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3160
‘033160’ 일반글 검색결과

굿트레이더
4년 전
11/30 주식찌라시 추천주 - 시오노기 제약, '오미크론 백신' 개발 추진, 관련주 일동제약 외
033160) 한송네오텍, 오미크론 공포, 코로나19 치료제 나파모스타트2배 사멸효과 입증 *** 한송네오텍 (226440) 시오노기 제약, '오미크론 백신' 개발 추진 - 1보 일동제약, 시오노기 제약과 먹는 코로나 치료제 개발 착수 *** 일동제약 (249420) 모더나 CEO “기존 백신, 오미크론에 효과 적을듯” [단독]파미셀, 화이자·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원료 공급 **** 파미셀(005690) 오미크론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 진원

카리스마
4년 전
엠케이전자 2차전지 음극재 관련 컨퍼런스 콜
엠케이전자 컨퍼런스콜 (22.01.18.) 주식통합플랫폼 오렌지보드, 개인투자자를 위한 건강한 투자 생태계를 만들어갑니다. www.orangeboard.co.kr 엠케이전자 컨퍼런스콜 내용입니다. 링크타고 들어가면 바로 봐집니다. 아래는 엠케이전자 1월 리포트 내용 요약영상입니다. ", "or

펄픽
4년 전
21년 4분기 실적발표 일정
관심기업이나 보유기업 실적발표일 확인하셔도 되고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은 눈여겨봐야 할 시점입니다 실적발표 일정 1월 24일 삼천당제약, 쎄트렉아이, 일성신약, 퍼스텍, 조비, 진양폴리, 글로본, 신라섬유, 하이스틸, 네이블 1월 25일 동서, 대한유화, 애경케미칼, 아주스틸, 대한제강, 테크윙, 조이시티, 모토닉, 팜스코, 풍국주정, 한국특강, 오리엔탈정공, 플레이위드, 신신제약, 영보화학, 서연탑메탈, 애니젠, 케이에스피, 피델릭스, 리노스,

인라밸
4년 전
2차전지 기술방향과 소재변화와 관련주(ft, 나노신소재, 포스코케미칼, 대주전자재료)
2차전지 배터리 형태별 원가, 주요 자동차모델 배터리 형태별 원가 - 원형 92$, 각형 94$, 파우치 96$ - 셀 재료비 63$/kwh - 음극재 인조흑연 비중 증가(21년 70%) - 분리막 습식막 비중 증가(21년 68%) 국내 배터리 채용 주요 자동차 모델 - LGES : 테슬라 모델 Y, 폭스바겐 ID3, ID4, 포드 Mach-E - 삼성 SDI : 아우디 이트론, 피아트 500 등 - SK이노베이션 : 현대기아 위주, 니로, 아
投資아레테
3년 전
[소부장 유망기업탐방] '반도체 와이어' 1위 엠케이전자, 배터리 소재 도전
#엠케이전자 #반도체 #와이어 #BGA #배터리 #폐기물 [소부장 유망기업탐방] '반도체 와이어' 1위 엠케이전자, 배터리 소재 도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는 세계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를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만들기 위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는 해외의존도가 높다. 일본 수출 n.news.naver.com

인라밸
3년 전
폴디드줌, 와이어링 하네스, ECU, MCU 전기차로의 전환
본 글은 2022년 8월 1일에 발간된 메리츠증권의 리포트를 발췌 및 요약하였습니다. 다소 틀린 부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1. 폴디드 줌 : 프리즘으로 빛의 경로를 굴절시키고 렌즈는 가로로 배치하여 카메로 모듈 높이를 최소화한 기술로 잠망경 형태를 통해 카툭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 2021년 폴디드 줌의 수요는 2,670만대로 현재 갤럭시 S 울트라 시리즈에만 적용 폴디드 줌 관련 밸류체인으로는 LG이노텍, 삼성전기, 엠씨넥스, 액트로

카리스마
3년 전
엠케이전자 반기보고서 리뷰
", "originalWidth" : "400", "originalHeight" : "225", "contentMode" : "fit", "description": "#시황 #엠케이전자 #실적발표 #이차전지 #주식 #반도체 #솔더볼", "inputUrl": " &quo

해기사투자자
3년 전
반도체 섹터 (글로벌) 기업 정리 (1차 업로드)
솔직히 저는 주식공부를 하면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데이터 정리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주요 팩트들 몇 가지를 가지고 샤워하면서, 밥먹으면서, 똥싸면서 남들이 하지 않는 생각을 하려고 시간을 보내는 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섹터가 전방위로 서로간에 잠재적 밸류체인이 될 수 있고, 대형 빅테크나 팹업체의 행보가 소부장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미흡하게나마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비상장기업도 있습니다. *매출비중이 미미한 기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