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
‘LEN’ 일반글 검색결과
메르
9달 전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 공급 문제 근황(feat SK하이닉스, TSMC)
HBM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어 정리해봅니다. 삼성전자 임원, 美 출장서 엔비디아 만난다…HBM 공급 '막판 조율' - 뉴스웍스 [뉴스웍스=채윤정 기자] HBM(고대역폭 메모리)의 엔비디아 공급과 관련, 삼성전자 임원들이 미국 출장에 올랐다. 현재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HBM3E 12단에 대해 퀄 테스트(품질 검증)를 진행 중인 가운데, 해당 ... www.newsworks.co.kr 삼성전자 HBM 연구직 임원들이 엔비디아를 만나러
메르
7달 전
일본 종합상사 팔아요?
제목과 같은 질문이 댓글에 많아서 주절주절 해봅니다. 포트폴리오와 관련해서 한 달쯤 전에 주절주절했던 적이 있다. 1분기 포트폴리오 리뷰(feat 종합상사, 금은,10년물,조선주, 2621) 자주 바뀌지 않는 내 포트폴리오는 블로그 글을 계속 읽으시는 분이면 알 것이다. 그래도 올해 1분기가 지나... blog.naver.com 3월말 포트폴리오는 일본 종합상사 45%, 현금(단기국채) 26%, 금은 15%, 조선 ETF 10%, 미국 장기국채
메르
7달 전
(오보)삼성전자, 엔비디아 HBM 퀄 테스트 통과
[단독] 삼성전자, 엔비디아 뚫었다… HBM3E 퀄테스트 최종 통과 삼성전자가 마침내 엔비디아에 5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인 HBM3E 퀄테스트(품질 검증)에서 승인을 얻었다. 조만간 이후 절차를 밟아 공식적으로 HBM 공급을 위한 양산에 본격 나설 것으로 보인다.4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엔비디아로부터 HBM3E 퀄테스트 PRA(Product Readiness Approval)를 통보받았다. 이후에는 공급을 위한
9할9푼9리
7달 전
비전프로 SONY 독점 공급, XR(VR, AR, MR) 시장, OLEDos SONY 독주
'XR 기기' 8년이면 스마트폰 만큼 큰다…반도체디스플레이 선점 경쟁 - 머니투데이 (mt.co.kr) XR 시장 개화로 현재 주로 사용되는 LCD(액정표시장치)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넘어 마이크로 OLED 활용이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30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XR 헤드셋 출하량은 1800만대를 기록한 뒤 2023년 3600만대, 2024년 5700만대 등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
메르
6달 전
삼성전자 HBM 3E 퀄테스트 통과?(feat 로이터)
삼성전자의 HBM3E가 엔비디아 퀄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삼성전자 HBM에 대해 내부정보로 기사를 계속쓰던 로이터 통신의 기사라, 공식답변이 안나왔지만 사실일 가능성은 높아 보였다. 하지만, 오보라는 삼성전자의 공식 답변이 나온것 같다. 로이터에서는 내부직원 3명에게 크로스체크를 한 기사라고 하니, 무엇인가 진전은 있은 듯하다. 공부를 하면서 기다려 보자. 삼성전자의 HBM에 대해서는 몇번 글을 쓴적이 있다. 삼성전자, 엔비디아
IV리서치
5달 전
국내 NSCLC 관련 기업
레이저티닙 FDA 승인을 축하드립니다! 국내 비소세포폐암 파이프라인 개발 관련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간략 코멘트 드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유한양행/오스코텍 (7.5조원, 1.6조원) ① 어제 아미반타맙IV + 레이저티닙 승인 ② 4Q24 아비반타맙SC + 레이저티닙 승인 기대 (추가 모멘텀) ③ 1H25 MARIPOSA 전체 OS 데이터 기대 중(이번 허가는 mPFS 데이터 기반) 국내 비소세포폐암 관련 기업 1. 보로노이 (1.2조원)
IV리서치
5달 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 두 가지 잠재력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 두 가지 잠재력]]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IV리서치 고수의 계좌 수익률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고수톡'을 통해 투자포인트 설명 드린 바 있으나,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자료 작성하였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BBT-877 : 특발성폐섬유증 치료제 2. BBT-207 : 4세대 EGFR TKI 3. 주가 관련 1. BBT-877: 특발성폐섬유증 치료제 1) 특발성폐
메르
5달 전
내연자동차의 재도전(feat 이퓨얼, 전기자동차, 인공석유)
최근 동향을 반영해서, 업데이트 합니다. karsten_wuerth, 출처 Unsplash 1. EU의 환경규제가 느슨해지기 시작함. 2. EU는 자동차와 트럭에 대한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유로1"을 시작으로 "유로6"까지 강화했고, "유로7"을 진행하고 있었음. 3. "유로7"이 "유로6"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되어, 실질적인 강화효과가 거의 없게 완화되고 있는 것임. 4. 영국도 내연기관 신차 판매금지 시기를 2030년에서 2035년으로 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