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가치투자의 팜

이번주 시장 전망 및 증시 체크 포인트

전략적가치투자

2024.12.17

 

지난주 국내증시의 일부 반등 이후, 주초에는 지수가 다소 눌리는 모습입니다.

아직 대내외 환경이 녹록치 않은것은 사실이지만 시장 바닥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반영되는 만큼

지치지 않고 시장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번주는 미국의 FOMC회의가 예정되어 있는데 금리 인하 전망이 95%수준으로

FOMC 불확실성은 크지 않습니다.

다만, 내년부터 미국의 금리인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이번 FOMC 이후 미 증시의 힘이 다소 빠질 수 있어 보입니다.

미증시에 일부 조정이 나오면 오히려 수급측면에서 국내증시에 긍정적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현재 기술적인 흐름을 보면, 코스피지수는 2,500p구간에서 코스닥지수는 700p전후로

기술적 부담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12월초에 매수한 물량의 본절매도가 나올 수 있는 구간인만큼

지수의 쉬어감을 염두해야할 것입니다.

신규나 추가매수는 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다만, 대형주의 경우 잦은매매가 오히려 손실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손실이 큰 대형주의 경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완만한 회복을 기다리고 보유하는 것이 유리해 보입니다.

 

 

 

이번주는 FOMC회의도 있지만, 일본의 BOJ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난달 일본 도쿄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2.2% 상승하면서 물가목표치를 상회했고,

3분기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1.2%로 수정되면서 속보치 0.9%를 상회 했습니다.

현재는 BOJ의 금리동결 가능성이 우세하지만, 금리인상 가능성도 없지는 않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동결이어도 다음 회의에서의 인상 가능성을 시사할 수도 있습니다. 

 

엔캐리 자금은 현재 500조엔정도로 추정되고, 금리인상시 청산 예상자금은 32조엔수준입니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엔화상승시 국내주가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금리인상 여부와 엔화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의류업체의 해외수출도 증가하고 있는만큼 의류주도 한번 체크해볼만 합니다.

의류업체는 사업자체의 모멘텀이 제약이나 반도체업체 보다는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이익가시성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최근 K패션에 대한 글로벌 선호도 확대로 관심있게 볼만 하구요.

'마텡킴'이나 '마르디' 같은 브랜드가 외국인들에게 높은 인기입니다.

이미 다수의 국내 브랜드가 해외시장에 안착해 있는 만큼 휠라홀딩스나 F&F 등

해외시장 확장 모멘텀이 있는 의류주도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식시황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