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국내

보유

인도의료시장, 갤럭시링, 봇핏 수혜주 - 드림텍

by 골드핑거

2024.02.03 오전 06:53

골드핑거님의 투자의견
  • 현재 수익률

    -47%
  • 작성시 주가

    11,650 KRW

    24.01.31 기준

  • 목표가

    20,000 KRW72%
  • 투자의견

    매수
  • 투자기간

    2024/02~2024/12

갤럭시 S24의 역대급 흥행 뉴스가 지면을 장식하고 있는데, 얼마 전 사전예약 마감일에 실제 디지털프라자에 대기줄을 보면서 인기를 실감.

주변에 사전 예약 신청을 한 분들에게 교체 사유를 물어보니 이미 휴대폰 교체시기가 지났는데, 굳이 바꿀 필요를 못 느끼다가 이번에 AI 기능이 들어가 있는 걸 보고 바꾼다는 이야기가 많다.

 

스마트폰의 이연 교체 수요와 AI 기능에 대한 신규 수요가 어우러지면서 사전 예약의 흥행을 만들지 않았을까라는 조심스런 전망을 해 본다.

 

갤럭시S24에 들어가는 부품사들을 찾아보면

1. 디스플레이용 FPCB : 비에이치, 영풍전자, 인터플렉스

2. S펜 : 인터플렉스, 비에이치

3. 카메라모듈 : 파워로직스, 파트론, 나무가, 엠씨넥스

- 나무가는 전면 카메라 공급사에서 후면 카메라 공급사로 재진입

- 후면 메인카메라 : 삼성전기

- 광학 3배줌 : 엠씨넥스, 파트론

- 5천만화소 메인카메라 외 3종 : 파워로직스

- 메인카메라 : 파트론, 삼성전기, 캠시스

4. 케이스 : KH바텍

 

이 중에서 판매 직원하고 상담 해보니 S24에서 카메라 기능이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걸 제일 강조해서 이야기를 한다.

갤럭시S24울트라 카메라 공급사 중 눈에 띄는 기업이 나무가.

 

사전예약 흥행 뉴스가 나온 바로 다음날 거의 상한가까지 상승.

이후 저PBR 기업 열풍에 잠시 숨고르기 중이지만, S24의 수혜주라는 것은 시장에서 증명.

 나무가에 대해서 조금 더 찾아보니 나무가는 카메라모듈 매출이 대부분인 기업

 
 
나무가의 최대 주주를 다시 DART에서 찾아보니 눈에 들어오는 기업이 바로 오늘 이야기 할 드림텍
 
최대주주로 드림텍과 유니퀘스트 주식회사가 나오는데, 투자 포인트를 정리해보면
 
 
1. 드림텍과 유니퀘스트의 지분 변화

 

분할합병 전 기존 대주주가 유니퀘스트를 통해서 드림텍을 지배하는 구조였는데, 분할 합병을 통해서 최대주주가 직접 드림텍을 지배하는 것으로 변경.

 

그러면서 드림텍에 AI matrics 라는 자회사까지 합병하여 특수 관계인 포함 지분율을 41.7%까지 확보함. 성장 동력인 사업들을 자회사로 넣어서 연결로 실적이 잡히게 만들었는데, 그 기업의 지분을 최대주주가 높이고 있다는 게 포인트.

 

 

 

 

2. 드림텍 인도향 무선바이오센서사업 확장

 

드림텍의 사업영역은, 스마트폰 PBA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IMC, 나무가가 담당하는 카메라 모듈 사업부 CCM, 마지막으로 바이오메트릭 사업부인 BHC 로 구분.

 

 
2023년 매출 비중은 거의 균등 수준으로 보이는데
 
 
22년 실적과 비교해보면 IMC 사업부와 CCM 사업부의 매출 감소가 눈에 띈다.
스마트폰의 업황이 안 좋았던만큼 그 피해를 오롯이 받았다고 볼 수 있을 듯.
 

그래서, 투자포인트로 생각한 부분이 최악이었던 스마트폰 시장이 턴어라운드 하는데, 신사업 동력인 BHC 사업부의 의료기기 매출이 올해부터 본격화 된다면 하방은 어느정도 막혀있고 상방이 열려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
 
 
BHC 사업부의 바이오센서는 갤럭시 워치에, 지문인식센서도 삼성 스마트폰 내에서 50% 이상을 공급 중으로 삼성 스마트폰의 성장과 같이 하는 기업.
 
 
그러나, 이것보다 더 주목할 것이 바로 무선바이오센서
 
무선바이오센서는 심전도 측정에 사용하는 웨어러블 부착형 장비로 유선 심전도 측정 시장을 대체할 것으로 평가.
 
 
고객사로는 미국 라이프시그널과 공동 개발하 인도향으로 약 5년동안 6천억대 공급 계약을 추진 중.
 

무선바이오센서의 경우 소모품으로 대당 약 100불로 가정 시 연간 1백만대 정도의 규모로 추정

드림텍의 카디아솔로는 부정맥 진단을 위한 기기로 다양한 무선 의료센서 기기를 개발하여 라인업 진행 중.

 

3. 봇핏, 갤럭시링 다양한 모멘텀

 

삼성전자의 새로운 디바이스인 봇핏과 갤럭시링에 드림텍 제품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

 

특히 삼성웨어러블 로봇인 봇핏에 구동부모듈, 메일모듈, 센서모듈, 통신모듈 등을 드림텍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출시는 24년 상반기 목표.

갤럭시링의 바이오센서 부분도 드림텍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

마지막으로 밸류에이션 살펴보면, 

영업이익은 23년 대비 턴어라운드해서 940억(키움) ~ 1100억(신한) 기대.

 

역사적 PER은 약 17배 수준으로 당기순이익 800억 예상 시총 1.3조

 

현재 시총 7천억 기준으로는 PER 9.5배 수준.

 

전방 산업인 스마트폰 시장이 돌아서면서 실적이 개선되는데, 봇핏, 갤럭시링, 인도향 의료까지 모멘텀도 있는 기업이라면 조정 시 관심 가져봐야할 타이밍이 아닐까라는 생각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드림텍
갤럭시S24
나무가
봇핏
갤럭시링
인도의료시장
무선바이오센서
무선심전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골드핑거

파머

콘텐츠 23

팔로워 54

오랫동안 공모주 투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업과 산업에 투자하는 블로거 골드핑거입니다.
댓글 1
0/1000
  • 오렌지보드 · 일 년 전
    보고서 공유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리포트서비스 초기 화면을 변경하였습니다. 공지글 참조 부탁 드립니다. https://orangeboard.co.kr/notice/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