는 희토류는 충분히 있었지만 특허와 기술이 없었음.
27. 중국이 마그네퀸치를 소유하자 특허와 기술이 확보된 것임.
28. 2010년이 되자, 중국은 전 세계 Nd-Fe-B 영구자석 생산의 75%를 차지하는 세계 1위 생산국이 됨.
29. 중국의 덩샤오핑은 '중동에 기름이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라고 말하며 희토류 광맥을 본격 개발하기 시작함.
30. 당시 마그네퀸치 인수를 지휘한 인물은 덩샤오핑의 둘째 딸, 중국 과학기술부 부부장 덩난 이었음.
31. 아버지는 광맥을 확보하고, 딸은 기술을 확보한 것임.
32. 미국은 마그네퀸치를 허무하게 중국에 넘겨줬듯이 희토류의 중요성을 늦게 인식함.
33. 2008년 12월에도 미 국방부는 희토류는 국가 안보에 직결되는 중요한 물질이 아니라고 발표하였음.
34. 중국과 관계가 좋았던 시기에 희토류는 환경파괴를 감내하고 중국이 열심히 만들면, 싸게 사 오면 되는 광물질 정도의 시각이었음.
35. 트럼프 집권 초기인 2017년에 행정명령을 발동함.
36. 미국이 전략적으로 필요한 크리티컬 미네랄이 뭔지를 파악하고,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후 보고하라는 명령이었음.
37. 집권 초기다 보니, 행정부 부서들은 열심히 조사를 했고 결론을 보고함.
38. 미국의 크리티컬 미네랄은 희토류이고, 공급체인의 중국 의존도가 너무 크다는 결론으로 1기 트럼프에게 보고가 올라간 것임.
39. 트럼프는 핵심 광물에 대한 관리와 통제의 오너십을 재무부가 아니라 국방부에게 부여함.
40. 미 국방부는 이때부터 국가 안보 차원에서 희토류에 접근하기 시작함.
41. 바이든으로 정권이 바뀌어도 정책 핵심 4개 영역(2차 전지, 반도체, 핵심 광물, 의약품)에 희토류를 포함시킨 후, 미 국방부가 계속 주도권을 가지고 대책을 마련해 왔음.
42. 희토류라고 이야기 하지만, 17종의 희토류 전부가 아니라 디스프로슘이 핵심 광물임.
43. 17종의 희토류는 크게 분류하면 경희토류(Light Rare Earth Element)와 중희토류(Heavy Rare Earth Element)로 나누어짐.
44. 경희토류는 세계 각지에 분포되어 매장량이 많고, 채굴 난이도도 높지 않아 공급은 충분한 상태임.
45. 원소기호 65번 터븀(Tb)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중희토류, 특히 66번 디스프로슘(Dy)이 중요함.
46. 디스프로슘은 1886년 프랑스에서 힘든 과정을 거쳐서 분리됨.
47. 연구진이 분리 과정에서 고생을 많이 하다 보니 "도달하기 힘들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δυσπρόσιτος로 디스프로슘의 이름을 짓게 됨.
48. 모터 안에는 자석이 들어가서, 회전을 하면서 전기를 만들어 냄.
49. 네오디뮴을 넣어 자석을 만들면 자력이 10배 이상 강해지므로 그만큼 자석을 작게 만들 수 있음.
50. 네오디뮴 자석은 회전을 빠르게 하면 높은 열이 발생해서 자석의 성능이 떨어지는 게 문제임.
51. 네오디뮴 자석을 만들 때 중희토류인 디스프로슘을 첨가하면 고열에도 자석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음.
52. 빠르고 강한 발전을 계속해 줘야 하는 고성능 발전기나 전기차 모터 등 영구자석에 중희토류 디스프로슘이 들어가는 이유임.
53. 10메가 와트의 발전용량을 내는 풍력발전기 1기에는 2톤 정도의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사용함.
