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나노텍 - 리튬 가격 반등 수혜주

by 골드핑거

2024.03.03 오후 12:15

골드핑거님의 투자의견
  • 현재 수익률

    -60%
  • 작성시 주가

    22,100 KRW

    24.02.28 기준

  • 목표가

    40,000 KRW81%
  • 투자의견

    매수
  • 투자기간

    2024/03~2024/12

최근 리튬, 니켈 등 배터리 핵심 재료로 쓰이는 메탈 가격이 바닥을 찍었다는 뉴스가 나오기 시작. 사유는 전방 산업인 전기차 수요가 줄면서 메탈 가격도 동반 하락하여 생산 업체들이 공급량을 줄이고 있다는 것.

채굴량이 줄어들면서 어느 정도 바닥을 잡을 것이라는 예상들이 많았는데, 실제 가격 그래프를 보면 반등의 움직임이 보이는 듯 하다. 니켈은 17,100$/톤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리튬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 들어 지속 하락해 지난달 kg당 86.5위안까지 떨어진 뒤, 이달 들어 91위안으로 소폭 반등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리튬 가격은 톤당 10만 위안이 붕괴된 뒤 감산이 본격화됐고 이런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한다. 

 

미국 대표기업인 알버말 주가도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하락이 최근 반등 중

 

국내 시장에 리튬 관련주라고 하면 대표적인 기업이 아래 4개사 정도.

엔지니어 TV에 따르면, 리튬 사업은 크게 3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다.

탄산리튬을 수산화리튬으로 전환, 분쉐하고 수산화리튬을 무수산리튬으로 과정.

원료 확보를 위해 리튬 광산에 투자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으로 진출 하는 등 

이 중 위에 언급한 4 개사 중 현재 시총 1위인 미래나노텍은 수산화리튬의 미세가공 업체이고, 강원에너지는 무수산리튬 생산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 중 대표기업인 미래나노텍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면, 

 

1. 사업개요

- 미래나노텍은 광학필름 및 2차전지 필수소재 전문 기업

미래 성장 동력인 이차전지 사업은 2022.2월 미래첨단소재 인수를 통해 양극재 첨가제 및

수산화리튬 소재업체로 탈바꿈.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케미칼, 엘엔에프 등에 공급 중

  • Additive Powder : 양극재 첨가제는 양극재를 도핑 및 코팅하여 양극재의 미세균열 및 화학적 불안정성을 개선합니다. 이는 배터리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데 도움을 줍니다.
  • Lithium Hydroxide : 수산화리튬은 니켈 함유량 8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에 쓰이는 원료로써 전기차 1대당 약 40kg가 필요한 이차전지 핵심소재입니다.

 

2. 주요제품 및 서비스

- 수산화리튬 미세가공은 초미립자 분말을 균일한 사이즈로 분쉐할 수 있는 기술(나노 분쉐)      가공 후 잘 굳기 때문에 양극재 공장 옆에 위치.

  ( 탄산리튬을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하는 기술력 X) 

23년 기준,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매출이 35%, 미래첨단소재 매출이 35%

퓨어 실리콘 및 배터리 파우치 필름도 개발 중 

 

3. 생산능력

- 이차전지 소재 17,581ton의 생산능력과 8,567ton의 생산실적으로 평균가동률은 83%

 

25년 국내 양극재 기업의 수산화리튬 사용량은 약 50만톤. 

24년 현재 미래나노텍의 CAPA는 국내 4만톤, 주 고객사는 포스코퓨처엠

24년말 해외 캐나다 퀘백, 3만톤, 주 고객사는 얼티엄셀즈 

 

4. 실적추정

23년 6943억, 영업이익 137억, 당기순이익 25억으로 흑자 전환

24년, 25년 추정 매출액은

 - 24년 8,300억(23년 대비 20% 성장)

 - 25년 1.2조(24년 대비 45% 추정)

  근거 : 수산화리튬 국내 4만톤(가동률 80%, 리튬 90,000위안/톤, 1위안=180원) 약 5,200억

                         해외 3만톤(가동률 80%, 리튬 90,000위안/톤, 1위안=180원), 약 3,900억

          전구체 매출 1,500억, 광학필름 등 1500억

 

5. 목표 주가

현재 주가는 리튬 가격 반등으로 바닥에서 반등 중.

현재 시총은 6,900억 수준. 23년 영업이익 기준으로 POR 50배

25년 추정 매출 1조 2000억 가정시

영업이익 약 5% 고려시 약 600억, POR 30배 부여시 시총 1.2조

POR 40배 가정하면 시총 2.4조

 

2차전지 관련주 중 시총이 매출액에 못 미치는 기업이 훨씬 많은 데 이 기업은 현재 시총과 23년 매출액이 일치할 정도. 25년 PSR 기준 1배 수준만 되더라도 시총 1.2조는 무리한 밸류에이션은 아니라는 판단.

물론, 리스크로는 리튬 가격의 하락 위험, 미국 대선 리스크 등 2차전지 고유의 리스크는 그대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급을 줄인만큼 메탈 가격의 하방 경직성은 높아질 것이고 관련 시장은 트럼프가 되더라도 성장할 수 밖에 없다면 지금이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가 아닐까라는 생각.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2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수산화리튬
미래나노텍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골드핑거

파머

콘텐츠 23

팔로워 54

오랫동안 공모주 투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업과 산업에 투자하는 블로거 골드핑거입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