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유한양행’ 일반글 검색결과

IV리서치
7달 전
국내 NSCLC 관련 기업
유한양행/오스코텍 (7.5조원, 1.6조원) ① 어제 아미반타맙IV + 레이저티닙 승인 ② 4Q24 아비반타맙SC + 레이저티닙 승인 기대 (추가 모멘텀) ③ 1H25 MARIPOSA 전체 OS 데이터 기대 중(이번 허가는 mPFS 데이터 기반) 국내 비소세포폐암 관련 기업 1. 보로노이 (1.2조원) ① 레이저티닙 등 3세대 EGFR TKI 이후 발생하는 C797S 변이를 타겟하는 VRN11 임상1상 진행 중 ② ORIC에서 Exon 20 i

머니프리웨이
4달 전
241125 마감 시황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알테오젠, 한올바이오파마, 에이프로젠, 바이넥스, 녹십자 등 ■ 조선/ 조선기자재 ▷SK증권 - 조선 3사 모두 내년부터 공정 개선 및 23 년 고선가 수주분에 대한 점진적인 건조 비중 확대 효과에 따라 안정적인 실적 개선세를 시현할 것이라고 밝힘. 작년까지 우려가 컸던 인력난 문제는 해결되면서 공정 정상화에 대부분 진입했고, 환율 및 강재부문의 우호적인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 가스운반선 중심의 견고한
전략적가치투자
3달 전
국내 제약 바이오주 R&D투자 본격화!!
유한양행 대웅제약 한미약품 순입니다. 한종목씩 간단히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셀트리온의 3분기 기준 누적 RD비용은 3,128억원으로 전년동기비 34%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업계에서 RD 비용 3,000억원을 넘은 기업은 셀트리온이 유일한 상황입니다. 내년까지 무려 11개의 제품 허가를 획득할 것으로 보이고, 2030년까지 22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시장 입지를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올해 해외 주요국에서 램시마와 옴리클로

인라밸
3달 전
[티앤엘] I'm on the Next Level
티앤엘은 퀄리티보다 가격적인 측면에서 접근(OEM ODM의 한계) 당장 주식시장이 회복된다면 퀄리티 좋은 주식들이 먼저 오르겠지만 이러한 퀄리티 주식들이 적정밸류에 차면 업사이드 많이 남은 기업들에게 훨씬 큰 기회가 있을지도?? 성장주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느낌 최근 턴어라운드 주식에 대해서 몰입하다보니 성장주 투자 및 밸류에이션에 대해 실전감각이 무뎌짐 투자 아이디어 1. 아마존 1위 및 구글트렌드 우상향 지속 구글트렌드 최근 5년 내 지속

머니프리웨이
2달 전
24/12/30 마감 및 종목분석
유한양행, 바이젠셀, 퀀타매트릭스, 샤페론, 인벤티지랩, 리가켐바이오 등 ■ 드론(Drone) - 머스크, 美 장거리 드론 필요 언급 소식 등에 상승 ▷지난 26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게시된 중국의 차세대 전투기 추정 사진과 관련 글에 댓글을 달아 유인 전투기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거듭 밝힌 것으로 전해짐. 스텔스 전투기는 중국이 최근 중점을 두고 개발 중인 군사 분야로 알려져 있음. ▷머스크는 지난달 24∼25일 엑스에
전략적가치투자
2달 전
한미약품, 풍부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대
한미약품을 살펴 보겠습니다. 한미약품은 한미사이언스의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고,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치료제와 역류성식도염치료제 등을 주요 제품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의 주가 부진은 역시 실적에 대한 우려감 인데요, 4분기 영업이익은 300억원을 소폭 하회할 것으로 추정되고 시장의 컨센서스도 지속 하향 조정 중입니다. 일시적인 RD부문에서의 성과 부진과 호흡기
파머올리버
16일 전
[2025-02-27 1분 시황] #경제 #증시 #투자 #기업 #정책 #연금개혁 #상속세
유한양행 바이오시밀러 렉라자 : 일본 후생노동성 승인 여부 27일 결정 예정. K뷰티 ODM 업체(한국콜마코스맥스), 사상 최대 실적 경신 : 전 세계적 K뷰티 열풍 인디 브랜드 성장 영향. 한화그룹HD현대그룹, 해외 함정 수출 협력 : 현대중공업(수상함) - 한화오션(수중함) 수출 주관. 📊 경제증시 동향 비트코인 9만 달러 밑으로 하락 → 관련 기업 주가 급락 미 국채 10년물 금리 하락 지속 → 2월 소비자신뢰지수 예상치

IV리서치
16일 전
에이프릴바이오(397030)-모범적 바이오텍 기업의 표본
유한양행의 Exit 이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이에 따른 오버행은 해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기업가치는 APB-A1, R3만 반영해도 경쟁 기업 대비 저평가 상태에 있다는 판단이다. 동사에 있어 2023년은 SAFA 플랫폼의 PoC확인의 해, 2024년은 적응증 확장의 해였다면, 2025년은 SAFA 플랫폼의 본격적인 도약기가 될 전망이다. 현재 SAFA 플랫폼을 개량하여 최대 4개까지 약물 결합이 가능한 structure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