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SYK

SYK일반글 검색결과

굿트레이더

6년 전

★ 로보티즈 투자 포인트 * 로봇용 액추에이터 전문 기업 - 시가총액 2,211억원. 로봇의 액추에이터와 구동 프로그램, 교육용 로봇의 개발 및 생산에 특화된 기업. - LG전자가 주요 주주 (지분율 8.55%) - 로봇의 관절 역할을 하는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이 핵심 제품 - 2018년 매출액 243억원 (+35.5% YoY), 영업이익 18억원 (+23.4% YoY, 영업이익률 7.2%)를 기록 - 에듀테인먼트 로봇 55%, 솔루션 (액

동물원

3년 전

1. 회사개요 시총: 3100억 2021년 결산 실적: 매출 428억, 영익 -18억, 순익 -23억 (적자회사) 2012년~2014년 3년 연속 적자내다가, 2015년 반짝 흑전 2016년~2019년 4년 연속 적자내다가, 2020년 반짝 흑전 2021년 다시 적전, 2022년도 적자 계속될 듯 2015년, 2020년 반짝 흑전의 이유는? 식품원재료 사업이 반짝 좋았던 시기 식품원재료 사업으로 돈 벌어서 수술재활로봇에 돈을 투입하는 사업 구조

동물원

2년 전

[메가카티 판매를 위한 자회사 설립] 메가카티 출시를 앞두고 정형외과, 신경외과 대상 영업을 위한 자회사 설립 100% 자회사 대표이사 임수성 상우. 1977년생 영업 담당 상무, 엘앤씨메디케어는 메가카티 영업 담당 자회사 정형외과 영업 마케팅 전문 정희성 이사 영입. 정희성 이사는 SmithNephew, 한국스트라이커 등 인공관절 영업 담당 경력직 정형외과 이외에 신경외과를 함께 추가한 건 메가너브를 염두에 둔 계획인 듯 메가카티 뿐 아니라 

동물원

2년 전

[코렌텍] 인공관절기업 시총 1600억 매출: 84%(인공고관절, 인공슬관절), 10%(척추고정체, 어깨관절) 내수 65%, 수출 35% (미국 18%, 멕시코/동남아 17%) 매출처: 울소바이오, Biortec, 스타바이오, 케어캠프 등 내수: 직영(병원 직접 공급) + 대리점 위탁판매 수출: 종속회사(코렉텍 아메리카, 코렌텍 차이나) 핵심기술: 인공관절 표면처리 기술(인공관절 표면에 생체친화적인 표면처리) 인공관절 글로벌 시장 (고관절) 짐

동물원

2년 전

몇 달간 혼자 공부하며 정리하던 글이어서 두서 없음 저 혼자 공부하기 위해 정리한 글이어서 뇌피셜과 오류 정보 다수 미보유 편향 있음 시총 900억 시총 1000억 이하. 공부가 필요한 가격까지 내려왔다고 판단함 (요약) 시총 900억이라 해도 2023년 상반기 매출 44억, 영업적자 -114억으로 싸다고 말할 근거 없음 작년 대비 매출이 역성장했는데 회사에서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설명함 이제 막 상장한 회사가 매출/영업이익 뒷걸음치

굿트레이더

2년 전

지난 상반기 결산 이후 정리하는 미국주식 투자전략과 근황 업데이트. * 지난 글 참고 미국주식 상반기 결산과 하반기 투자전략 - 하반기는 마이크론테크로 승부를... 간만에 적어보는 미국주식 투자 전략. 상반기를 결산하고 하반기를 앞두며 생각을 정리하고자 기록을 해본... blog.naver.com 미국주식은 비중 자체가 적은 편이라 아쉬운 부분이 있음. 개인적으로 미국주식 투자를 2020년부터 시작했었는데 달러환율이 매우 낮았었던 그 당시에 비

동물원

2년 전

다빈치: 수술용 의료로봇 시장의 절대적 강자 KB증권 김세환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인튜이티브서지컬의 수술용 의료로봇 시장 점유율은 80%에 달한다고 함 80% 시장점유율 수치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최소 50% 이상은 될 것이라고 생각함 하이투자증권 "수술용 로봇으로 글로벌 수술 패러다임 전환" 레포트와 글로벌 인포매이션 "세계 의료용 로봇시장" 레포트에 따라 추정한 업체별 시장점유율은 대략 50% 수준 인튜이티브 서지컬: 50% 메드

동물원

일 년 전

글로벌 로봇수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통계가 뒤죽박죽 일부 외국자료에 의하면 연간 100만건 정도를 추정하는 자료도 있는데,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IR 자료에 의하면, ISRG에서 집계하는 로봇수술 통계만 연간 200만건 이상 전년 대비 로봇수술 건수는 22% 성장 로봇수술은 주로 일반외과, 산부인과, 비뇨기과에서 이뤄지고 있음 일반외과, 산부인과, 비뇨기과를 제외한 로봇수술 건수는 매우 낮은 비중이지만(4%) 수준 성장율은 낮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