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수급 서비스가 잠시 쉬어갑니다.
국내 · 기업탐방
진성티이씨
탐방특공대
2023.06.22
※ 감수인 의견 저자와 소통해 보니, 회사에 직접 다녀오신 듯 합니다. 탐방을 다녀오면 회사에 대해 글로만 알 때와 느낌이 많이 다릅니다. 글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담당자 대화로 얻을 수도 있고, 회사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음 기고 시에는, 회사전경/복도/응접실/각종 액자/수상이력/사업이력 등의 방문해야 볼 수 있는 풍경을 본문에 추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담당자와의 대화는 가능한 자세하게 적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처음 탐방을 갔을 때, 주식 담당자 분이 '대표님은 회사의 배당과 월급 이외에 수입원이 딱히 없다.' 고 했던 말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주주와 경영자의 이익이 일치함을 회사의 사무실에서 확인했을 때, 기분이 참 좋았습니다. 저자의 양해를 구하고, 본문에 기업관련 정보를 조금 더합니다. *앱을 설치하시면, 구독하시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새글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오렌지보드' 로 검색하셔서 설치 부탁 드립니다. Orangeboard.CT가 작성한 글에 댓글로 피드백 주시면, 고객 본인이 원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참여 부탁 드립니다. |
◈ 주가/지표 (감수인 작성)
- 시가총액/주가 : 2,941억 원/12 960원 (2023. 6.22 종가)
- 주가는 대략 캐터필러 주가에 조금 후행하는 듯 (절대적이지 않음)

- 과거 EPS 10배 이상 수준을 받았으나, 현재 6배 정도 받고 있음.
- 과거 BPS 1.5배 이상 수준을 받았으나, 현재 1.3배 수준.
- 밴드는 확장하고 있고, PSR, PGPR, POR, ROE 모두 양호한 수준이나 주가는 답을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판단됨. 지표상 과거 대비 저평가라고 판단됨.
- 요즘 말로 피크아웃의 형태를 보이고 있음. 리레이팅할 수 있는 트리거가 필요한 듯.
- 돈을 잘 벌고, 나누는 건 인색하니 배당성향이 줄고 있음 (최대주주/관계인 36%, 자사주 11%) - 하지만, 성장을 잘 하고 있음. 어찌보면 대단함. 경기 부침이 심한 산업에서 실적이 견고함.
- 아래 CAGR은 17년부터 22년까지 5년간 산정하였음.
- 이익이 성장하는데, 부채의 성장속도는 그보다 느림. 이익력(OPM)이 올라왔음.
- 이 정도 성장하면, 배당 안 줘도 될만 하긴 한데, 향후가 중요할 듯.

- 재무지표 - 양호
- 비유동자산 대비 영업이익이 64%임. 상당부분 이익을 만들어내는 자산이라는 의미임.
- 자본대비 영업이익 58%임. 자본 효율이 우수함.
- 자본(지배)/자본이 100%니 연결재무가 본업 재무라고 봄.
- 비유동장기적합률이 점점 내려가고 있음. 장기자금(비유동자산+비유동부채)대비 비유동자산의 비율임. 돈을 잘 벌고 비유동자산에 대한 투자가 적어서 그렇다고 생각됨. 재무안정성 측면에서는 아주 양호. 성장 투자 측면에서는 조금 아쉬운 부분인 듯.

- 아래는 대창단조임. 지표만 보면 진성이 좀더 나은 듯


◈ 사업내용
- 건설 중장비 하부 주행체 부품 일체 납품중
- 단조/주조로 주로 가공. 대략 6개월~2년 내 교체 필요. 소모품임. 철강재 하락 시, 원가율 좋아짐
- 미국 건설 시장 회복이 가장 중요, 중국 건설 시장 회복이 그 다음 중요한 사업임 - 당사가 글로벌 점유율 1위


