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
0
보유독점

해외 · 기타

애플(APPLE) 호실적과 만족스러운 가이던스 제시 / 향후 5년 상당한 이익 성장 전망

텐배거남

2023.06.16

1
7
0

※ 감수인 의견

오랜만에 보고서 올려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지표와 사업내용이 '뭐 이런 기업이 있나' 싶습니다. 만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캐릭터입니다. 2020년 기준 이어폰 매출만 AMD를 초과합니다. 재구매율은 90%입니다.

 

워렌버핏은 2016년부터 애플을 사모으기 시작했고, 현재도 극찬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인 얘기지만 심지어 비싼 가격에 사지도 않았습니다(아래 빨간박스 참조). 이 분도 만화에서나 나올 법한 캐릭터임!

 

주가/지표
*주가 6/15 마감 기준

 

*앱을 설치하시면, 구독하시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새글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오렌지보드' 로 검색하셔서 설치 부탁 드립니다. Orangeboard.CT가 작성한 글에 댓글로 피드백 주시면, 고객 본인이 원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참여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호실적과 함께 만족스러운 가이던스까지 제시한 미국 빅테크 기업이자 전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APPLE)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Unraveling the tale behind the Apple logo | CNN
 

1. 애플(AAPL.US)이란? 


APPLE(AAPL.US)은 스마트폰(아이폰), PC(맥), 태플릿(아이패드), 웨어러블, 기타 악세서리와 디지털 컨텐츠 스토어,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 케어, 아이클라우드, 애플 아케이드 등 다양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시총 1위의 회사입니다. 2022년 2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시장의 출하량 점유율은 15% 수준으로 삼성보다 낮지만, 매출 기준 점유율은 40% 삼성보다 24% 높고, 영업이익 기준 시장 점유율 80%로 삼성보다 66% 높은 압도적인 1위를 보여줍니다. 최근 자사 제품에 최적화된 자체 칩 생산을 하여, 구글, 아마존, 테슬라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과 함께 반도체 산업의 뉴 노멀 시대를 이끌고 있습니다.

Apple Showcase | Apple iPad, MacBooks and iMacs |CDW

 


2. 애플 주주 구성(기관 및 펀드 상위 10위 비중)


애플 기업 주식의 주요 주주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총 발행 주식수(Shares Outstanding)는 약 157억 2,800만 주 입니다.

1) 기관 투자자 보유주식(Institutional Ownnership) 비중 36.91%

2) 내부자 보유주식(Insider Ownership) 비중 0.11%

 

 

1) 36.91%를 차지하는 상위 10위기관과 펀드들의 주식비중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면,

* 애플 상위 10대 주식 보유 비중

- The Vanguard Group (뱅가드 그룹)에서 약 7.87%

- Berkshire Hathaway (버크셔 헤서웨이 / 워런버핏)에서 약 5.79%

- BlackRock (블랙록)에서 약 4.21%

- SSgA에서 약 3.64%

상기 4곳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애플 상위 10대 주식 보유 비중(펀드)

-  Vanguard (뱅가드) 펀드들의 총합 약 6.61%

- Fidelity (피델리티) 약 1.05%

- Government persion (정부 연금펀드) 약 1.03%

- SPDR 약 1.02%

상기 4곳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약 0.11%를 차지하는 내부자(오너 및 경영진들)의 주식 비중을 살펴보면,

현 의장직을 수행중인 Mr.Arthur D가 내부자주식중 46.88%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으며, 현 CEO인 Tim cook이 33.93%를 차지하며, 나머지 모든 경영진들의 합한 지분은 19.19% 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창립 역사와 CEO 이력


아래와 같이 애플의 역사를 살펴보겠습니다.

1976년 : 애플 컴퓨터 주식회사(Apple computer Inc)를 설립하였는데, 스티브 워즈니악과 스티브 잡스, 론 웨인이 잡스의 부모님 차고에서 컴퓨터 조립 키트인 '애플'을 만들며 애플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는 세계 제일의 IT기업 Apple

 

1977년 : 애플 2가 출시

Apple II - 나무위키

 

1979년 : 애플 컴퓨터 주식회사가 주식 상장에 성공

 

1983년 : 애플 리사 출시

애플 리사(Apple LISA) 그리고 GUI : 네이버 블로그

*스티브 잡스와 애플 리사의 사진

 

1984년 : 매킨토시가 처음으로 공개됨.

