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진 (PhD. K)의 팜
건설/건자재 27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해외 수주 긴급 점검! (하이투자증권)
보고서 중점 내용 ▶ 동의하는 내 생각 ▶ 비판적인 내 생각 해외 수주는 2023년부터 본격화 2022년 2분기 누적 기준 5대 건설사 해외 수주 당성률은 가이던스 대비 16~48% 수요 부진 이유는 MENA 지역의 인플레이션과 정치적 리스크로 인한 발주 이연 실질적으로 놓친 수주는 사우디 Zuluf 육상 유전 개발 35억 달러 (약 4.9조원) 유가 상승에 따른 발주국 재정수지 개선과 사우디 Aramco, UAE ADNOC 등의 주요 발주처의
![[산업공부] 해외 수주 긴급 점검! (하이투자증권)](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5445763738594.png)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넓고 깊게 파는 굴뚝산업 - 건설업, 해외 수주의 귀환 (삼성증권)
석탄, 원유, 천연가스 등의 전통 에너지원 가격 상승으로 전력 가격도 당연히 상승 중 중동 국가들의 Capex 투자 여력과 실 투자가 상승 중 중동 발 EPC 발주 증가가 기대됨 지난 불황기에 해외 EPC 업체들은 자본구조가 취약해졌고, 국내 EPC 업체들도 교모를 줄여왔음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 정도가 남아있음 본 보고서에서는 구조적인 전력 수요 증가와 타이트한 전력 공급도 중동 발 투자의 한 요인으로 꼽음 내가 이 그래프에서 눈이 가는 건
![[산업공부] 넓고 깊게 파는 굴뚝산업 - 건설업, 해외 수주의 귀환 (삼성증권)](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55618934117095.png)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2022년 건설 경기 전망 (feat. 동양파일 사업보고서)
동양파일 2021년 사업보고서에 명시된 2022년 건설 경기 전망. 동양파일은 건설이 시작되는 초기 단계에 파일을 공급하는 회사이니 실제 진행 중이거나 진행 예정인 건설 사이트를 확인해가며 사업을 진행할 것이다. 그런 동양파일이 전망하고 있는 건설 프로젝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2022년 건설 경기 전망을 확인해 보자. ■ 2021년 말부터 진행 중인 플랜트 삼성전자 평택 공장 -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 평택 P3서 '3나노' 팹 착공
![[산업공부] 2022년 건설 경기 전망 (feat. 동양파일 사업보고서)](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6458108031147.jpeg)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윤택한 세상 -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수혜주 꾸러미
※ 이베스트투자증권 수익성(ROE)은 좋아졌지만 벨류에이션(PBR)은 지속적으로 하락한 건설 섹터. 정부의 규제 스탠스 때문에 수익성이 크지 않다는 편견으로 벨류에이션이 하락했지만 사실이 아님. ※ 이베스트투자증권 30살이 넘는 주택들의 비중은 점점 늘어나기 때문에 재건축 대상이 되는 주택의 수는 지속해서 증가. 재건축 대상이 증가한다는 것은 건설 섹터의 잠재 이익 증가를 의미. 재건축 규제도 있지만 분양가상한제 등의 수익성 규제로 재건축을 자
![[산업공부] 윤택한 세상 -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수혜주 꾸러미](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6519607633780.png)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대선 전 세부 업종별 투자매력도 점검
© sunburned_surveyor, 출처 Unsplash ※ 한화투자증권 건설업에 투자를 시작했던 아이디어는 도시정비사업. 곧 30살이 넘는 아파트가 쏟아진다. ※ 한화투자증권 대형 건설사들의 주택수주도 늘면서 도시정비사업 비중도 50%에 육박. 참고로 아파트 브랜드 평판 1위 힐스테이트, 2위 자이, 3위 푸르지오. 아파트 브랜드평판 2021년 12월 랭킹 아파트 브랜드평판 2021년 12월 랭킹 brikorea.com ※ 브랜드평판지수어
![[산업공부] 대선 전 세부 업종별 투자매력도 점검](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6727764961865.jpeg)
리포트3년 전
[산업공부] 건살사 원가구조 분석: 골조 자재 중심
※ 한국투자증권 - GS건설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철근, 레미콘, 시멘트의 원가 영향성 분석 - 자재 매입량은 2021년과 동일하다고 가정 자재 가격 증가율 철근 998,000 원/톤 +56% YoY 레미콘 71,017 원/m^3 +4.9% YoY 시멘트 89,990 원/톤 +14.2 YoY ※ 한국투자증권 - 건설사 매출원가 중 자재비는 30% 내외, 하도급사에서 별도로 구매하는 자재비는 제외. ※ 한국투자증권 - 자재비 매입 단가가 올라가도(
![[산업공부] 건살사 원가구조 분석: 골조 자재 중심](https://cdn.orangeboard.co.kr/images/reports/a3419429-0fff-4de0-a066-7754adb114b7/nblog/image_16737422762561.png)
- 1
- 2
- 3
- 4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