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bagger의 팜

전체보기  

리포트한 달 전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DC411: 삼천당제약의 차세대 성장동력 분석
삼천당제약 (유럽, 일본 특허 등록), 알테오젠 (미국, 일본 특허 등), 암젠 등은 독자적인 방법으로 제형을 안정화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물질특허 만료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기업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천당제약, 알테오젠, 아미코젠 등이 있으며, 해외기업은 인도 바이오콘, 독일 포르미콘, 미국 암젠, 아이슬란드 알보텍, 스위스 산도즈가 개발에 나서 임상 3상 또는 FDA 승인을 받았다. 바이오시밀러(Bio
  • 목표 달성
  • 수익 49%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DC411: 삼천당제약의 차세대 성장동력 분석
리포트한 달 전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시장 진출과 성장 전망
SK바이오팜의 추정 매출액 5,200억으로 고려하면 시장 점유율은 8.7% 정도이다. 15.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인 세노바메이트 (제품명: Xcopri)는 부분발작 치료제로 사용되는 3차 치료제로 2019년 11월 22일 FDA에서 NDA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전체 매출액의 9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16. 경상기술료를 수취 중인 수면 장애치료제인 솔리암페놀(SUNOSI)은 2109년 7월 미국 FDA 승인 이후 지금까지 유의미한 
  • 상승여력 34%
  • 수익 3%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시장 진출과 성장 전망
리포트2달 전
미국 아마존 1위 여드름 패치 ODM 기업 - 티앤엘(340570)
티앤엘은 초기에 친환경 기브스 제품으로 FDA승인을 받아 병원에 간편한 cast 상품을 공급하였으며, 현재는 상처치료제로 하이드로콜로이드, 폼 그리고 알지네이트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5.티앤엘은 매년 20%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으로 최윤소 대표이사는 동경공업대학교 박사 출신으로, 동성화학 연구소에 재직중 1998년 IMF시기에 연구소가 폐쇄되자 연구소 직원들과 함께 국내기술로 자체 개발한 제
  • 상승여력 32%
  • 수익 27%
미국 아마존 1위 여드름 패치 ODM 기업 - 티앤엘(340570)
리포트3달 전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해
메가엠디로 교육관련 테마로 주가가 일시적으로 급등이후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기업이다. 13. 메가엠디는 메가스터디의 계열회사로 대학생 및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합교육기업으로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 변리사, 의,치의학교육 입문검사 등의 교육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전문교육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기업이다. 14. 실적은 교육인구의 감소 영향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어 주가도 52주 최저가에 근접한 수준에 위치하고 있지만
  • 목표 달성
  • 수익 1%
리포트3달 전
애플 아이폰 실적을 통해 매수기회를 찾는 비에이치
비에이치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로 공급하는 애플향 FPCB 제품 매출 비중이 가장 높고 , 전장용 제품은 LG전자가 주요 고객사이다. 7. 스마트폰 OLED 공급 밸류체인은 FPCB를 한국컴퓨터와 제이엠티 그리고 디케이티(비에이치 자회사) 에서 SMT(Surface Mount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 통해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하는 구조이다. 8. 세계의 FPCB경쟁업체로는 일본(Nippon Mektron, Sumitomo, F
  • 상승여력 44%
  • 수익 -16%
애플 아이폰 실적을 통해 매수기회를 찾는 비에이치
리포트3달 전
엠아이텍, 가격 인상으로 4분기 매출 상승 기대
엠아이텍의 해외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수출 data를 통해 3분기 매출을 추정한다. 2. 최근 올림푸스와 장기계약이 종료된 유럽지역 계약에 대해서도 투자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3. 엠아이텍은 비혈관 스텐트 제조 전문 기업으로, 수작업(핸드메이드) 방식의 크로스 후크 구조 스텐트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기술은 유연성이 높아 다양한 장기 형태에 잘 맞는 장점이 있다. 4. 기업의 BM은 비 혈관 스텐트 제품 (국내 1위로 M/S 33% / 
  • 상승여력 45%
  • 수익 -6%
엠아이텍, 가격 인상으로 4분기 매출 상승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