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훈kemN의 팜
투자전략 , 관심종목 :: 이더리움 401K 모멘텀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HD현대인프라코어 / K뷰티 관련주, 에이블씨엔씨 / 반도체 마이크로컨텍솔 전력기기 밸류체인 리레이팅

굿트레이더
2025.08.08 오전 07:48예약발행
*Disclaimer
* 전일 주요 이슈들 중 투자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기록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내용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관련 종목들 중 일부를 매매할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전혀 매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며 간혹 보유 종목들도 존재할 수 있어 단순 참고만 하시되 직접적인 판단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해당 글에서 언급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꼼꼼히 다시 살펴보시고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적 투자 아이디어 공유이며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음을 인지해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는 스스로의 판단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0. 시황/전략
#미국증시


- 키워드 : 트럼프, 스티브 미란 연준 인사 지명 , 9월 금리인하 기대감 부각 / 애플 투자효과 / 반도체 관세 불확실성 해소
#원자재 / 금리


#특징종목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위원님 출처)
엔비디아(+0.81%)는 트럼프의 반도체 칩에 대해 100% 관세 부과 언급에도 광범위한 면제 조건 등을 이유로 상승 출발 후 매출 소화. 그러나 장 마감 직전 결국 상승. 브로드컴(+0.69%)도 장 마감 앞두고 재차 상승.
AMD(+5.69%)는 JP모건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등 긍정적인 소식에 기대 상승. 여기에 캐시우드를 비롯해 일부 운용사들의 매수 소식도 긍정적.
마이크론(+2.84%), TSMC(+4.86%), 램리서치(+3.35%)등은 트럼프가 미국에 생산시설을 설비를 약소한 기업은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AMAT(+2.81%)는 텍사스 생산 장비로 애플용 반도체를 만드는 것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발표
애플(+3.18%)은 전일에 이어 미국 투자 확대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상승세가 지속.
관련 투자로 트럼프 발 혜택 기대가 부각된 데 힘입은 것으로 추정.
코닝(+1.22%)은 애플이 파트너십을 확장해 아이폰 및 애플워치의 커버 글라스 전량을 미국 캔터키 공장에서 상산하기도 했다는 소식에 상승
일라이릴리(-14.14%)는 체중 감소 약물 임상 결과 72주 동안 11.5%의 체중 감소를 보였으나, 경쟁 약물인 노보노디스크(+7.45%)의 위고비(14.9%)보다 효과가 떨어졌다는 소식에 큰 폭 하락.
노보노디스크와 함께 바이킹테라퓨틱스(+11.54%)는 상승. 화이자(+1.25%)도 상승.
비트코인이 트럼프의 401K를 통해 암호화폐 매입 허용 소식에 상승.
이에 스트레티지(+4.85%), 코인베이스(+2.37%)가 상승.
로빈후드(+5.28%)는 S&P500 편입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서클인터넷(-5.43%)은 과도한 상승에 따른 높은 밸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하락

[미국증시 주요 섹터 일간 수익률]

[미국증시 52주 신고가]
-테크 : 엔비디아 / 브로드컴
-AI SW : 팔란티어
-IT소재,부품 : 코닝(애플 아이폰)
-네트워크 장비 : 시스코 / 아리스타네트웍스
-음식배달 플랫폼 : 도어대시 (실적 서프라이즈)
[전일 강세 테마 / 섹터]
: AI,카카오 - 카카오 2분기 호실적 발표 , 하반기 온디바이스AI 기대감
: 조선 - MASGA프로젝트 기대감
: 화장품 - 에이피알 호실적 , 펌텍코리아 호실적 발표 / 달바글로벌 실적 기대 (8/8)
: 반도체 - 삼성전자, 텍사스 오스틴 지역 애플 부품 생산 소식
: 엔터 - 한한령 해제 기대감, 케이팝 데몬 헌터스 모멘텀