10개 제품으로 정리한 매킨토시 진화의 역사 - ITWorld Korea

*매킨토시 : 당시 유행하던 명령 줄 인터페이스 대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마우스를 채용해 상업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

(스티브 잡스가 대학에서 자퇴하고, 본인이 듣고 싶었던 서예수업에서 익히고 배운 글자체를 매킨토시에 접목시킨 일화가 있음)

 

1985년 : 스티브 잡스가 존 스컬리에 의해 애플에서 해고되었음.

존 스컬리,스티브 잡스 좌천시킨 애플 전 CEO

*좌 : 스티브잡스 / 우 : 존 스컬리

 

1993년 : 세계 최초의 PDA이자 태플릿 플랫폼인 애플 뉴턴을 출시

1993년에 나온 원조 아이패드, '뉴턴'은 어떤 제품?|동아일보

 

1997년 : 스티브 잡스가 12년만에 다시 애플로 돌아와 다시 애플의 CEO가 됨.

Steve Jobs's Return to Apple in 1997 | by Youssef Mohamed | The Techlife |  May, 2023 | Medium

 

1998년 : 최초 아이맥 공개

The evolution of the Macintosh — and the iMac | Computerworld

 

2001년 : 맥 OS X 공개

Today Mac OS X is as old as the Classic Mac OS – Six Colors

 

2007년 : 아이폰과 애플 TV가 공개되고, 기업의 명칭을 애플 컴퓨터(Apple computer)에서 애플(Apple Inc)로 변경하였고, 휴대폰 역사에 큰 획을 그었던 전세계 첫 스마트폰인 '아이폰'을 출시함.

Inside Apple's 6-Month Race to Make the First iPhone a Reality | WIRED

* 스티브 잡스가 새로운 운영체제와 전면부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혁신적인 핸드폰인 'iPhone'을 출시하였던 역사적인 사건이었고, 오늘날 까지도 전세계적으로 아이폰의 열풍은 이어지고 있다.

 

2010년 1월 27일 : 아이패드가 공개됨

10 Years Ago Today: Apple Unveils The iPad

 

2010년 6월 7일 : 아이폰 4가 발표 및 공개됨.

Apple iPhone 4, 4S, CDMA 흰색 3D 모델 - TurboSquid 620734

 

2011년 8월 9일 :미국 증시에서 애플은 장중 엑손모빌을 누르고 시가총액 1위가 된 역사적 순간

CHART: 20 Years of Apple Vs. ExxonMobil

 

2011년 8월 24일 : 스티브 잡스가 CEO 자리에서 물러나고 팀 쿡이 애플의 새로운 CEO가 됨.

Apple CEO Tim Cook talks 'very deliberate' hiring strategy | Fox Business

 

2011년 10월 5일 : 스티브 잡스가 만 56세의 나이에 췌장암으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건.

Steve Jobs died of respiratory arrest, cancer | CBC News

*당시 스티브 잡스의 죽음으로 애플의 혁신이 끝났다는 여론이 있었을 정도로, 그의 영향력은 컸습니다.

 

2012년 : 아이폰5 출시

2013년 : 아이폰 5s와 아이폰 5C가 공개

2014년 : 아이폰 6, 아이폰6+ 그리고 애플 워치가 공개됨.

iPhone 6 and Apple Watch: First impressions - CBS News

 

2015년 : 애플의 새로운 제품인 애플워치가 발매되었고, 팀 쿡 체재의 첫 접두사 i를 뗀 제품.

-> 애플워치의 출시로 애플은 스마트기기의 재혁신과 헬스케어 산업의 본격적인 진출을 알림.

 

2015년 : 아이폰 6S와 아이폰 6S+ 발매

2016년 3월 31일 : 아이폰 SE 발매

2016년 9월 8일 : 아이폰 7, 아이폰7+, 애플워치 시리즈 2 그리고 애플의 무선 이어폰인 에어팟이 최초 공개됨.

애플 에어팟을 아이폰과 연결하는 방법은 놀랍도록 간편하다 (동영상) < 뉴스&이슈 < 기사본문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선 이어폰 에어팟 및 애플워치를 통해 애플은 스마트 웨어러블 시장의 점유율과 매출을 증가시키게 됨.