54. 2톤의 네오디뮴 영구자석 안에는 160kg 정도의 디스프로슘이 들어감.
55. 전기자동차에도 대당 100g 정도의 디스프로슘이 사용됨.
56. 현재 디스프로슘은 1년에 천 톤 내외가 생산되고 있어 공급이 점점 부족해지고 있음.
57. 디스프로슘은 16종의 희토류들과 2가지 큰 차이를 가지고 있음.
58. 첫번째는 상업성 있게 매장되어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음.
59. 현재 디스프로슘이 가장 많이 채굴되는 곳은 미얀마임.
60. 미얀마에서 채굴된 디스프로슘은 중국으로 넘어가서, 중국이 생산하는 디스프로슘의 60%이상을 책임지고 있음.
61. 중국이 미얀마에 디스프로슘이 생산되는 지역의 반군을 지원하며, 러시아의 크림반도 처럼 분리독립을 노리는 이유임.
62. 나머지는 중국 장시성에서 희토류가 생산되고 있음.
63. 미얀마와 중국외에 디스프로슘이 매장된 국가로 러시아 시베리아의 톰토브 광상(Tomtor)이 있음.
64. 시베리아는 채굴난이도가 높은 지역이고, 석유나 가스등 다른 천연자원이 풍부하기때문에 희토류 개발에 적극적인 상황은 아님.
65. 자원깡패 호주와 미국은 본토내에서 디스프로슘이 상업적으로 매장된 광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음.
66. 디스프로슘이 상업적으로 매장된 것이 확인된 지역중 서방권에 속한 곳은 지구상에는 그린란드 수준임.
67. 트럼프가 그린란드에 욕심을 내는 이유로 북극해의 패권외에 디스프로슘도 포함됨.
68. 그린란드에는 전 세계 중희토류의 44%가 매장된 세계 최대 규모의 중희토류 광산들이 있음.
69. 그린란드의 크바네펠트 광산과 탄브리즈 광산이 그린란드의 희토류 매장량 투탑 광산임.
70. 그린란드 남부에 위치한 크바네펠트 광산은 경희토류와 중희토류,우라늄,아연등이 11억톤 이상 매장된 세계 최대급 광산임.
71. 탄브리즈 광산은 매장량 4.4억 톤으로 크바네펠트보다 적지만 중희토류(Heavy Rare Earth Elements, HREE)인 디스프로슘,이트륨,테르븀등의 함유량이 많은 중희토류 광산임.
72. 크바네펠트 광산은 호주계 광산회사인 그린란드 미네랄이 주축이 되어 개발을 추진하고 있었음.
73. 그린란드 미네랄은 호주기업이지만, 최대 주주가 중국기업 성하 자원이라, 중국계 기업으로 봐야함.
74. 총선에서 여당이 이겼으면, 크바네펠트 광산이 중국주도로 개발되며 중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의 독점력이 더욱 강화될 상황이었음.
75. 야당이 그린란드 총선에서 승리를 했고, 크바네펠트 광산 개발은 즉시 보류됨.
76. 그린란드 총선은 미중간 희토류 확보 전쟁에서는 중요한 선거였었음.
77. 중희토류가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탄브리즈 광산은 미국 광물개발업체 크리티컬 메탈스(CRML)가 인수를 함.
78. 1년에 디스프로슘이 천 톤 정도 생산되고 있는데, 디스프로슘만 760만 톤이 매장된 광산을 미국 기업이 확보한 것임.
79. 크바네펠트 광산과 달리 탄브리즈 광산은 채굴 허가가 이미 난 상태라, 빠른 시일 내 희토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80. 하지만, 탄브리즈 광산을 인수한 미국 광물개발업체 크리티컬 메탈스(CRML)의 주가는 하락추세임.
81. 비트코인을 매입해서 자산으로 확보하는 특이한 전략을 2025년에 시작했기 때문임.
82. 비트코인 5억달러를 전환사채를 발행해서 매입하겠다는 공격적인 재무전략이 시장은 본업을 벗어난 것으로 보는 것 같음.