-ADR

[대응전략]
: 미국증시는 무난한 흐름 이어지는 모습. 경기둔화 우려감보다는 금리인하 기대감에 시장은 주목하는 분위기
: 9월 금리인하 확률 여전히 90% 이상으로 유력한 상황. 다음주 물가지표(CPI) 12일 발표. 쇼크 수준의 물가 상승 없다면 금리인하 모멘텀과 유동성 장세 흐름 이어질 가능성.
: 9월 금리인하에 대한 힌트와 관련해서는 8월 21일 ~ 23일, 잭슨홀미팅 일정에서 확인이 될 것으로 예상.
: 따라서 해당 일정까지는 증시는 횡보 구간의 기간 조정 이어질 가능성 염두
: 국내증시는 대주주양도세 정책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해소된 상황. 반도체,자동차 등 주요 수출산업의 관세 불확실성 역시 완화.
: 결국 미국시장은 가파른 단기급락의 조정보다는 완만한 기간 조정의 흐름으로 8월은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
: 기간조정 국면 후 금리인하 모멘텀 본격화될 시 이에 따라 국내증시 역시 3분기 이후 긍정적 흐름을 기대
[관심섹터,종목]
#이더리움 #가상화폐
: 퇴직연금 제도인 401(k) 플랜이 암호화폐, 부동산, 사모펀드 등 대체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
: 금리인하 모멘텀과 더불어 401k의 가상화폐 투자 가능해지는 것은 가상화폐 시장의 상단을 크게 열어주는 모멘텀으로 생각
: 이번 싸이클은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의 아웃퍼폼을 계속해서 주목.
: 이더리움 가격은 4000usd가 강력한 심리적 저항선.
: 2주간 단기 조정 후 차익매물 소화, 재차 추세를 다시 살려주는 모습임에 지난 상승 파동 대비 강한 상승 파동이 나올 가능성도 존재
: 8월 말을 기점으로 금리인하 모멘텀 계속 부각된다면 4000usd를 8월 ~ 9월 중 강하게 돌파하는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
: 자산배분 측면에서 가상화폐 쪽 투자를 고민한다면 이더리움이 여전히 탑픽이지 않을까 생각.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 이르면 다음 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고, 연이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함께하는 3자 회담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해짐
: 아직 정확한 일정이 픽스되지는 않은 상황이나 , 일정 픽스된다면 추가적인 기대감이 부각될 가능성도 존재
: 다만 우크라이나 종전 이슈는 매번 기대감 이후 속는 패턴이 반복. 굳이 접근할 필요가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드는 상황
: 퓨어한 테마주 접근은 에스와이스틸텍, 대동기어.
: 펀더 기반의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HD현대인프라코어, HD현대건설기계, 진성티이씨 등
#HD현대인프라코어
: 추세추종 매매 관심
:2분기 호실적, 7분기 만의 연결 매출액 YoY 성장 전환 달성.
:북미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건설기계 판매 증가. (매출 YoY 6.9% , 영업이익 YoY 29.8%). 영업이익률 8.9% 상승
:고수익 발전기용 및 방산용 엔진 판매 확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 하락 사이클의 완연한 상승 전환 예상, 신흥국 마이닝 수요 및 선진국 금리 인하에 따른 재고 재축적 수요 지속 전망.
실적
:25년 매출 4조 2,880억 원, 영업이익 3,510억 원 기록 예상 (전년 대비 각각 4.2%, 90.5% 증가).
:26년 매출 4조 9,900억 원, 영업이익 4,650억 원 기록 예상 (성장 지속)
이슈 모멘텀
우크라이나 재건 이슈 부각되며 센티멘트 측면에서 하방을 받쳐줄 가능성.
실적 및 HD현대건설기계와의 합병 기대감이 상방을 열어줄 가능성.
합병 관련
-HD현대건설기계 : HD현대인프라코어 = 1: 0.1621707 비율로 합병 예정. 26년 1월 1일 합병기일.
#마이크로컨텍솔
: 중국 반도체 굴기로 인한 본업(반도체)의 견조한 성장 + LS일렉향 전자개폐기 실적 더해지며 추가적인 업사이드 기대
: 올해 실적 감안 시 보수적으로 F/per 7~8배 수준 예상
: 여전히 저평가된 가격으로 판단되며 전력설비 밸류체인 기업으로 리레이팅 가능성 높다는 생각
: 기술적 분석 측면, 박스권 하단부 지지라인 위치. 10억 대주주양도세 기준 하향 이후 주가는 고점 대비 -13% 가량 조정받은 모습.
: 그러나 대주주 양도세 다시 원안대로 되돌려질 가능성에 수급적 악영향은 더이상 제한적일 것임에 다시 관심가져볼만.
: 2분기 실적발표 내용 기대해볼만하다는 생각. 작년 2분기 매출 151, 영업이익 15억.
: 작년 영익이 15억이라 올해 2분기 실적은 1분기실적만큼만 나와줘도 기저효과 부각될 가능성