 

2016년 11월 : 맥북프로 출시

2016 애플 신형 맥북프로 발표! 특징, 스펙, 가격은? : 네이버 블로그

 

2017년 : 아이폰8 아이폰8+, 애플의 10주년 아이폰인 아이폰 X가 공개 및 출시됨.

e-크기 비교]《아이폰X》《아이폰8+》《아이폰8》 < IT·핀테크 < 경제 < 기사본문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2018년 : 2018년형 아이패드 출시

 

2019년 : 아이폰 11, 아이폰 11프로, 아이폰 11프로 맥스, 그리고 애플의 새로운 무선 이어폰인 에어팟 프로가 출시됨.

아이폰11 시리즈 구매 사은품 에어팟프로 증정 '뉴버스폰' 아이폰X, 아이폰8 무료재고정리 눈길 < 생활정보 < 기사본문 - 뉴스티앤티

 

2020년 9월 15일 : 4세대 아이패드 에어, 애플워치 시리즈 6, 애플워치 SE 출시

애플, 아이패드 에어4, 아이패드8, 애플워치6, 애플워치SE, Apple One 발표 - 플랜김

 

2020년 10월 14일 :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아이폰 12프로, 아이폰 12 프로맥스, 그리고 홈팟 공개.

더 작아졌다 애플, 아이폰12 앞서 '홈팟 미니'부터 공개…가격 99달러 - 아시아경제

*홈팟 : 2018년 애플에서 출시한 스마트 스피커이며, 무려 7개의 트위터를 장착하고, 거대한 우퍼까지 장착하였기 괜찮은 음질을 자랑한다. 애플은 이 제품을 소개하면서 "가정에서 음악을 듣는 것의 재발명"이라고 까지 설명하였다.

 

2021년 : 아이패드 프로 발표

Apple, 획기적인 M1 칩, 눈부시게 빠른 5G, 12.9형 Liquid Retina XDR 디스플레이를 갖춘 iPad Pro 발표  - Apple (KR)

 

2022년 : 아이폰 14 출시

Apple, iPhone 14 및 iPhone 14 Plus 발표 - Apple (KR)

 

2023년 : 애플 비전 프로 출시

蘋果推出混合實境頭戴式設備|大紀元時報香港|獨立敢言的良心媒體

*팀쿡 CEO는 이 기기를 공개하며, AR플랫폼으로 정희했으며, 이 기기를 공간 컴퓨터라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또 다른 형태라 생각됩니다.

 

저자의 의견 : 애플이란 기업은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브 잡스, 론 웨인이 잡스의 부모님 차고에서 컴퓨터 조립 키트인 '애플'을 만들며 시작되었습니다. 그 이후 1979년 주식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스티브 잡스는 대학교를 자퇴하고 본인이 마음속으로 진심으로 하고 싶었던 꿈을 찾아 순수한 열정만을 가지고 서예 수업을 들었고, 그 수업에서 배운 글씨체를 토대로 매킨토시를 개발하게 됩니다.

당시 스티브 잡스는 어이없게도 본인이 창업한 회사에서 해고를 당하였지만, 12년 만에 다시 컴백하여 애플 CEO를 역임하여 2000년대 초반을 아이폰이라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습니다.

그의 끊임없는 혁신과 창의성, 제품에 대한 사랑, 집요한 고집과 노력이 결실을 맺은 순간이며, 당시 개발되었던 아이폰은 현재까지도 끊임없이 업그레이드 되어 시대를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만 56세 나이에 너무나도 이르게 죽음을 맞이한 스티브 잡스를 뒤로 하고, 애플의 혁신에 물음표가 생기는 듯 하였지만, 새로운 CEO인 팀쿡은 계속되는 여러 종류의 애플 제품들과 특히 애플워치 및 에어팟을 출시하면서 애플의 웨어러블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급성장 시켰습니다.

그리고 플랫폼 시대에 걸맞게,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애플워치, 에어팟, 홈팟 등의 모든 제품들을 애플 플랫폼내로 연결시켜 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최근 애플 비전 프로의 출시를 보면 애플은 성장이 둔화된 기업이 아니라 현재 보유한 어마어마한 애플 생태계를 통해 여전히 중장기적으로 고객 생태계를 점유해나가며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나가는 혁신/성장 기업이라 생각되며 상당한 투자 가치를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 스마트폰 수요둔화 속 애플은? (산업 동향 및 애플 점유율 분석)


먼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2013년 이후 홀리데이 시즌 분기내에 가장 저조한 출하량을 기록하면서, 모든 기업들의 출하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유일하게 애플만이 YoY -2%로 경쟁사와 달리 한자리수의 하락폭을 기록하는 모습은 고무적입니다.