◈ 주요고객사
- 캐터필러(60%), 히타치, 현대인프라코어, 두산밥캣
- 밥켓 매출이 작았는데 최근에 늘어남
- 존디어 물량 증가 -> 히타치와 존디어 합작회사가 22년에 종결 -> 당사가 납품
◈ CAPACITY
- 한국에 3개 공장, 창고1개 (CAPA 3000억)
- 중국에 2개 (CAPA 2000억)
- 미국에 1개 (CAPA 2000억)
- 일본에는 판매법인
- 최근에는 태국 법인을 세우고 증설 중
- 연길기준 인원 : 600명
- 당사는 건설시장 및 토목공사에 영향을 많이 받음
- 2번째로 관상 경기에도 영향을 받음
◈ 산업 상황
- 최근 트렌드는 밥켓 및 캐터필러에서 소형으로 다목적 장비가 많이 팔리고 있음
- 세계 인프라 투자 + 복구 사업시 해택 예상
◈ 실적 코멘트
- 22년은 상반기까지 운임비 및 원재료 상승분을 전가하지 못했음
- 22년 하반기 판매단가 상승 + 운임비가 떨어지면서 초과이익 수혜
- 23년 상반기까지는 판매단가 하락했지만 100%반영 X -> 하반기에 반영 될 듯
- 23년 상반기는 계획대비 물량도 늘었으나 하반기는 사업계획정도 물량 + 단가하락 예상
- 23년은 기존의 이익률로 회귀할 것으로 보임
◈ Q&A
- 최근 캐터필러 IR을 보면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방향성이던데?
매출은 견고한데 말씀드린 단가하락으로 마진은 꺾일 것임 - 23년상반기 계획대비 물량이 많이 나온곳이 어딘인지?
미주지역임, 캐터필라, 밥켓, 존디어가 좋음 - 수출입데이터가 있는데 당사는 현지 공장이 많아서 의미없는 지표일지?
그렇게 생각하고 있음 - 북미와 일본은 1분기에 주춤한 이유는?
북미는 여전히 좋음
일본은 일본에서 만들어서 유럽으로 나가는 물량이 있는데 그 쪽이 부진함 - 국가별로 1분기에 국내, 유럽, 중국 고 성장중인데 이유가?
1 ~ 2분기까지 현대 인프라코어가 좋았음
중국은 1분기까지 좋았지만 2분기부터는 하락세로 돌아섬 - 시장에서는 인도 시장을 기대하고 당사도 그에 따라 태국 공장을 지은거 같은데?
인도는 06년도 부터 기대를 했는데 시장자체가 커지고 있지는 않음 - 태국 공장 완공이 딜레이 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사실 그렇게 크게 지으려고 안했는데 고객사들이 태국에서 제품을 납품해주기를 원해서...하면서 커지기도 하고 사실 방향성도 달라지긴 함 - 22년에 국내 CAPA 3000억인데 3589억로 초과를 했는데?
야간작업까지 했었고 지금도 일부 라인은 진행하고 있음 - 지역별 마진의 차이는?
아무래도 미국이 마진이 제일 좋음
미국은 고품질, 고사양 제품의 요구가 많음
◈ 정리
- 22년 단가상승 + 원재료 및 운임비하락으로 초과이익을 얻음
- 23년은 비슷한 수준의 매출과 이익은 역성장 할 수 밖에 없어 보임
- 하지만 캐터필라가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 우크라이나 재건시에 캐터필라가 미국기업이기 떄문에 많이 들어갈 것으로 보임
-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단순 테마를 넘어선 숫자로 수혜 받을 가능성이 높음
- 거기에 플러스 알파로 인도성장
◈ 가이던스
- 사측: 매출 22년 유지될 듯, OPM 8% 타켓
※ 실적과 주가는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가이던스는 말 그대로 가이던스로만 받아들여 주십시오.

Disclaimer
- 저자는 보고서 제공 시점 기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는 오렌지 보드에 독점 기고합니다.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 엘르가든 · 3달 전
태국공장 2천억 캐파면 상당한 큰 규모같은데 태국-인도 연관성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 탐방특공대크리에이터· 3달 전
그걸 기대하고 지은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생각보다 회사 생각만큼 지금까지는 성장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장욱현 · 3달 전
다른 건설기계 대형주들에 비해 진성이나 디와이파워는 주가 움직임이 약한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
- 탐방특공대크리에이터· 3달 전
건설기계 대형주들의 상황을 딥하게 안봐서 모르겠지만 진성이나 디와이파워는 아무래도 22년의 실적이 너무 잘나왔고 대부분 올해는 YOY로 역성장하는 분위기 인거 같습니다. 시장이 성장에 목말라있고 우크라이나 재건이 트리거이겠지만 아직 기약이... 없어 보입니다.
이런 글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