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훈kemN의 팜
투자 아이디어 체크 :: VFO, HBS관련주 / 자사주소각 의무화 / 반도체 4분기 D램 43% 상승, 갤럭시 가격인상 검토 / 오픈AI, 헬스케어 진출

굿트레이더
2025.11.11 오전 06:44예약발행
*텔레그램 채널 입장 안내(클릭)
#배당소득 분리과세 #자사주소각 의무화 관련주
대통령실과 정부, 더불어민주당이 고배당기업의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종전 35%에서 25%로 낮추기로 뜻을 모았지만 여당 일부 의원들의 반대로 세율을 최종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 배당소득 분리과세 추진 막바지를 앞두고 노이즈가 일부 생겨나는 모습. 그러나 이미 정해진 방향성이라 판단. 해당 이슈로 인한 수혜주들의 하락시에는 기회로 보는 것이 좋을 듯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하향 조정으로 가닥이 잡힌 상황이며 이제는 다음 수순으로 자사주 소각 의무화 여부를 지켜봐야될 듯.
현재 여당의 강력한 증시부양 스탠스를 보면 자사주 소각 의무화 역시 가능성이 높은 상황.
단 자사주 보유 유예 기간을 얼마나 줄지가 관건.
어쨋거나 국내증시의 디스카운트 해소가 이루어지는 원년이라는 점, 앞으로도 우리 증시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듯.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주 : 신영증권 / 부국증권 등
#반도체 #D램 #갤럭시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서버, PC, 모바일 등 모든 수요처에서 심화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생산 업체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같은 인공지능(AI)용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라인을 늘리면서 범용 D램 공급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 이번 반도체 싸이클의 호황은 P의 가파른 상승이 크게 기여하는 모습.
반도체 현물가격은 매일같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에 반도체 IDM업체들은 콧노래가 나오는 상황이지만 IT세트를 제조하는 기업들은 가격을 전가하는 부분도 한계가 있음에 메모리 반도체를 구입하는데 서서히 꺼려지는 시기도 다가올 듯.
이러한 이유로 어느 순간에는 현물가격의 상승세가 둔화될 가능성은 분명 찾아올 것.
애플, 삼성전자 등 세트 완성품 업체들은 D램, 낸드플래시를 입도선매 중.
일부 업체는 2027년 물량까지 선주문한 상황
삼성전자는 내년 2월 출시할 예정인 갤럭시 S26 가격 인상을 검토중이라고.
#퀄컴 #엑시노스 #갤럭시S26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26’의 출시일을 내년 2월로 확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 제품 라인업 변경 등의 이유로 ‘내년 3월 출시설’이 불거졌지만, 전사적인 노력을 통해 출시 일정 단축이 가능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 차세대 스마트폰인 갤럭시S26의 출시일이 내년 2월로 확정.
기존 엑시노스2600이 S26에 전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 부분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
그러나 기본 모델과 플러스 모델에는 엑시노스2600을 탑재할 것이라고 함.
전작인 S25에는 전면 퀄컴AP가 탑재된 것과 비교하면 그래도 고무적인 성과.
두산테스나의 수혜를 예상
#VFO관련주 #HBS관련주 #고대역폭스토리지
SK하이닉스가 모바일 D램과 낸드를 하나로 묶은 고대역폭스토리지(HBS)를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인공지능(AI) 성능을 끌어 올리기 위한 차세대 메모리다.
-> 반도체 고성능화, 집적화는 갈수록 확대될 수 밖에 없음에 칩을 계속해서 쌓아올리는 기술이 진화중인 모습.
HBM , HBF에 이어 HBS까지 등장했는데 HBS는 고대역폭스토리지를 의미.
HBS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VFO 패키징 기술
VFO는 수직 와이어 팬아웃 (Vertical Fan out) 이라는 기술로 각 메모리 셀을 수직으로 연결하는게 골자.
D램과 낸드를 쌓아 만들어진 HBS는 AP와 함께 패키징되어 최종 모바일 기기에 탑재될 예정.
HBS는 HBM처럼 칩을 관통하는 TSV 공정이 필요없다고 함.
SK하이닉스가 HBS를 개발하면 삼성전자 역시 같은 방향을 갈 가능성을 생각.
-HBS관련주, VFO관련주 : FOWLP기술을 가진 회사는 네패스로 알려져있음. 수혜여부는 좀 더 확인이 필요.
#전력기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50% 고율 관세에도 하반기 국내 전력기기 업체들의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 '공급자 우위' 시장이 유지되며 관세 우려에도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 이번 3분기 실적에는 전력기기 설비 기업들이 대부분 양호한 실적을 시현. 중장기적으로 확실한 방향성을 보여주는 섹터.
#보스턴다이내믹스
‘AI(인공지능) x Robotics(로보틱스): 초거대 생태계의 탄생’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보스턴다이내믹스 창립자 마크 레이버트가 기조연설자로.
-> 11월 20일, 글로벌미래기술 포럼에서는 보스턴다이내믹스 창립자가 기조연설자로 초청.
#오픈AI #AI헬스케어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건강관리(헬스케어) 산업 진출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10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가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집계 서비스를 비롯해 소비자용 건강 도구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AI활용의 최종 종착지는 로봇,자율주행, 의료산업 등.
오픈AI는 이미 의료진들과 새로운 의료 기술의 공동 개발에 나섰고 제약사들과도 신약 발견을 위한 기술 개발에 협력 중
#2차전지 #전지박 관련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이차전지용 동박 생산 라인을 인공지능(AI)용으로 전환한다. 이차전지 수요 감소에 따른 조치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3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회로박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생산 능력을 기존 대비 1.7배, 2028년에는 5.7배 늘리겠다”고 10일 밝혔다.
-> 전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3분기 실적 발표 후 컨콜에서 AI데이터센터에 대한 회로박의 수요를 언급.
AI수혜주로 리레이팅될 가능성을 고민해야할 듯.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