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LG

LG일반글 검색결과

아타락시아

일 년 전

LG화학 등의 국내 화학기업에서 대부분 조달한다고 한다. 'DINP' -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라고 하며, PVC 및 플라스틱, 고무, 잉크, 접착제, 페인트 등에 쓰이는 가소제 (한화) 'LS-100' - LG화학에서 공급하는 소재로 파이프, 타포린, 패션/섬유산업, 랩 필름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 2021, 2022년 코로나 시국에 원재료 가격이 껑충 뛰었고, 3분기 현재 많이 안정된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 제품 가격 또한 수출, 내수 

9할9푼9리

일 년 전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2편 링크 석경에이티 2편, 나노팀과 TIM, 매출 추정 접근 방법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 중공실리카(Hollow silica) (석경에이티 보고서 발췌) 말 그대로 중간이 비어있는 실리카다. 주요 특성으로는 저굴절률, 저유전율, 저유전손실, 단열 등이 있다. 일본의 Nippon Shok

9할9푼9리

일 년 전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2편 링크 석경에이티 2편, 나노팀과 TIM, 매출 추정 접근 방법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3편 링크 석경에이티 3편, 중공실리카, 통신용(5G, 6G), 디스플레이용(OLED 등)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4편 링크 석경에이티 4편, TIM용 필러, 매출 추

오렌지보드

9달 전

LG화학 2024년 3월 말 - 삼성SDI - NAVER 2024년 2월 말 - - - - 2024년 1월 말 - 셀트리온 - 삼성SDI ▲ 한국 시각 기준 (미국 주식은 30일 종가임) 2023년 5월 초, 4월 Top10 변동으로 테슬라, 삼성SDI, LG화학 매도함. NVIDIA 비중 상승으로 일부 매도함. 4월말 기준, 대형주Top10 포트 누적 수익률은 34.1%임. 누적 환율 효과는 4.6%임. - 거래비용: 미국주식 1.5%, 국내

영리한황소

9달 전

LG이노텍 을 매수 대기 중이다. 지금 조정 중이라 눌림목 기다리고 있는데 곧 좋은 매수 기회 줄 것 같아 기다리는 중이다. #디케이티 는 사업부도 좋은데 아이패드 관련이라 살짝 2등주 느낌이다. 아이폰 = 1등 아이템, 아이패드 = 2등 아이템 #영일만 #한국가스공사 가 보합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 영일만 테마주는 테마 매매를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포트폴리오 헷징용으로 가져가야 한다 생각한다. 한국장은 테마주가 상승하면 기

골드핑거

9달 전

강원에너지도 각종 플랜트에 설치되는 산업용 보일러가 주력이었던 전통 산업에서 2차전지 설비 및 소재 사업이라는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기업이다. 1. 사업분야 . 23년 1392억 매출 중 2차전지 소재, 설비 부분이 약 60%, 플랜트 부문이 40% . 24년 1분기는 821억 매출에 2차전지 사업부문이 무려 80%까지 늘어났다. . 23년 12월부터 고객사 퀄 테스트 이후 4개 라인을 풀 가동한 결과 플랜트 기업에서 2차전지 소재, 설비 기업

9할9푼9리

9달 전

석경에이티 중공실리카 1,000 nm = 1μm 0.1 μm * 1000 = 100 nm 중공실리카 (Hollow silica)의 경우 파우더 형태, 액상 형태, mixing, 분산까지 완료된 형태 등 여러 제품으로 나와있다. ⓐ 기판 소재(Low - dk, df) ⓑ 디스플레이 소재 (굴절, 반사) 기판 용도의 경우 200 ~ 5,000 nm 디스플레이 용도의 경우 5 ~ 100 nm 사이즈다. ⓒ 매출 추정 Case 1 Case 

단디해라

9달 전

에스에이엠티) 서빙용 로봇과 함께 1월 월보에서 다뤄짐 역시나 몰랐던 좋은 내용을 많이 알게됨 관심의 배경 1) 비메모리... blog.naver.com IT유통산업의 특징 제조사로부터 제품을 매입하여 유통 매입가와 판매가의 차액에서 마진 발생 마진은 사실상 통제 불가 현물가가 급격히 올라 매입가 당시 차액보다 판매 시점의 판가 차액이 높으면 됨 구리 메탈게인처럼? IT벤더와 최종수요자가 직접 거래는 쉽지 않음 유니퀘스트 예시: 60개 벤더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