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ivr의 팜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탄탄한 경쟁력과 풍부한 모멘텀

IV리서치

2025.05.13

기업개요

동사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완전 인간항체 및 인간 나노바디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다중항체 융합체와 pH-감응항체 ADC 신약을 개발하는 항체 전문 신약개발 기업이다. 또한 국내외 파트너 기업과 항체가 포함되는 다수의 바이오의약품 신약도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항체 발굴부터 최적화까지 통합형 토탈 서비스를 용역형태로 제공하여 매년 꾸준한 매출실적도 보여주고 있다. 2024년까지 총 8 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현재 4건의 자체신약 파이프라인과 5건의 공동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개발이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과거 기술신뢰도 확보 구간을 넘어, 2025년은 본격적인 비즈니스 확장의 원년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2026~2027년에는 대형 기술이전 성과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사업화 및 공동개발 현황

동사는 프랑스 제약사 Pierre Fabre와 VSIG4 타깃 항체에 대해, 3D Medicines와는 ALiCE (T 세포 연결 이중항체 기술)에 대해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다. Pierre Fabre, 3D Medicines 각 기업과 후속 프로젝트 또는 지역 확대 관련한 논의 중에 있으며, 국내 ADC 신약 개발업체 L 社와 신규 ADC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자가면역질환 신약 개발업체 I 社와 신규 항체신약 공동개발, TPD 신약 개발업체 U 社와 DAC 신약 공동개발도 진행 중이다. 인투셀과 공동개발 중인 B7-H3 ADC 는 2H25에 미국 임상 IND 제출 예정이고, 이를 기점으로 기술 수출 기대감이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동사는 장기적으로는 자사가 임상 IND 승인까지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이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플랫폼(Multi-AbKine)을 확대할 계획이다.

Multi-Abkine 플랫폼

'Multi-AbKine'은 동사의 다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플랫폼이다. Multi-AbKine은 이미 임상 데이터로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된 아크릭솔리맙 기반의 PD-1 항체와 이에 결합된 사이토카인을 기본 backbone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항암 항체가 포함된 이중항체 기반의 사이토카인 융합체이다. 이중항체에 융합된 사이토카인은 항체가 표적하는 종양조직내 CD8 T 세포에 국소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이 갖는 전신투여 부작용을 줄이고, CD8 T 세포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하게 하여 면역 항암 활성은 높이는 기전이다. 즉, Multi-AbKine 플랫폼은 next 키트루다로 기대되는 PD-1xVEGF 이중항체나 단일항체 기반 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등의 장점을 결합한 플랫폼 기술이다. 2027년 첫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IND 승인 후 대규모 기술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DC
면역항암제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체의약품
Immunocytokine
사이토카인
PD1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