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동물원의 팜

AI 근황

동물원

2025.09.10 오후 18:38예약발행

  • 오라클은 최근 MS를 포함한 대형 고객들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 4건을 한번에 체결

  • 회사에 따르면 앞으로 몇 달 내 수십억 달러의 추가 계약도 예정되어 있음

  • 이 계약들 때문에 오라클 잔여계약(RPO) 폭증

  • 오라클이 앞으로 몇 년간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 매출 예약분이 엄청나게 쌓임

  • 그 이유는 AI 클라우드 수요

  • 기업에서 대형 LLM모델 등 AI모델을 학습하고 운영하려면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데, 이걸 자체 데이터센터에서 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라클 같은 클라우드 기업에 장기계약 걸어둠

  • 앞으로 몇 년치 컴퓨팅 자원을 미리 다 예약해버림

  • 오라클은 아마존 AWS, MS 애져 대비 점유율이 작지만 AI 전용 계약으로 단기간에 성장 모멘텀을 크게 확보

  • 그 와중에 차트를 보면 아마존의 부진이 두드러지는데. 아마존은 앤트로픽과 편 먹고 판을 뒤집어 보겠다는 계획이니, 지켜볼만함

  • 수요가 폭증하니 오라클 입장에서 설비투자를 급격히 늘리는 중

  • 매출의 60% 이상(350억 달러 이상)을 데이터센터, 서버, GPU 등 장비에 재투자

  • 현재 계약잔고를 보면 향후 2~3년 후부터 매출이 본격적으로 크게 증가할 가능성 높음

  • AI 클라우드 시장에서는 GPU 확보가 곧 매출 확대

  • 앞으로 2~3년은 엔비디아, 브로드컴, 데이터센터 부품 업체들이 직접적으로 수혜를 받을 예정

  • AI를 활용한 SaaS, AI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지금도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지만, 본격적인 매출 확대는 인프라가 충분히 깔린 뒤 가능 (가능성을 보인다면 본격적인 매출 없이도 주가는 더 빠르게 올라갈 것)

  • 클라우드 인프라 공급망 투자가 확대된다면 눈에 보이는 숫자는 단기적으로 엔비디아 GPU, 서버 ODM, HBM 등 고성능 메모리, 아리스타 등 네트워크가 직접적으로 돈을 벌어갈 기업 (이미 주가가 많이 올라간 레벨이어서 주가가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모르겠지만, 선반영된 수치 만큼의 매출 확대는 계속해서 나올 것)

  • 하드웨어 투자가 줄어들 리 없음. 현재 AI 설비투자 분위기는 투자하지 않는게 최대 리스크

  • 몇년전부터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전력, 데이터센터 관련 업황도 나빠질 확률이 없음

  • 데이터센터 증설은 전력 소비 급증을 동반하고 발전과 송전 인프라, 전력 반도체(SiC, GaN), 냉각 시스템 기업 등은 구조적으로 성장 예정

  • 단기적으로 숫자가 보장되어 있지 않지만 그래서 도리어 투자의 기회가 발생할 수 있는 산업은 AI 서비스 기업

  • 즉각적으로 매출 숫자가 찍히는 GPU, 서버 등 하드웨어 산업과 달리 서비스 산업은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된 이후 그 위에서 돌아가는 소프트웨어 매출을 지연해서 반영함

  • 지금은 인프라 기업이 돈을 버는 전성기이지만, 2~3년 뒤 서비스 기업이 본격적 수혜를 받을 시점이 온다면, 지금 시점에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타이밍

  • 코파일럿, 세일즈포스 아인스타인, 서비스나우 등 생산성 도구들은 이미 고객 기반을 확보한 대형 SaaS에서 고객기반을 가진 기업 중심의 경쟁이다보니 역동적인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임

  • 역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AI 서비스 산업군

  • AI 콘텐츠/미디어: 오픈AI. 앤트로픽 등 대형 스타트업과 이들과 협력하는 빅테크. 교육과 광고, 게임, 엔터테이먼트 산업의 역동적 변화 가능성

  • 스노우플레이크, 팔란티어, 데이터브릭스 등 AI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

  • 헬스케어, 신약, 법률, 금융, 제조, 구인구직 등 특정 산업에 특화된 버티컬 AI 솔루션: 신약개발, 의료영상 판독, 보험 리스크 평가, 반도체 설계 등 특정 산업에 특화된 활용은 인프라보다 성장 속도가 느리겠지만,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 제한적 경쟁 시장

  • AI 서비스 기반 좋은 기업이 보인다면 국내, 해외를 가리지 않고 집중 스터디하고 비중있는 투자를 하겠다는는 생각


[AI 노동시장]

  • AI 노출이 큰 시장에서 신입직원 고용 감소는 이미 다가온 현실

  • 영국 Adzuna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과 2025년 3년간 신입/인턴 채용공고 32% 감소

  • 미국은 2023년과 2025년 사이 AI도입 사유 해고가 27,000건 이상

  • 미래에셋증권 보고서: 미국 고용 시장에서 유독 신입직원의 일자리만 감소

  • 듀오링고. 쇼피파이 등 서비스 기반 기업들은 신입직원으로 입사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졌다는 전언

  • 빅테크 구조조정: 2025년 상반기 6만명 감원

  • 시니어 개발자에겐 열려있는 기회. 과거에 비해 시니어 개발자 한 명에 말 잘 듣는 RA가 10명 이상 붙어있는 샘

  • 노동시장에도 승자 독식이 가속화되는 변화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