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하이브’ 일반글 검색결과

9할9푼9리
일 년 전
석경에이티 유리기판, FR4, LCP필름, PI필름 CCL과 FCCL + 특허권, AI와 PCB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2편 링크 석경에이티 2편, 나노팀과 TIM, 매출 추정 접근 방법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3편 링크 석경에이티 3편, 중공실리카, 통신용(5G, 6G), 디스플레이용(OLED 등)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4편 링크 석경에이티 4편, TIM용 필러, 매출 추

메르xOB
일 년 전
SK가스 A/S - 하반기/내년 기대!!!
하이브리드차 수준의 친환경성을 확보했다라며 SK가스는 앞으로도 택배물류업계 LPG 1톤트럭 차주들의 실질적인 편익 제공 등 상생 협력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LPG 차량 확대는 동사와 E1에게 수혜가 될 듯. 전망#2 - LNG/LPG 발전 '24년 9월 울산GPS(SK가스 지분 99.5%, 설비용량 1.2GW) 상업가동 예정임 (세계 최초 LNG-LPG Dual Fuel 발전소). 수소를 혼소 연료로 사용하는 연구도 추진 중인 듯함.

메르
일 년 전
삼성전자 근황 A/S(feat HBM3E,엔비디아, 펠리클, 한미반도체)
하이브리드본딩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사용된다. 세메스나 한미반도체 모두 하이브리드본딩에 도전하고 있다. TC본더는 한미반도체를 사용하고, 세메스가 하이브리드본딩에 성공하면 차세대에서 세메스를 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할듯하다. 한미반도체가 SK하이닉스에 TC본더를 납품하며, SK하이닉스의 안정적인 수율과 성능에 일조를 한만큼, 삼성전자가 한미반도체의 TC본더를 사용한다면 HBM3E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어보인다. 삼성전자의 바뀐 수장이 과거 감정을

메르
10달 전
게임이론(feat 사람은 이기적이고, 손해와 이익에 따라서 움직인다)
하이브와 어도어 사태를 게임이론으로 보면, 뉴진스가 너무 성공한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불만은 나눠 먹을게 있을때 싹트기 시작하는 것이다. 공평하게 1/N으로 나눈다고 사람들은 공평하다고 느끼지는 않는다. 자기가 생각하는 기여도가 다르기때문이다. "내가 조금 더 양보하지" 하면서 상대방에게 잘해준다고 해결되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이기적이고, 무작정 잘해주면 고마워하기보다 호구로 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상대의 호의에 기대지 않고

9할9푼9리
10달 전
삼성전기 수혜주 MLCC와 석경에이티 임가공
석경에이티 석경에이티는 삼성전기의 원료 및 자성체 성능 개선을 위한 표면산화막 제거 임가공을 20년도부터 계약. 해당 사업을 위해 22년 2공장에 임가공 CAPA 확장을 한 상태. 현재 기간은 당연히 연장되었고 신규 제품군의 임가공도 담당한다고 한다. 아마 삼성전기의 고성능(전장 / AI / 서버) MLCC 부문으로 보인다. 해당 임가공은 GPM 70~80% 수준의 높은 이익을 남기는 임가공이다. 고객사인 삼성전기의 경우 22~23년의 상황이

웡키
10달 전
[제이씨케미칼] 바이오연료에 대한 유럽의 반덤핑 수혜 기대
제이씨케미칼은 바이오연료(바이오디젤, 바이오중유)를 생산하고 이를 납품하는 회사입니다. 바이오연료는 연소시 황성분이 없고 완전 연소가 되기 때문에 미세먼지와 일산화탄소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발전소/운송수단에 사용되는 벙커씨유, 경유 등에 바이오연료를 섞어서 사용하면 비교적 친환경적인 연소를 통한 동력을 확보하는게 가능하죠. 다만, 문제는 바이오연료의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에 정책적인 제한이 없다면 사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메르
10달 전
카카오 김범수 구속 수감의 내막(feat 주가 조종, 하이브, SM엔터)
하이브에 넘기기로 함. 15. 하이브는 이회장에게 지분 14.8%를 가져오는 것 외에 지분 25%(595만 주)를 시장에서 공개매수하겠다고 선언함. 16. 하이브는 7만 원대였던 SM 주식을 12만 원에 공개매수하겠다고 한 것임. 17. 카카오는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는 작업을 시작함. 18. 카카오 자체 자금뿐만 아니라 원아시아파트너스라는 사모펀드를 동원해서 SM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한 것임. 19. 원아시아파트너스 및 연관된 유한회사가

부산대 SMP
8달 전
티씨케이(064760) : 긴 겨울 지나, 이제는 봄
티씨케이는 Tokai Carbon Korea의 약자로, 과거 해외의존도가 100%에 달하던 고순도 흑연 제품의 국산화를 위해 탄소 소재 전문회사인 일본 도카이카본㈜과 반도체 장비 국내 선두 업체인 ㈜케이씨텍의 합작으로 1996년 설립되었다. 2. 거버넌스 동사는 설립 당시 관여한 두 기업인 도카이카본(47.4%), 케이씨(11.2%)를 최대 주주로 두고 있다. 도카이카본은 동사의 원천 기술의 보고이며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처가 되어주는 든든한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