#카카오
:역대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 기록. 작년부터 추진해온 전사적 비용 최적화 결과
:3분기부터 카카오톡과 AI에 다양한 서비스 순차적 런칭, 지속적 성장률 전망
:IR내용에서 확인된 바로는 카카오톡의 향후 진화에 대한 내용 설명. 단순 메신저에서 컨텐츠 발견,탐색, 관계 기반 소셜 기능 포괄하는 플랫폼으로 진화시킬 예정이라고.
: 9월부터 연말까지 순차적 새로운 AI서비스 오픈 예정
: 카카오톡 친구탭 - 일상 공유 필드서비스로 변화
: 카카오톡 세번째탭(숏폼 비디오) 출시 - 크리에이터 보상 체계 구축, 창작활동 지원 계획.
: AI서비스 대중화 전략 추진. 하반기 기점으로 전국민이 매일 AI를 접할 수 있는 접점을 카카오톡 중심으로 마련.
: 카나나, 9월 if KAKAO에서 공개, 10월부터 순차적 런칭.
: 회사측에서는 올해 AI대전환기의 서막으로 판단한다고 함.
: 하반기 다양한 AI서비스 출시, 국내 최초 온디바이스AI 서비스로 선점효과 확보 예정.
#에스엠씨지
: 아래 우산님께서 정리해주신 틱톡 드렌드를 참고.
: K뷰티 카테고리 내의 대부분의 인기 인디브랜드의 트렌드 데이터가 고공 행진 중
: 에이피알 호실적에 이은 펌텍코리아의 호실적.
: 화장품 유리용기 제조하는 에스엠씨지의 성장 여부도 살짝 지켜볼만하다는 생각

출처 : 우산님 텔레채널
#에이블씨엔씨
: 화장품 섹터 주요 종목들의 연이은 어닝 서프라이즈 지속.
: 시장의 심리는 '또 다른 어닝 서프 종목이 무엇일지' 에 대한 고민이 이어질 듯
: 이와 관련해서 지켜볼만한 회사로 에이블씨엔씨 관심
:다수 화장품 브랜드 보유한 종합 뷰티기업
:미국,일본,유럽 등 글로벌 지역으로 수출. 주목할만한 지역은 미국임
:대표 브랜드 ‘미샤’ . 매출 79.1% 차지. 어퓨 (A’PIEU 9.8%), 초공진 8.6%, 스틸라 1.0% 등 포트폴리오 구성
:제품군별 매출 구성은 국내 시장에서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이 각각 50% 수준. 해외 시장에서는 색조화장품 60%, 기초화장품이 40%의 비중을 차지
: :BB크림, 선크림, 시트마스크, 쿠션 제품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보이고 있음
:지난 7월 7일 해외 유명 래퍼 카디비가 동사 제품 ‘M퍼펙트 커버 세럼 BB크림’ 언급하며 전 세계적인 관심이 커진 모습. 해당 영상 이후 아마존,틱톡샵 등 제품 판매량 급격히 증가. (아래 기사 참고)
:2024년 하반기부터 틱톡 기반 마케팅 집중, 올해 1분기부터 효과가 나타나는 상황
:기관 수급 적극적 유입. 작년 고점 돌파할지 주목할 필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603억 원(-9.8% YoY), 영업이익 52억 원(+2.6% YoY), 영업이익률(OPM) 8.7%, 당기순이익 45억 원(+12.6% YoY)을 기록
: F/per 8.5 ~ 10배 수준. 여타 인디브랜드 화장품 기업 대비 부담없는 가격대

※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언급되는 종목들은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의 공유일 뿐입니다.
※ 또한 간혹 보유중인 종목들을 언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경우 보유중인 주식은 언제든지 매수,매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든 내용들은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