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180

329180일반글 검색결과

메르

8달 전

한화오션이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아직, 국내기사는 보이지 않는데, 글을 올릴즈음에는 국내기사가 나올수 있을듯하다. 현금 1억불에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하는데, 실사과정을 거쳐서 최종 인수금액은 연말쯤 결정될듯하다. 필리 조선소는 미국 대형 상선의 절반정도를 만들고 있고, 해양풍력 설치선등의 친환경 선박의 건조실적도 가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해상풍력설치선 철강 절단식에 참석하기위해 방문한 곳이 필리조선소이기도 하

해기사투자자

8달 전

조선업 투자는 중후장대 시크리컬로 전방은 해운업, 후방은 철강산업인, 극악의 NO 가성비 섹터입니다.쉽게 말하면 원자재/에너지 밸류체인의 중간체 그 자체입니다. 현재 AI태동으로 인한 반도체 산업, 글로벌 K뷰티의 시작으로 인한 화장품, 모든것의 전기화로 인한 그리드 섹터 투자에 비하면 투자 아이디어가 임팩트 없기 때문에 타 섹터에 비해 투자매력도가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섹터가 업사이클임을 인정받고 주가가 파멸적으로 상승하는 

해기사투자자

8달 전

한화엔진은 업황에 따라 숫자로 증명할 부분이 투자포인트입니다. 주력은 추진엔진(저속, 대형엔진)입니다. 현재 친환경규제로 인해 추진기관의 전환 아젠다의 주인공 격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부터 동사의 수주잔고 중 D/F 엔진 비중은 90%를 상회 했습니다. 한화엔진은 기존 HSD엔진에서, 올해 한화임팩트가 인수함에 따라 한화그룹으로 편입되었습니다. 그래서 주력고객은 한화오션으로 볼 수 있으며, 자체 엔진제작사가 없는 삼성중공

해기사투자자

7달 전

*본 포스팅에 언급된 종목은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며, 투자 아이디어 공유 차원에서 공유드립니다. 이전에 앞서 조선업 투자 전략에 대해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아이디어인 '엔진' 부분과 관련하여 STX중공업 투자 전략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다시 한번 간략히 정리하자면, 글로벌 조선업황은 '친환경 규제'와 '해운선사들의 이어지는 호황',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LNG/석유 등 에너지 자국화' 등에 의해 업사이클에 들어서고 있습니다

해기사투자자

7달 전

본 포스팅은 매수 매도 판단을 추천드리지 않으며, 아이디어 공유 차원에서 작성합니다. 개인적인 투자 성향 상 남들이 다 쳐다보는 섹터를 신규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섹터가 장기적으로 2~3년 이상이 갈 것이라고 판단되면 시장 리스크 및 노이즈로 무너질 때 매수하는 격이기에, 아예 배제하지도 않습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저의 관심종목을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선섹터는 제가 올해 들어 자주 언급하는 섹터인 것 같습니다. 그만큼

메르

6달 전

중요한 변동사항이 발생되어, 내용을 업데이트 합니다. 처음보는 분도 이해가 갈 수 있게 앞부분에 기존 내용 반복이 있습니다. 1. 미국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백색함대(Great White Fleet) 계획을 수립함. 2. 대백색함대 계획은 조선업 인프라를 늘려서, 대규모 해군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었음. 3. 1907년부터 조선업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했고, 이 인프라가 2차 세계대전 직전에 완성된 것임 . 4. 2차 세계대전 초기, 독일

국민대 와이번

5달 전

펄픽

4달 전

삼화콘덴서공업) 1976년 삼화콘덴서 KOSPI 상장 1985년 MLCC 양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1997년 삼화 USA 설립 1997년 삼화 Thailand 설립(필름 캐패시터의 생산과 판매를 담당, 지분 99.9% 보유)/연결종속회사 1997년 인도네시아 지역법인 설립(DCC, Disc Ceramic Capacitor 생산 및 판매, 지분 99.9%)/연결종속회사 2001년 삼화 유럽법인 설립 20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