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기타

보유

삼양패키징, 원재료 상승 계속될까?

by 국민대학교_와이번

2023.09.11 오후 12:14

국민대학교_와이번님의 투자의견
  • 현재 수익률

    -21%
  • 작성시 주가

    16,920 KRW

    23.09.04 기준

  • 목표가

    42,200 KRW149%
  • 투자의견

    매수
  • 투자기간

    2023/09~2024/09
삼양패키징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국민대학교_와이번

파머

콘텐츠 6

팔로워 41

국민대학교_와이번
댓글 4
0/1000
  • 드리머 · 2년 전
    미래이익이 매우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는데 그에 대한 근거가 좀 부족해 보입니다. 글만 읽어서는 공감하기 어렵네요. 그리고 그렇게 큰 규모의 이익증가에 비해 자본적지출과 현금잠김을 너무 긍정적으로 보는 것 아닌지 의구심이 듭니다.. 패키징 산업 자체가 얼마나 성장할지도 매우 의문이구요.
    • 국민대학교_와이번 · 2년 전
      안녕하십니까! 우선 피드백을 주신 것에 대해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당사의 패키징 산업 성장은 고객사 설비 내재화와 경쟁회사의 진입 등의 이유로 정체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패키징 부분의 가동율은 50~60% 수준으로 보수적으로 적용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를 고른 이유는 포인트를 석유화학 벨류체인 내에서의 원재료 비용의 하락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상대적으로 매출 변동이 적은 비탄력적 재화를 취급하는 기업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재활용 사업 부문 설비가 이제 가동을 시작했기에 24~25년 기점으로 패키징 부문의 매출 하락을 상쇄할 것으로 보입니다. CAPEX 투입을 23년 이후에는 감가비 수준으로 적용한 이유에는 패키징 시장 Q 정체 가능성에 따라 신규 CAPA를 늘리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판단했습니다. 더욱이 재활용산업의 경우에도 아직 가동율이 4% 수준이기에 신규 투자를 가정하지 않았습니다. 과거 19~22년 시가 배당률은 4% 수준입니다. 지주회사인 삼양사의 보유지분이 60% 수준임에 따라 높은 현금흐름을 유지할 유인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이익 증가에 대한 논리적 근거가 부족하게 느끼신 점에 대해선 깊이 반성하겠습니다 ㅠㅠ. 다만 전기차 침투율 증가 그리고 나프타 및 파라자일렌, PTA 부문에서의 중국 설비 증가가 수급 측면에서 원재료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NPM의 경우 19~21년 기준으로 8~9% 수준이기에 무리한 예측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단순 19~21년 NPM 기준으로 추정했을 시 upside는 120% 수준으로 도출됩니다. 현재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주가는 하방경직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가 상승 요인이 이미 선반영 된 결과로 추정이 됩니다. 추가적 가격하락 요인이 적은 상황에서 손익 측면에서의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드리머 · 2년 전
      @국민대학교_와이번 
      미래의 일을 누가 알겠습니까? 충분히 훌륭한 분석이고 현재보다 앞으로가 기대되는 분들의 글이라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투자에서 좋은 성과 얻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 국민대학교_와이번 · 2년 전
      @드리머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