83. CRML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에 물려있기도 한 상황임.
84. 우크라이나에 희토류 광산을 확보했는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서 확보한 희토류 광산은 러시아 점령지역이 된 상황임.
85. CRML이 우크라이나에 확보한 희토류 광산은 권리가 사라지게 될 것 같음.
86. 디스프로슘이 16종의 희토류들과 다른 첫번째 이유가 상업성 있는 매장지역이 몇군데 없는 것이라면, 두번째는 엄청난 환경오염임.
87. 디스프로늄을 생산하는 장시성을 가보면, 디스프로늄 채굴 과정이 이렇게 진행됨.
88. 디스프로늄이 함유되어 있는 언덕 중턱에 3미터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황산암모늄 용액을 구덩이에 그냥 쏟아 부음.
89. 이 언덕의 지질은 잘 부스러지는 모래 점토로 되어 있어 산성 용액은 진흙을 녹이며 곤죽이 됨.
90. 채광 인부는 황산암모늄에 녹아 갈색 곤죽이 된 늪 같은 흙을 가방에 퍼담아 어깨에 메고가서 파이프라인에 쏟아붓게 됨.
91. 갈색 곤죽은 풀장과 같은 곳에 모여 침전된 후 디스프로슘이 분리되는 것임.
92. 채취된 점토에 함유된 디스프로슘은 0.2% 정도로, 99.8%는 광미라고 부르는 폐기물이 됨.
93. 광미는 언덕이나 냇가에 버려지고, 염산, 황산 등이 함유된 광미는 시냇물로 흘러가고 지하수로 내려가서 우물과 농사를 망쳐놓음.
94. 과수가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되고, 주민들은 피부 발진, 호흡기 질환, 골다공증, 각종 암에 시달리게 되는 것임.
95. 1톤의 디스프로슘 정제를 위해서는 7만 5000L의 산성 폐수, 1톤가량의 방사성 폐기물, 1,200만 L의 황산과 플루오르화수소산이 혼합된 폐가스가 보통 나오게 됨.
96. 디스프로슘의 환경오염이 상대적으로 심하기는 하지만, 다른 희토류들도 환경오염이 상당한 수준임.
97. 세륨,란타넘등 경희토류는 호주의 라이나스코퍼레이션이 보유한 마운트 웰트 광산에서 전세계 희토류의 12%를 생산하고 있음.
98. 라이나스는 호주에서 채굴한 희토류를 현지에서 정제,분리를 하지 않고 있음.
99. 채굴한 희토류를 말레이시아 쿠안탄(Kuantan)정제소로 보내서 가공하고 있음.
100. 환경오염 문제를 말레이시아로 넘기는 것임.
101. 라이나스는 호주에 환경오염이 보완된 정제소를 만들려고 하지만, 환경오염과 종업원 안전등을 챙기면 원가가 비싸지는게 문제임.
102. 2기 트럼프가 시작됨.
103. 트럼프가 그린란드의 희토류를 확보한다고 해도, 환경오염과 근로자의 안전 등의 이슈로 호주처럼 미국내 생산은 쉽지않은 상황임.
104.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트럼프가 우크라이나를 언급하는 것에 의미를 찾을 수 있음.
105. 현재까지 우크라이나에는 상업성 있게 디스프로슘등 중희토류가 매장된 광상이 발견되지 않고 있음.
106. 매장량이 많고, 매장지역이 희소하지 않은 경희토류들이 매장되어 있는 지역이 우크라이나 인 것임.
107.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원하는 것은 희토류 자체보다는 희토류를 가공할 수 있는 땅일수 있음.
한줄 코멘트. 우크라이나는 영토가 넓고, 과거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주민들이 철수해서 폐허가 된 지역도 있음. 서방에서 나오는 희토류들을 중국이 아니라 우크라이나에서 가공하는 방법이 트럼프가 원하는 것일수도 있어 보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