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셀트리온’ 일반글 검색결과

오렌지보드
일 년 전
OSM.2024-06-No.21- 모니터링 포트폴리오!!!
셀트리온 - 삼성SDI ▲ 한국 시각 기준 (미국 주식은 30일 종가임) 2023년 5월 초, 4월 Top10 변동으로 테슬라, 삼성SDI, LG화학 매도함. NVIDIA 비중 상승으로 일부 매도함. 4월말 기준, 대형주Top10 포트 누적 수익률은 34.1%임. 누적 환율 효과는 4.6%임. - 거래비용: 미국주식 1.5%, 국내주식 1%, 매도 시 반영. - 배당금 반영하지 않음 (운영 편의 목적). 운영기간 달러/원 환율이 5.7% 상승함

영리한황소
일 년 전
[매매복기] 제 1원칙, 대장섹터를 찾아라!! 제 2원칙, 대장주를 매수해라!! 제 3원칙, 제 1, 2원칙을 잊지 마라!!
셀트리온 물량과 밸류에이션을 고려했을 때 좋은 투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에스티팜 은 차라리 GERON을 사지 #에스티팜 살 생각은 없음 #애플 애플이 WWDC에서 별거 아닌 것을 내놓았지만 다음날 호평 받으며 ATH 주가 찍는 중 이번 아이폰16은 어떻게 나오던 갤럭시 S24처럼 AI 기대감으로 인해 물량이 잘 팔릴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9월부터는 아이폰16 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하며 관련해 #비에

오렌지보드
10달 전
OSM.2024-07-No.22- 모니터링 포트폴리오 (6월 결산)!!!
셀트리온 - 삼성SDI ▲ 한국 시각 기준 (미국 주식은 전거래일 종가임) 2023년 6월 거래 없었음. 미국 자산 63%, 국내 자산 37%로 리밸런싱이 필요할 수 있으나, 당분간 지켜보기로 함. 2023년 7월 거래 없음. 6월 말 기준, 대형주Top10 포트 누적 수익률은 49.4%임. 누적 환율 효과는 4.2%임. * 거래비용: 미국주식 1.5%, 국내주식 1%, 매도 시 반영. * 배당금 반영하지 않음 (운영 편의 목적). 운영기간 달

머니프리웨이
5달 전
241125 마감 시황
셀트리온,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알테오젠, 한올바이오파마, 에이프로젠, 바이넥스, 녹십자 등 ■ 조선/ 조선기자재 ▷SK증권 - 조선 3사 모두 내년부터 공정 개선 및 23 년 고선가 수주분에 대한 점진적인 건조 비중 확대 효과에 따라 안정적인 실적 개선세를 시현할 것이라고 밝힘. 작년까지 우려가 컸던 인력난 문제는 해결되면서 공정 정상화에 대부분 진입했고, 환율 및 강재부문의 우호적인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 가스운반선 중심

머니프리웨이
5달 전
24/11/28 마감시황
셀트리온제약, 바이넥스, 한올바이오파마, 녹십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종근당, 대웅제약 등 ■ 치매 ▷한국에자이는 금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를 국내 출시했다고 밝힘.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물질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Aβ)를 제거하는 기전의 치료제이며, 지난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인지장애 또는 경증의 알츠하이머병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받은 바 있음. ▷그로쓰리서치는 보고
전략적가치투자
5달 전
국내 제약 바이오주 R&D투자 본격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유한양행 대웅제약 한미약품 순입니다. 한종목씩 간단히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셀트리온의 3분기 기준 누적 RD비용은 3,128억원으로 전년동기비 34%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업계에서 RD 비용 3,000억원을 넘은 기업은 셀트리온이 유일한 상황입니다. 내년까지 무려 11개의 제품 허가를 획득할 것으로 보이고, 2030년까지 22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시장 입지를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올해 해외 주

머니프리웨이
5달 전
24/12/18 마감시황 및 종목분석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스테키마'가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에서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 이번 미국 허가 획득으로 26조원 규모의 글로벌 자가면역질환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게 된다. [관심종목] 관심종목 매매 타이밍은 유튜브 참조!!

Tenbagger
5달 전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DC411: 삼천당제약의 차세대 성장동력 분석
삼천당제약 (유럽, 일본 특허 등록), 알테오젠 (미국, 일본 특허 등), 암젠 등은 독자적인 방법으로 제형을 안정화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물질특허 만료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기업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천당제약, 알테오젠, 아미코젠 등이 있으며, 해외기업은 인도 바이오콘, 독일 포르미콘, 미국 암젠, 아이슬란드 알보텍, 스위스 산도즈가 개발에 나서 임상 3상 또는 FDA 승인을 받았다. 바이오시밀러(B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