 

이번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내 애플의 점유율은 여전히 압도적인 모습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와 같이 애플과 경쟁사를 비교해보면,

*영업이익 시장 점유율 : 애플이 80% 점유율로 2위 삼성과 72% 격차

*매출 시장 점유율 : 애플이 50%로 2위 삼성과 31% 격차

*출하량 시장 점유율 : 삼성 6,060만대 (YoY -19%, QoQ -4%)로 점유율 22% 수준으로 애플 대비 1% 앞서며 1위를 재탈환

 

저자의 의견 : 애플 퍼포먼스는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인해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에서의 프리미엄 제품 점유율 성장 측면에서도 매우 고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애플 생태계 충성도

- iPhone 사용자의 80%가 애플워치 소유 중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 중 40% 만 갤럭시 워치 소유)

- 미국 스마트워치 출하향 56% 애플워치가 차지

- 애플워치 사용자 98% : "매우 만족" 또는 "만족"

- 응답자의 77% 다음 스마트워치로 Apple을 가장 선호

 

2) 50% 이상의 중고시장 점령 및 제품에 더 많은 비용 지출 의향을 가진 고객이 차지중

(리버피시(refurbish) 제품 : 정상품의 반품 또는 반품 상품을 일부 수리한 상품 )

- 2022년 글로벌 리퍼비시 스마트폰 수요 YoY +5%

- 애플 리퍼비시 제품 판매량 YoY +16%

- 애플 리퍼비시 스마트폰 글로벌 시장 점유율 49% (YoY +5%)

 

3) 서구권 Z세대 선호 브랜드 & 중국 프리미엄 시장내 화웨이 공백을 채우는 중

*Bloomber intelligence 스마트폰 브랜드 선호도

- 18~85세 미국인 47%는 애플 선호, 32%는 삼성 선호

- 18~24세 미국인 79%는 애플 선호

 

*중국내 프리미엄 시장 측면에서도 살펴보면,

- 2023년 1분기 중국 스마트폰 매출 YoY -5% 감소하였지만

- 애플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매출 기준)

- 매출 기준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19.9% (YoY +6%)로 역대 최고치 기록 

 


5. 애플의 2023년 2분기 실적


이러한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판매율을 가진 애플은 회계년도 2분기에도 호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2분기 실적

- 매출 : 약 948억달러 (YoY -3%지만, 컨센서스 2% 상회)

- EPS : 1.52$ (YoY 0%에 컨센서스를 6%나 상회)

 

저자의 의견 : 아이폰 매출액은 513억 달러(YoY +2%, 컨센서스는 5% 상회)로 이는 신흥국에서의 아이폰 판매 호조로 역대 동분기 최대실적 기록 및 애플의 활성기기 사용자도 최대치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줌.

작년 하반기 생산차질을 기점으로, 이연수요가 반영되었고, 고마진의 PRO시리즈 비중이 높아지면 수익성 향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서 강달러와 소비적 구매력 약화에 아이폰 판매가 양호하게 되면 매출 총 이익률도 44.3%로 전분기 대비 1.3% 증가하게 되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모습입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으로 자세히 살펴보면,

- 총 제품 매출 739억 달러로 YoY -5% 감소를 하였고, 매출 총 이익률은 36.7%로 0.3% 증가하는 모습

- 품목별 매출액에서 iPhone은 YoY 2% 증가 / iPad는 -13% / Mac은 -31% / 웨어러블(에어팟 및 애플 워치 등) 시장은 -1%를 기록하는 모습

->Mac은 PC 시장 부진 영향에 직격탄을 맞았고, iPad는 M1칩 탑재용 판매량의 기저효과로 역성장을 하는 모습

저자의 의견 : 서비스 매출액은 209억 달러로 YoY 5% 증가를 하게되면 컨센을 -1% 하회하는 모습으로써,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였고, 서비스 매출의 총 이익률은 71%로 0.2% 증가하게 되면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료 구독자 수는 YoY 18% 증가하였고, 앱스토어 그리고 애플뮤직, 아이클라우드, 아이패드 등 서비스가 사상 최대매출을 달성하게 되면서 앞서 언급하였던 애플의 생태계 강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인도에서의 성장성에 대해 강력히 어필한 이번 분기 실적


특히 애플은 이번 실적 발표에서 인도에서의 성장성에 대해 강력하게 어필하였습니다.

