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정훈kemN의 팜

켐트로닉스 :: 유리기판 + 애플 밸류체인(폴더블) 모멘텀 체크

굿트레이더

2025.08.28

#유리기판

*이슈 체크

1) 실리콘 포토닉스

: 엔비디아가 26년까지 AI클러스터에 실리콘 포토닉스와 CPO(CoPackaged Optics)를 사용하여 더 낮은 전력으로 더 높은 전송속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

→ CPO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성비가 매우 중요. 이에 따라 유리기판의 필요성이 대두될 가능성이 높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

-> TSMC 및 광학 소재·기판 업체 (유리기판, LD, MRM)에게 기회.

실리콘 포토닉스는 단순히 광모듈 대체 기술이 아니라 AI 데이터센터의 표준 인프라로 부각될 가능성

-> 기판·소재부터 패키징·장비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수혜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

(유리기판 , 광소자 기업들 Coherent/Lumentum 등 수혜 가능성)

국내 유리기판 산업은 핵심 플레이어인 SK앱솔릭스의 자금난 우려 등으로 유리기판 관련 투자지연 등 우려감이 존재.

이에 따라 유리기판 테마에 대한 시장 관심은 식어있는 상태.

덕분에 유리기판 테마주들 주가는 부담을 덜어낸 상태

하지만 향후 저전력,고효율의 유리기판 도입 방향성은 바뀐 부분이 없는 상황이라 생각되기에 긴 시계열에서 조금씩 관심을 가져나가기 좋은 구간이라 판단함.

2) 삼성 x 인텔 유리기판 협력

: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미국 인텔과 차세대 반도체 부품인 유리기판과 패키징 기술 협력을 논의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을 완화할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해짐.

(인텔은 유리기판 연구를 하다가 사업을 접었지만, 최근에는 일부 기술을 외부에 개방하거나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

-> 삼성그룹 유리기판 밸류체인에 대한 우선 순위 관심 필요해보이는 내용

-> 켐트로닉스는 삼성전기 유리기판 컨소시엄에 속해 있으며, 삼성전기는 올 2분기 세종 사업장에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을 구축

상기 언론 보도에 따르면 10월 말까지 라인 구축을 마쳐, 연말 고객사에 시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며파일럿 라인은 올 하반기 중 구축을 마무리하고, 빠르면 3분기 중 관련 설비를 반입할 방침이라고.

준공은 내년 초인 것으로 파악되며 삼성향 납품을 논의 중이며 식각을 포함한 전 라인업 준비 중.

삼성 유리기판 공정 중 TGV 공정을 담당할 예정.

이 중 도금은 외주를 맡길 계획. 도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정을 내재화

-> 도금 쪽 외주가 어디일지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데 관련 기업으로는 와이엠티, 와이씨켐.

#아이폰17 모멘텀

(애플 밸류체인 모멘텀)

*애플 9월 9일 신제품 발표. 아이폰17 공개예정.

-> 이번 무대는 애플이 자사 기기에 AI를 본격적 통합하려는 전략을 보여주는 자리로 평가.

-> 아이폰의 AI통합 모멘텀 본격화 기대.

-> 내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폼팩터 변화 + AI기능 강화

-> 애플 밸류체인 기업들 시장 관심 확대 가능성 높아질 가능성. (켐트로닉스,덕산네오룩스 등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들 체크 필요)

*국제무역위원회 최종판결 (11/17)

-> 국제무역위원회(ITC) ,삼성디스플레이의 중국 BOE 등을 상대로 제기한 영업비밀 침해 소송 최종 판결

-> 11월 17일 판결 예정이나 결과는 거의 확정적.

-> 해당 이슈로 인해 최근 디스플레이 업황에 대한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는 중.

#켐트로닉스

: 디스플레이 식각 기술을 보유한 화학 업체로 현재는 반도체, 전자, 전장,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포트폴리오를 보유

: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반도체 분야에서는 PGMEA 소재를 개발하여 올해부터 매출을 확대할 것이고, Display Glass Thinning에서의 식각 기술 및 경험을 통해 향후 Glass 기판 Value-Chain 내에서 중요한 Player로서 역할을 할 것

: Glass 기판 Supply-Chain 내에서 동사는 TGV 공정에 대한 Full Value-Chain을 구축하여 가공된 Glass를 고객사에게 납품하려는 계획

*유리기판 모멘텀 - 켐트로닉스가 '글라스관통전극(TGV)' 라인 구축에 착수

-> 최근 유리기판 산업 트렌드는 글래스 코어기판보다 글래스 인터포져 적용을 선제적으로 확대하는 분위기

-> 글래스 인터포져 적용 확대 시 필수 핵심 공정인 TGV(유리에 구멍뚫는) 공정과 이에 대한 장비주들이 선제적 관심을 받을 가능성 존재

-> 국내 주요 플레이어는 필옵틱스, 켐트로닉스로 압축.

*애플 아이폰 모멘텀

(아래 낙민동추노 형님의 글을 빌려..)

https://blog.naver.com/gaunyu/223863504246

*결론

1) 유리기판 관련 투자 접근 시

현 시점 가장 매력적인 기업들은 TGV 공정 장비주들

해당 기업들은 필옵틱스, 켐트로닉스 등으로 압축.

단기적으로는 최근 삼성전자 x 인텔 유리기판 협력 모멘텀 부각 가능성

2) 폴더블폰 관련 투자 접근 시

국내 애플 밸류체인 전반 관심 필요

(파인엠텍, 덕산네오룩스, 켐트로닉스 관심)

내년 애플 폴더블폰 시장 본격 참전.

화웨이 트리폴드폰 신제품 출시 -> 삼성전자 트리폴드폰 연내 출시 예정.

스마트폰을 세번 접게 되면 기존 폴더블폰 대비 부품 수요 큰폭 확대.

내년 스마트폰 시장은 '폼팩터의 변화 + AI기능 확장 빌트인' 된 스마트폰의 등장하는 시점.

관련해서 모멘텀이 크게 부각되지 않을까?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