애플의 인도에서의 실적은 분기 기준 최고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전년대비 2자리 수 성장을 하였다고 밝히며, 인도내 중상층 확대 및 프리미엄 스마트폰 점유율 이제 시작하는 단계로 아이폰 진입 확대 및 TV, 영화, 스트리밍 등 서비스 매출에서도 중장기적으로 기회가 크다고 전망하였습니다.

 

이번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기준 애플의 시장점유율은 6%로 YoY 50% 성장을 했지만, 여전히 확장성이 큰 모습입니다.

또한 고무적인 모습은 프리미엄 제품군에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압도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도내에 3만 루피 이상의 프리미엄 라인의 경우 애플의 점유율은 36%, 4만 5천 루피 이상의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 점유율은 무려 62%인 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인도의 5G 스마트폰 비율은 43%를 차지하여 YoY 23% 증가를 하게 되면 처음으로 40%를 넘어섰고,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는 YoY 60~66% 정도 급등을 하면 인도의 프리미엄 라인 스마트폰 증가 트랜드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주주 친화적인 애플 (상당한 자사주매입 규모)


주주 친화적인 모습을 계속해서 보이고 있는 애플은 지난 10년간 5860억 달러의 자사주를 소각했는데, 이는 S&P500 493개 기업 시총보다 큰 규모입니다.

- 9년 연속 배당금 인상 및 지급 (5년 평균 7.87% 증가)

- 이번분기 약 230억 달러 규모의 주주환원 (193억 달러 자자수매입 + 37억달러 배당금 지급)

- 이번분기 배당은 YoY 4% 증가한 $0.24를 받게 됩니다.

- 이와 더불어 9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도 승인되었습니다.

 


8. 애플의 가이던스


최근 실적 발표에서 주가에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 부분이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애플의 3분기 가이던스를 살펴보면,

- 매출은 전분기 대비 비슷한 수준을 제시하며, 부정적인 강달러 효과 및 서비스 부문 1자리수 중반 성장을 제시하였고, 이는 컨센서스를 16% 이상 상회하는 가이던스입니다.

- 매출 총 이익률 평균값은 44.25%를 제시하였고, 이는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였습니다.

 

저자의 의견 :  현재 마진에 환율의 부정적인 영향이 남아 있지만, 환율에 의한 매출 증가율 마이너스 효과가 이번 분기부터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비용 절감효과를 지속적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라 애플측은 밝혔으므로, 이번 분기 애플의 가이던스는 긍정적으로 해석됩니다.

 


9. 애플의 장기적 매출/이익 가이던스


아래와 같이 Seeking Alpha에서 전망하는 애플의 3년, 5년 연평균 성장률 추정치를 대입하면,

*Seeking Alpha 애플 연평균 성장률 추정치*

1) 매출(Revenue)

향후 3년 : 12.85%

향후 5년 : 9.25%

 

2) 순이익(Net income)

향후 3년 : 18.55%

향후 5년 : 10.37%

 

아래와 같이 장기매출/이익 추정치 그래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위와 같이 애플의 장기적 실적 전망을 보면, 2022년 기준 한해 매출액(Revenues)인 약 3,943억 달러에 비해 2027년까지 약 70%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순이익의 경우 2022년 기준 한해 998억 달러 대비 2027년까지 약 100%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저자의 의견 : 애플은 다른 성장주들에 비해서는 이미 성장이 많이 진행된 것이 아니냐 라는 의견도 존재하며, 가치주에 가까워지고 있으니 성장성이 점점 더 후퇴하지 않을까 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현재 비지니스의 진행 상황들(꾸준한 아이폰 신버전 출시와 더불어, 웨어러블 시장 점유율 성장 및 애플 비전 프로와 같은 신제품 출시 등)과 시장에서 보는 매출과 순이익 전망치를 보게되면, 매출은 5년간 약 1.7배, 순이익은 약 2배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시가총액 규모를 생각해보면 여전히 엄청난 성장성이 담보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게다가 애플의 경우 꾸준한 배당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며, 향후 5년 여전히 투자 매력도가 높아보이는 기업입니다.

 


10. 애플 벨류에이션


이렇게 좋은 애플의 주식은 고평가일까?, 현재 투자 매력도를 따지기 위해 벨류에이션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애플 VS 업계평균 VS 애플 5년 평균 PER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Non-GAAP 기준 지난 12개월 PER을 보면

애플은 31.12배 / 업계평균은 19.16배 / 애플 5년 평균은 25.32배 입니다.

 

향후 12개월 미래 이익에 대한 PER을 보면,

애플은 30.69배 / 업계평균은 22.58배 / 애플 5년 평균은 23.98배 입니다.

 

*애플의 최근 6개월 주가 상승률 (2023년 1윌 최저점 대비 약 47% 상승)

 

*저자의 의견 : 애플은 올해 1월 최저점 대비 현재까지 무려 47% 정도의 주가 상승이 있었고, 현재 업계평균보다는 PER을 높게 평가 받는 점이 벨류에이션에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의 전 세계적 하이앤드 스마트 기기의 압도적 1위 점유율과 브랜드 이미지를 고려하였을땐 고평가 구간이라 평가되진 않습니다. 물론 애플의 5년 평균 PER 대비보다도 높은 구간이긴 하지만, 현재와 같은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향후 5년간 순이익이 약 1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 끊임없이 혁신적인 제품의 출시에다 덧붙여, 향후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금리기조도 인하방향으로 가게되는 중 장기적 기간(약 5년)을 바라보게 된다면, 아직 상당한 성장이 일어나고 있는 애플의 경우 현재의 벨류에이션은 고평가 구간이라기 보다는, 분할로 차근차근 진입하기에 나쁘지 않은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11. 애플 총평


애플(Apple)전 세계 시가총액 1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꾸준한 성장성, 안정적인 배당, 지속적인 자사주 소각 정책 등으로 어려운 매크로 환경에서도 불구하고 주주들에게 충분한 투자가치를 제공해오고 있는 명품 기업입니다.

전설적인 괴짜이자 천재였던 스티브 잡스의 혁신적인 아이폰 시리즈 개발로 세상을 뒤집어 놓았었고, 그의 죽음 뒤에도 CEO를 역임하고 유능하게 애플을 이끌어가고 있는 팀쿡의 역량도 매우 뛰어납니다.

스티브 잡스가 죽은 후, 애플의 혁신에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옴에 아랑곳하지 않고, 팀쿡 CEO는 지속적인 아이폰 시리즈 출시, 에어팟, 에플워치 등의 웨어러벌 시장 점유율을 큰 확대 및 최근 애플 비전 프로 등의 혁신적인 4차산업 혁명 시대를 이끌어나갈 스마트 기기들을 꾸준히 개발/출시 중이며, 지금 까지 출시되고 판매된 기기들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독점적인 애플생태계를 더욱 강력하게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작년부터 시작된 힘들었던 매크로 상황 및 5%가 넘는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애플의 강력한 현금흐름 및 성장성을 이미 파악한 시장은 애플의 주가를 올해 1월 최저점 대비 약 47%나 상승시켰으며, 이는 애플기업이 명풍기업임을 한번 더 증명하고 있는 시기라 생각되며, 왜 버크셔 헤서웨이에도 애플에 많은 지분을 투자하고 있는지도 납득이 갈 정도로, 애플 기업의 가치는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최근 6개월간 이를 선반영한 시장은 애플의 선행 PER을 높게 만들어 놨으므로, 벨류에이션이 적정가치보다는 상단에 위치해 있지만, 향후 5년간 애플의 순이익이 약 100% 이상 증가 할 수 있다는 전망과, 내년 부터는 금리 인하 기조가 시작되어, 성장주들에게 훈풍이 불어올 것이라는 점 등을 감안 했을때, 단기적인 시점이 아닌 향후 3~5년 정도로 투자기간을 중장기적으로 잡는다면, 분할 매수로 접근하기에는 적정가치 범주에 들어 와 있다고 판단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Disclaimer

- 저자는 본 종복의 주식을 현재 보유하고 있어 편향된 시각일 수도 있습니다.
- 본 보고서는 오렌지 보드에 독점 기재합니다.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미국 혁신/성장 기업 및 산업, 그리고 포트폴리오 분산 차원에서 가치/배당 기업등의 방어주에 대한 분석글도 적으며, 기업 펀더멘탈 측면에서의 장기적 분석을 주로 합니다.

구독자 null
댓글 1
1
7
0
0/1000
  • 텐배거남
    크리에이터
     · 4달 전
    긴글 읽어주셔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런 글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